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리학적 진단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25초

폐암의 전국 실태 조사 (The National Survey of Lung Cancer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455-465
    • /
    • 1999
  • 연구배경: 최근 급증하는 폐암에 대해 국내에서는 단위 병원의 폐암 환자의 특성,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분포, 진단 방법, 치료방법에 대한 수년간의 통계들이 있을 뿐 전국적인 조사는 없어 전국적인 폐암환자의 기초자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방 법: 대한 결핵 및 호흡기 학회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1997년 1년 동안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원발성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병기, 치료법 등 폐암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총 3,794명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남자 환자가 79.3%였으며 평균 연령은 62.0세(남자 62.2세, 여자는 61.6세)였으며 76.8%가 흡연자로 남자환자의 89.8%, 그리고 여자환자의 25.4%가 흡연자이었다. 2) 병리학적으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44.7%, 선암 27.9%, 기관지폐포세포암 2.2%, 대세포폐암 1.5%, 소세포폐암 16.8%로 관찰되었다. 흡연력은 편평상피세포암의 87.5%, 선암의 56.2%, 기판지폐포세포암의 35.5%, 대세포폐암의 94.1% 및 소세포폐암의 84.3%가 흡연자였으며 편평상피세포폐암 및 소세포폐암 환자에 비해 선암 환자의 흡연자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3) 조직학적 진단방법은 객담세포진 검사가 15.5%,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44.4%, 경피적 폐침생검법이 19.7%으로 중심형 암인 편평상피세포암 및 소세포암 환자에서는 기관지내시경 조직검사로 가장 많이 진단이 이루어진 반면 선암 및 대세포폐암 환자에서는 경피적 폐침생검법으로 진단이 많이 이루어졌다(p<0.001). 4) 환자의 진단시 증상은 기침 57.2%, 객담 40.8%, 호흡곤란 35.4%에서 보고되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도 7.2%이었다. 5) 비소세포폐암환자 임상적 병기는 제I기 13.7%, 제II기 4.5%, 제IIIA기 16.6%, 제IIIB기 28.8% 및 제IV기 36.5%로 진행되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소세포폐암환자 609명 중 제한병기가 45.2%, 확대병기가 54.8%이었다. 결 론: 폐암은 남자 및 흡연자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편평상피세포암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의 자료는 폐암환자에서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선암이 가장 흔한 폐암으로 알려진 구미의 자료와는 차이가 있었다.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발견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PDF

이하선 다형성 선종의 괴사 (NECROSIS OF A PAROTID GLAND PLEOMORPHIC ADENOMA : A CASE REPORT)

  • 유선열;백승;박홍주;최홍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2호
    • /
    • pp.165-169
    • /
    • 2004
  • 본 증례는 우측 이하선에 종물을 가진 50세 여자 환자에서 술전에 시행한 세침흡인검사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및 술중에 시행한 동결생검에서 괴사소견으로 인해 점액표피양암종으로 진단되어 우측 이하선 전적출술과 경부청소술 등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괴사를 동반한 다형성 선종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괴사를 동반한 다형성 선종에서 보이는 편평 상피세포는 점액표피양암종에서 나타나는 편평세포의 특징으로 오진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증례는 악성종양으로 잘못 진단할 수 있는 다형성 선종의 괴사와 조직병리학적 특징들을 이해함으로써 임상의사들의 오진 가능성을 예방하고 다형성 선종의 진단과 치료에 주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In-situ hybridization 법을 사용한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바이러스 감염 질병 특성 고찰 (Histopathologic Characterization of Viral Pathogens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in-situ Hybridization Methods)

  • 도정완;이남실;정승희;김경길;최혜승;박정우;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3-171
    • /
    • 2013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법은 신속하고 정확하여 바이러스성 질병진단을 위해 널리 사용되지만 조직병리학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반면에 in-situ hybridization (ISH) 법을 사용하면 바이러스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직에서의 분포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SIV, VHSV, 그리고 VNN 바이러스들의 조직내 분포 및 조직 병리학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 바이러스들에 감염된 에 감염된 양식 넙치의 어류의 다양한 조직들을 대상으로 ISH 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 세 종류의 바이러스가 각각 다른 조직 및 세포들에 감염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ISH법이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신속 검출 뿐 아니라 조직 병리학적인 특성 확인에도 유용함을 제시한다.

