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신 접종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2초

월간닭고기

  • 한국계육협회
    • 월간 닭고기
    • /
    • 제3권4호통권22호
    • /
    • pp.2-8
    • /
    • 1997
  • 농축산물 저율관세 수입물량 운영계획 확정 - 닭고기 관련 위생관리 실태조사 예정 - 변이형 닭전염성기관지염 예방 가능 - 뉴캣슬 백신접종율 저조 - 닭 가금티프스 ${\cdot}$ 뉴캣슬병 주의보 산랑율 떨어지고 폐사 지속 - EU, `97년 브로일러 생산 ${\cdot}$ 수출 늘어 - 육계 자동화 행잉시설 개발 - 일본, `96 닭고기 수입감소 전년보다$4{\%}$나 줄어 - 미국 가금산업 신장세 보일 듯 - 국내 닭고기 외식업체 브랜드 역수출 - 96년도 냉동닭고기 1만여톤 수입 - NAFTA, 캐나다 높은 관세 허용 - 수입닭고기 가공용 사용 급증 - 삼계탕 유럽시장에 본격 진출 - 닭고기 수입개방 대처에 대한 세미나 개최

  • PDF

ND백신 예방접종 현황과 앞으로의 방역대책

  • 김재홍
    • 월간양계
    • /
    • 제34권8호통권394호
    • /
    • pp.65-69
    • /
    • 2002
  • 과거에는 뉴캣슬병(ND)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뜨거운 여름보다는 추운 겨울에 발생이 많았다. 영양분만 있으면 생체 밖의 외부 환경에서도 스스로 증식할 능력을 가진 세균은 날씨가 더워지면 환경에서의 증식속도도 빨라서 오히려 여름철에 발생이 많다. 이에 비하여, 생체를 벗어나면 스스로 증식할 능력이 없어 항상 숙주세포에 감염된 후 숙주세포의 유전자 및 효소와 영양분을 이용해야만 증식이 가능한 바이러스는 외부온도가 올라가면 오히려 환경에서의 생존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여름보다는 추운 겨울철에 환경에 오랫동안 오염되어 있다가 건강한 계군으로 여러 경로를 통하여 전염됨으로써 피해를 일으키곤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뉴캣슬병의 발생이 과거와는 완연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그 원인과 이에 따른 앞으로의 방역대책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

대학생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의도의 영향요인: 앤더슨 모형의 적용 (Influencing Factors of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Andersen's Model)

  • 배수연;김희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4-40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vaccination. Methods: From April 28 to May 3, 20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23 college students. Measures included the 5C scale and the vaccine literacy scal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among students.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47.7% had the intention to receive the vaccine following the government vaccination plan.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to COVID-19 vaccination included the higher level of confidence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the lower level of constraints and calculation. However, vaccine literacy, socio-demographics, the influence of others, the contents and main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COVID-19 vaccine, health status and COVID-19-related experiences did not influence the intention to vaccination. The content analysis on self-reported reasons for the decreased vaccination intention resulted in three main categories, including "anxiety about the vaccine", "distrust in the government" and "no need of vaccinatio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COVID-19 vaccination acceptance among college students and form herd immun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ust in vaccine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erd immunity.

자녀 예방접종 거부 부모의 주관성: Q 방법론적 접근 (Subjectivity of Parents in Refusal of Childhood Vaccination: A Q-methodology Approach)

  • 차혜경;하은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16-227
    • /
    • 2013
  • 목적 예방접종은 국민건강증진에 많은 기여를 함에도 불구하고 백신의 안정성 문제로 부모는 아동 예방접종을 망설이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부모의 주관성을 조사하여 이들의 생각과 태도를 파악한 후 각 유형별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부모의 주관적인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개별 심층면담 기법과 개방형 질문지,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42개의 Q 표본을 도출하였으며 소표본 이론을 근거로 35명의 P 표본을 선출한 후 9점 척도에 강제로 분포하도록 Q-sorting 과정을 실행하였다. 강제 분포된 카드의 점수는 1-9점으로 변환하여 점수를 배정한 후 PC-QUANA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녀 예방접종 거부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관련된 주관성을 Q 요인 분석한 결과 '예방접종 불신형', '예방접종 부작용 염려형', '예방접종 불필요형' 등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3개 유형은 전체 변량의 67%를 설명하고 있는데, 제1유형은 54%, 제2유형은 8%, 제3유형은 5%로 나타나 제1유형이 대상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3개 유형을 토대로 예방접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로 구성된 전문 상담가를 정부 정책 하에 양성할 필요가 있으며, 예방접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전환할 수 있는 각 유형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또한 개발될 필요가 있다.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실태와 닭의 생산성에 관한 조사(위생과 질병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Poultry Farm for Productivity and Health in Korea)

