• Title/Summary/Keyword: 병원성 세균

Search Result 83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어류양식용 사료의 위생화. I. 어류유래 병원성 세균에 대한 방사선 조사의 효과

  • 김세라;이종환;조성기;변명우;김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1.09a
    • /
    • pp.23-23
    • /
    • 2001
  • 대표적인 어류질병의 원인이 되는 주요 병원성 미생물인 에드워드균(Edwardsiella tarda), 비브리오균(Vibrio anguillarum), 연쇄구균(Streptococcus faecalis)의 방사선 감수성을 파악하고, 주요 생어사료재료 3종(고등어, 전어, 새우) 및 배합사료 1종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의 방사선 멸균 효과 및 생어사료에 병원성 세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방사선 조사에 의한 멸균 효과를 파악하였다. (중략)

  • PDF

PCR 방법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균의 다중${\cdot}$동시 검출

  • Park, Ju-Yeon;Mun, Seon-Yeong;Lee, Gyeong-Ha;Nam, Jeong-Ok;Nam, Bo-Ra;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346-349
    • /
    • 2005
  • 병원성미생물을 분리${\cdot}$동정하는 방법으로 선택배지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은 4${\sim}$7일의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존의 PCR방법은 대부분 단일 병원성 미생물만을 검출할 수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스템은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을 한 번의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비용과 분석시간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Fig. 1은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이 혼합된 시료에 각각의 단일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Fig. 2는 멀티플렉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균성 식중독균 열 추출 시료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PCR 산물들이 사다리(ladder) 형태로 증폭됨으로써 동시에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Lane 1${\sim}$Lane 6). 또한 3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이 혼합된 열 추출시료에서도 특이적인 PCR 증폭 산물들을 탐지할 수 있었다(Lane 10 & Lane 11).

  • PDF

장조림 원료육의 미생물 분포 및 분리 병원성 세균의 동정

  • Kim, Hye-Jeong;Kim, Hyeon-Uk;Nam, Gi-Jin;Lee, Dong-Seon;Kim, Chang-Han;Baek, Hye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97-401
    • /
    • 2004
  • 장조림 원료 쇠고기 우둔살과 가열 처리한 쇠고기 우둔살에서 중온성 세균, 저온성 세균, 혐기성 세균, 포자형성균 및 대장균군 등과 같은 미생물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B. cereus, C. botulinum,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 등과 같은 9종류의 주요 병원성 세균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원료육에서 중온균, 저온균, 혐기성 균 등은 대부분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가열 처리육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 E. coli, Enterpbacteriacea, C. perfringens, S. aureus 등은 원료육과 가열 처리한 쇠고기 우둔살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인 B. cereus, C. perfringens 및 L. monocytogenes등 3균주가 원료육에서 분리된 반면, C. botulinum, E. coli 0157:H7,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 aureus 및 Y. enterocolitica는 분리되지 않았다.

  • PDF

Bacteriophages and their Application in Food Safety (박테리오파아지의 식품 안전에의 응용)

  • Chang, Hyun-Joo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3 no.4
    • /
    • pp.544-551
    • /
    • 2010
  • 식품산업에서 박테리오파아지를 첫째, 동물 보건에서 항생제 대체품으로서, 둘째, 식품에서 바이오보존제(biopreservative)로서, 셋째, 식품 체인에서 병원성 세균을 검출하기위한 도구로서 다양하게 이용하고자 최근에 널리 인지하고 있다. 박테리오파아지는 바이러스로서 세균을 감염시키고 용해하는 특성이 있으며, 식품 안전과 관련하여, 1) 포유 동물세포에 무해하여 박테리오파아지를 안전하게 이용할 가능성, 2) 발효식품에 적절한 스타터 역할을 하거나 천연 미생물균총을 그대로 보존하는 박테리오파아지의 높은 숙주 선택성이라는 2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식품첨가물로서 박테리오파아지를 '먹을 수 있는 바이러스'로 인정할 수 있을지 논의되고 있다. 식품유래 병원성 세균을 제어하기 위한 파아지의 이용가능성과 생물학 분야에서 관련되는 기초연구를 하고자 할 때 생기는 제한점 등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PDF