$^{99m}Tc-MDP$골스캔을 이용한 초기 골수염의 진단과 이의 평가

  • 이상래;김원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6호통권217호
    • /
    • pp.541-548
    • /
    • 1987
  • 골수염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않으면 중대한 후유증이 초래되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골수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구강검진, 방사선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혈액 및 세균배양검사와 골스캔등이 필요하다. 골수염의 감염과정은 골에 파괴적 및 재생적 변화의 양자를 모두 일으키지만 X선사진소견에서는 임상증상이 발현된 후 약 10내지 14일이 경과되어야만 골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이전에는 대체로 비특이적 연조직의 종창만을 보인단. 반면에 골스캔을 이용하면 급성염증기의 골질환을 감견하기가 용이하다. 골스캔제의 국소골섭취의 증가는 골의 어떤 부위에서 대사능이나 혈류가 증가된 경우에 일어나기 때문에, 실제로 임상증상이 발현된 후 24시간정도의 조기에 골스캔상은 양성반응을 보인다. 즉 골의 국소적 병변은 어느정도 신생골 형성과 골파괴가 같이 수반되어있고 이러한 신생골은 골스캔제와 친화력이 강하므로 골형성반응을 야기하는 어떠한 병변이라도 골스캔에 의하여 발견될 수 있다. 임상적으로 골수염에 대하여 골스캔을 시행하는 경우는 골수염의 조기진단, 골수염과 봉와직염과의 감별진단, 만성 공수염의 악화여부 및 치료에 대한 반응을 monitoring하기 위해서 시행된다.

  • PDF

좌심실에 발생한 심장 섬유종 (Cardiac Fibroma Involving Left Ventricle)

  • 신홍주;박정준;서동만;박인숙;고재곤;김영휘;김정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75-278
    • /
    • 2004
  • 9개월 된 남환이 우연히 발견된 심장 종괴 때문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증상은 없었으며, 혈역학적 이상 증상도 없었다. 심초음파 검사상 상당히 커다란 좌심실 자유벽의 종괴가 보였으며, 그 종괴는 좌심실 유출로를 막고 있지는 않았다. 좌심실 자유벽 종괴를 최대한 절제하였고, 병리학적 진단은 심장 섬유종이었다. 수술 후 7개월 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부정맥이나 종양의 재발은 보이지 않고 있다.

후두암 환자에서 얻은 후두전체조직 표본과 MRI 소견과의 비교연구 (Correlation between MRI finding and whole organ section of the larynx in the cancerous larynges)

  • 김광문;김영호;홍원표;최홍식;최은창;장미숙;이승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1-91
    • /
    • 1993
  • 후두악성종양의 해부병리학적 소견과 종양의 파급경로의 연구를 위해서는 후두전체조직 표본의 관찰이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후두악성종양의 진단하에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하여 얻은 10례의 적출후두를 이용해 탈석회화후 수평절개하여 후두전체조직 표본을 제작해 같은 위치의 MRI소견과 비교함으로써 종양의 해부병리학적 구조 및 주변조직과의 관계와 종양의 파급경로를 입증해보고자 하였다.

  • PDF

Vincristine을 이용한 진도견의 전파성 생식기 육종 치료 (Vincristine Therapy for Canine Transmissible Venereal Tumor in a Jindo Dog)

  • 임채웅;조성진;송주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4-218
    • /
    • 1998
  • 2세의 암컷 진돗개가 3개월간 혈액성 질분비물과와 외음부 종창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질에 형성된 종괴는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개 전파성 생식기 육종으로 진단되어 vincristine sulfate$(0.5 mg/M^{2})$을 1주 간격으로 3회 정맥주사를 실시하면서 혈액, 병리조직 검사 를 병행하였다. 종괴의 크기는 투여 후 1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조직소견상 종양세포는 세포질의 공포변성, 핵농축 및 붕괴, 혹은 apoptosis가 관찰되었다. 4주째 종괴는 완전히 소실 되어 치료를 중단하였고 혈액학적 검사 결과 부작용은 없었다. 마지막 투여후 10주째 건강한 새끼 4마리를 자연 분만하여 개 전파성 생식기 육종에서 vincristine 단독 투여로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었다.

