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벌독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벌독으로 인한 혈청병 양상의 두드러기 및 맥관부종 치험 1례 (A Case of Urticaria and Angioedema Caused from Serum Sickness Reaction by Bee Venom)

  • 김정현;강다혜;김지영;임해원;김자헌;권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8-146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n urticaria and angioedema caused from serum sickness reaction by bee venom. Method : We treated one case of urticaria and angioedema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s such as 8 constitution acupuncture, herbal medicine, venesection therapy and facial pack therapy. We took pictures through the treatment to evaluate the improvement. Six items, itching, burning sensation, pain, wheal, redness, edema were used to diagnose urticaria and angioedema. Result & Conclusion : After treatments the urticaria and angioedema were improved. The symptom of itching, heating, pain, wheal, redness of whole body and facial edema disappeared.

항균성 펩타이드인 mastoparan B의 살조효과 (The Algicidal Effect of Antimicrobial Peptide, Mastoparan B)

  • 서정길;김찬희;배윤정;문호성;김근용;박희연;윤호동;김창훈;변대석;홍용기;박남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2003
  • Mastoparan B (MPB)는 벌독으로부터 정제된 양친매성 $\alpha$-helical 구조를 취하면서 1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염기성 항균성 펩타이드로서 여러가지 생물막과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연안의 적조 (HABs, harmful algal blooms)를 일으키는 4종의 적조생물 (Alexandrium tamarense, Chattonella marina, Cochlodinium polykrikoides 및 Gymnodinium catenatum)에 대한 MPB의 살조효과를 조사하였다. MPB의 4종의 적조생물에 대한 살조효과는 31.3 $\mu{g}$/mL부터 500 $\mu{g}$/mL에서 세포의 lysis 또는 ecdysis와 같은 형태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MPB는 C. marina 및 C. polykrikorides에 대해서 A. tamarense와 G. catenatum보다 더욱 강한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MPB의 HABs에 대한 살조효과연구는 새로운 살조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채취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봉독의 성분 분석 (Component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ng Time and Location in Bee Venom)

  • 한상미;윤형주;백하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9-303
    • /
    • 2012
  • 서양종 꿀벌 독의 채집시기와 지역에 따른 봉독의 성분 변화 및 약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채집시기는 5월부터 9월까지, 채집지역은 전국 35개 지역으로부터 채취한 봉독을 대상으로 2010년과 2011년 2년에 걸쳐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봉독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봉독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멜리틴과 아파민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의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채집시기와 지역에 따른 성분에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One way-ANOVA, Duncan's test (${\alpha}$=0.05)). 봉독의 성분은 채집시기와 지역에 관계없이 멜리틴 $55.2{\pm}2.07%$, 아파민 $2.57{\pm}0.103%$ 그리고 포스포리파아제 A2는 $12.51{\pm}0.37%$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봉독은 채취시기에 따른 주요 성분은 차이를 갖고 있지 않았으며, 이는 꿀벌의 먹이, 사육온도 등 외부 환경이 봉독 분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벌독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쇼크 발생의 예측 인자 (Predictors of Anaphylactic Shock in Patients with Anaphylaxis after Exposure to Bee Venom)

  • 김형주;김선휴;박형도;김우연;홍은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aphylaxis and anaphylactic shock caused by bee venom.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the data of the patients who experienced anaphylaxis caused by natural bee sting or acupuncture using bee venom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8. Sev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shock and non-shock group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ources of bee venom, treatments and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5.5{\pm}16.3$ years old and the number of males was 44 (62.9%). There were 25 patients in the shock group and 45 in the non-shock group. The age was older (p=0.001) and females (p=0.003) were more frequent in the shock group. Transportation to the hospital via ambulance was more frequent in the shock group (p<0.001). No difference was found in species of be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ephalic area, including the face, was the most common area of bee venom in both groups. Anaphylaxis caused by bee sting commonly occurred between July and October. Cutaneous and respiratory symptoms were the most frequent symptoms related to anaphylaxis. Cardiovascular and neurologic symptoms were more frequent in the shock group. The amount of intravenously administered fluid and subcutaneous injection of epinephrine were much more in the shock group than that in the non-shock group. Conclusion: Older age was the factors related to anaphylactic shock caused by bee venom. Further validation is needed to evaluate the gender factor associated with shock.

  • PDF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탐색 (Protein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ombus ignitus Venom)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윤형주;김미애;김원태;백하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9-234
    • /
    • 2007
  •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과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성분분석과 암세포 생육 저해 효능,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이차원단백질 분석을 통해 호박별의 일벌독은 63개의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함량을 보이는 3개의 단백질을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호박벌 일벌독의 암세포 (간암; Hep3B, 폐암; A549, 유방암; BT-20, 위암; AGS)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00ng/ml에서 간암세포 (Hep3B) 에 대한 생육 저해능이 55%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에 E. faecium 과 S. sonnei에 대하여 최소발육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모두 각각 0.256ug/ml 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피검균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호박벌 일벌독의 성분은 다른 벌의 독성분과는 차이를 보이며, 그 생리활성에 있어 약리학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