The Bacterial Gall of Wistaria floribunda Caused by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에 의한 등나무 혹병)

  • 김종완;임진우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7 no.3
    • /
    • pp.145-149
    • /
    • 2001
  • A pathogenic bacterium was isolated from galls on Wistaria floibunda at Jinryang of Kyungsan, Kyungbuk, Korea in May, 2000. This bacterium was cultured and tested for pathogenicity on the host. Also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oculation with the bacterium isolated from the gall caused the same symptoms as those under natural conditions. On the basis of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ecity on the host plant of the organism, the causal bacterium was identified as Pantoea agglomerans pv. milletia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is bacterium to occur on W. floribunda plant in Korea. Therefore we proposed to name the disease as "bacterial gall of Wistaria floribunda" by P. agglomerans pv. milletiae.milletiae.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Host Insect Immunodepression Induced by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us and Staphylococcus gallinarum, with Differential Pathogenicities (병원력 차이를 보이는 두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us와 Staphylococcus gallinarum)의 면역저하 능력 비교 분석)

  • 박영진;김길호;김용균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2 no.4
    • /
    • pp.353-360
    • /
    • 2003
  • Immunodepression can be required for entomopathogenic bacteria to induce their potent pathogenicities to the target insects. Here, we raise a hypothesis that the capacity of a pathogenic bacterium to induce the target insect immunodep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athogenicity. X. nematophilus had 1,200 times as potent as another entomopathogenic bacterium, Staphylococcus gallinarum again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silkworm, Bombyx mori, when they were Injected into the hemocoel. Although both bacteria had significant cytotokic effect on the hemocytes of B. mori, X. nematophilus gave faster and greater cytotoxicity than did S. gallinarum. In cellular immune reactions, B. mori could form 20 hemocyte nodules against the bacterial injection with 5${\times}$10$\^$5/ cells. The number of the hemocyte nodules was significantly depressed when live X. nematophilus was inject-ed, but not in S. gallinarum. Activation of prophenoloxidase (proPO) was depressed in the bacterial injection. The depression of PO activ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X. nematophilus infection than in S. gallinarum injection. Lysozyme activity was induced by the injection of S. gallinarum at 4 h after the treatment, but not induced in X. nematophilus at all the time. These results showed that X. nemato-philus induced greater immunodepression against B. mori and resulted in higher pathogenicity than did S. gallinaru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munodepression induced by entomopathogenic bacteria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athogenicity.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식중독 세균 신속 검출방법 및 Liposome immunoassay를 이용한 검출법의 개발

  • Kim,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3.06a
    • /
    • pp.15-23
    • /
    • 2003
  • 식품으로 인한 질병은 개인의 생명을 위협할 뿐 아니라 건전한 노동력의 상실로 생산성을 감소시키고 의료비를 증가시켜 개인의 행복 및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준다 (Buzby et al. 1996, Mead et at. 2000). HACCP와 여러 식품안전에 관한 규제의 시행 등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Salmonella serotypes, Staphylococcus aureus, Camp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enterotoxigenic and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와 같은 식품기원 병원성 세균으로 인한 질병은 줄어들고 있지 않다. 오히려 외식 위주로 변해가는 생활습관은 식품을 통한 이들 병원성 세균의 전파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게다가 새로운 병원성균 (Yersinia enterocolitica,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H7, Aeromonas spp., Plesiomonas spp.) 의 출현 또는 특정 식품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특정 subtype (Salmonella serotype Enteritidis) 의 출현은 이제까지 통용되어왔던 식품기원 세균을 위한 제어프로그램과는 다른 각도로 재원을 활용해야 할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 PDF