  • PDF

진단이 애매했던 유방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등급 점수표의 역할 (Role of Cytologic Scoring System in Minimizing "Gray Zone" in Breast Aspiration Cytology)

  • 김정연;조경자;이승숙;강신광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22
    • /
    • 1996
  • 세침흡인 검사는 촉지되거나 혹은 촉지되지 않는 양성과 악성 유방 질환을 인지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나 진단이 애매한 회색 지역이 존재한다. 1년동안 시행한 697예의 유방 세침흡인 검사 중 111예가 비정형적 혹은 악성이 의심된 다고 보고되었으며 이 중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74예를 재검색하여 Masood 등 (1990)이 제안한 등급 점수표가 회색 지역을 줄이는데 유용한지 살펴보았다. 기술적 문제가 19예에서 나타났으며 나머지 55예 중 18예는 양성으로, 37예는 악성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다. 양성 질환 중 섬유선종(5예)및 섬유선종의 성상을 지닌 섬유낭성 질환(3예)이 가장 많았고 악성은 대부분 침윤성 관암종이였으며 (29예), 관상암종(3예), 사상암종(2예) 및 점액 암종(2예) 등 분화가 좋은 암종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등급 점수표는 회색 지역을 줄이는데 상당히 유용하여 29예의 관암종중 27예가 세포학적 악성 범주에 속했다. 그러나 분화가 좋은 암종은 7예중 2예만이 세포학적 악성 범주에 속했고 섬유선종 및 섬유선종의 성상을 지닌 섬유낭성 질환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등급 점수표의 응용은 유방 세침흡인 검사에서 양성과 악성 병변의 감별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분화가 좋은 암종들과 섬유선종의 진단에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방 세침흡인 세포학적 검사에는 세포 병리 의사의 경험 및 유방질환의 세포학적 변조에 대한 친숙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판정행렬분석을 통한 PET-MRI의 간암 진단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Liver Cancer Diagnosis Function of PET-MRI Based on Decision Matrix Analysis)

  • 김진의;김정수;최남길;한재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59
    • /
    • 2017
  • 최근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는 일체형 PET-MRI의 간암 진단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2{\times}2$ 판정행렬을 이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대상의 PET-MRI 검사 결과를 통해 간암 판정 여부 즉 비정상과 정상 판정을 받은 경우는 각각 98건, 51건 이었으며, 세포병리학적 결과가 양성과 음성 판정을 받은 경우는 각각 103건, 62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두가지 검사에서 진양성의 경우는 95건, 위양성은 3건으로 나타났으며, 진음성은 62건, 위음성의 경우는 5건으로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PET-MRI 검사의 예민도는 95.00%, 특이도는 95.38%, 위음성률은 0.05%, 위양성률은 0.05%, 정확도는 95.15%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간암의 진단에 있어 수술 전 병기 결정이나 치료 후 재발 및 원격전이의 발견, 불분명한 원발 림프절 전이 등의 평가 등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병리학적 검사와의 복합적 진단 및 추적검사를 통해 간암 진단을 위한 PET-MRI 임상적 유용성은 충분할 것으로 사료된다.

3.0 테슬러 자기공명영상에서 Stalk 및 Inchworm Sign이 있는 방광암의 T1 병기 진단 (T1-Staging for Urinary Bladder Cancer with the Stalk and Inchworm Signs with 3.0 Tesla MRI)

  • 김다훈;강병철;정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194-120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전 표재성 방광암(T1 또는 그 이하 병기)을 확인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의 stalk sign 및 inchworm sign의 진단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방광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240명의 환자들(505개의 종양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모든 종양은 3.0 테슬러 자기공명영상에서 T2 강조영상의 stalk sign 또는 확산강조영상의 inchworm sign을 발견함으로써 표재성 종양 및 침윤성 종양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수술 후 병리학적 T 병기와 비교함으로써 통계학적으로 진단적 의의를 평가하였고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Stalk sign 및 inchworm sign은 높은 특이도(93%, 91%), 양성예측도(89%, 90%), 정확도(70%, 74%)를 보였으나 낮은 민감도(54%, 61%)와 음성예측도(60%, 63%)를 보였다. 두 sign 간의 진단적 능력에서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결론 수술 전 T2 강조영상의 stalk sign과 확산가중영상의 inchworm sign을 발견함으로써 표재성 방광암을 쉽게 진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