Bacterial Soft rot of Kalanchoe blossfeldiana by Erwinia herbicola in Korea (Erwinia herbicola 의한 Kalanchoe blossfeldiana세균성무름병)

  • 최재을;이은정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6 no.1
    • /
    • pp.15-18
    • /
    • 2000
  • A new bacterial disease was found on leaves of Kalanchoe blossfeldiana plant grown under vinyl-house condition in winter of 1998 in Taejeon. the first symptoms of the disease are the appearance of the water-soaked and light brown spots. Later they become soft rot with brown color. Causal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iseased tissues and the same symptoms as the natural infection were developed on Kalanchoe blossfeldiana leaves by needle-prick inoculation. The causal bacterium was identified Erwinia hervicola by its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ed of this bacterium to occur on kalanchoe blossfeldiana plant in Korea. Therefore, we proposed to name the diseases as \"bacterial soft rot of Kalanchoe blossfeldiana\" by E. herbiocla.

  • PDF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K1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Secrete Factors Enhancing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두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K1과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배양물질의 Bt 병원성 제고 효과)

  • Seo, Sam-Yeol;Kim, Yong-Gyu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8 no.3
    • /
    • pp.385-392
    • /
    • 2009
  •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re known to be potent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hen the bacteria are injected into the hemocoel. This study investigated any pathogenic effect of their culture broth on P. xylostella by oral administration. Only culture broth of both bacterial species did not give enough pathogenic effects by the oral administration. However, when the culture broth was orally treated together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both cell-free culture broth significantly enhanced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3rd instar larvae of P. xylostella. The culture broth was then fractionated into 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extracts. Mos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was found in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species. Thin layer chromatography of these extracts clearly showed that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culture broths possessed metabolites that were different to those of hexane and aqueous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th entomopathogenic bacteria produce and secrete different factors to give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Selection of Lactobacillus Species Inhibiting Enteropathogenic Bacteria and Potential Use as Probiotics (장내세균의 발육억제 효과로 정한 Lactobacillus 균주 선정과 Probiotic으로서의 이용가능성)

  • Lim, You-Jin;Na, Hee-Sam;Kang, Mi-Sun;Oh, Jong-Suk;Cho, Bok-Hee;Lee, Hyun-Chul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v.9 no.1
    • /
    • pp.33-48
    • /
    • 2007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소아의 침 및 성인의 질부로부터 분리한 1367개의 유산 생성 균주 중 4가지의 장내 병원성 세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 발육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의 Probiotic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네 가지 병원성 세균을 대상으로 agar spot test와 Catalse test를 시행하여 1367개 균주 중 최종적인 실험대상 균주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유산균과 네 가지 병원성 세균을 혼합 배양하여 병원성 세균증식 억제 효과를 보았다. 또한 최종균주의 probiotic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균을 동정하고 내산성 등 몇 가지 특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 Agar spot test 결과 전체의 15.7%에 해당하는 215 균주가 MRSA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15 균주 중 9.8%에 해당하는 21 균주가 L. monocytogenes에도 동시에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들 균주 중 가장 탁월한 효과를 보인 Lb 1250을 실험 대상 균주로 선정하였다. Lb(Lactobacillus) 1250과 상술한 병원성 세균을 각각 혼합 배양하면 Lb 1250 존재 하에서 MRSA의 증식은 $10^4$배 억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10^3$배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S. typhimurium, E. coli O157에 대해서는 아주 미약한 효과를 나타냈다. Lb 1250의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로 동정되었으며, 이는 $H_{2}O_2$를 잘 생산해 내는 균주이었다. 또한 이 균주는 우유에서 curd를 약하게 생성하며 이 curd의 향은 달콤하고 최종 pH가 4.6까지 감소하였으며, pH 2와 같은 강산의 조건하에서 배양한 결과 2시간 후에도 상당한 생존도를 유지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에서 Lb 1250은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함을 관찰하였고, probiotic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