  • 박근식;김순재;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4-76
    • /
    • 1980
  •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닭의 생산능력이 거의 파악되고 있지 않고 있어 양계산물의 생산량을 추정하거나 특허 증산성이 빠른 닭의 경우 생산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조사자들은 양계협회의 요청에 의거. 현재 양계농가의 관리 기술수준이나 문제점을 위생과 질병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의 발굴과 앞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나 지도방향을 설정하고자 본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 방법은 산란계와 육계를 구분하여 목적에 부합 되도록 용도별로 조사 양식을 작성 야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의사 및 축산 기술전문 요원과 사전에 협의하여 각 지역별로 분담 조사하였으며, 조사 자료 중 검토 후 미흡분은 본성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 대상 및 기간은 산란계의 경우 1976년 3월부터 1978년 7월 사이에 입란한 계군 육계의 경우 1978년 11월부터 1979년 10월 사이에 입추한 계군을 대상으로 사하였으며 조사 지역은 경기도내 6개 지역을 크게 구분하여 총 21개 지역 산란계 41개 양계장 육을 양계장 34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항목별로 조사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지 조건 및 경영 상환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부업적인 경영이 4.9%로 나머지 95.1% 전업 또는 기업 형태로 육계의 경우에는 부업이 17.7%로 되어 있었다. 한편 양계 경영 년수는 총 경영년수의 경우 산란계 농장이 육계농장 보달. 경영 년수가 높았고 현지에서의 경영 년수도 역시 산란계 농장이 높았다. 입지조건에 있어서는 거주지에 있는 양계장이 10.7%이었고 그 분포는 전, 임야, 답의 순이었으며 지 역 별로는 평지, 구능, 산간지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고 있었으며 해안은 한 농장도 얼었다. 양계장의 대지의 소유상환을 보면 자기 소유가 산란양계장은 89.5%. 육용양계장은 70.6% 였으며 양계농장의 평균 소유 면적은 산란계 농장이 5.016평, 육용농장이 1.037평이었다. 계군의 인력 관리는 고용인력에 의존도가 산란계농장이 높아 60%을 상회하고 있었다. 계사의 구조면에서도 아직까지는 위생 시설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타양계장과의 거리에 있어서 1km미만의 거리를 유지하는 농장이 조사대상 농장의 80%나 되고 있으며 100m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농장이 28%나 되고있어 양계장의 분포 밀도가 크게 높아 전염병의 예방에 있어서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계군의 관리상황에 있어서 입추상환. 출하상항, 육성회수 1인당 관리수수 및 관리계군을 조사하였던 바 질병 발생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체계가 거의 되지 않고 있었으며 닭의 품종 및 부화장 선택의 조건에 있어서도 과학적인 근거보다 인간관계 등에 편중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닭의 능력검정 성적을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경향이다. 사료의 급이상황에 있어서도 19.5%가 시판사료 이외의 처방을 요구하고 있다. 위생 및 보건장비의 구비 상환은 완전치 못하였고 소독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 양계장도 다소 있었다. 소독약의 이용량도 높은 편이 아니었다. 백신접종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ND와 계두백신을 97.6%이용하고 있으나 육계의 경우 ND 백신은 43.6%, 계두의 경우 5.1%만 이용하고 있어 백신의 황용에 있어서 육계의 경우 아주 저조하였다. 백신 효과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서는 85.3% 이상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백신의 선택에 있어서는 특성 제품을 요구하는 율이 26.7%나 되고 있다. 그리고 백신접종의 시술에 있어서 수의사에 의뢰하는 예는 불과 4.9%-2.7%였다. ND의 기초면역시 2회이하 접종하는 농장이 17-32.7%나 되고 있으며 (60일령까지) 성계의 보완접종은 4개월마다 실시하는 농장이 14.6%나 되고 있다. 투약상황에 있어서 투약 목적이 질병의 예방목적으로 하는 농장이 74.9%이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시하는 농장은 26.8% 월 평균 1개 농장당200,000원 이상 지출하는 농장이 32.0%로 가장 높았다. 약의 선택에 있어서 주관에 의해서 선택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것이 33.3%이었다. 약의 효과에 있어 서 자신 있게 효과를 신임하는 농장이 57 3%이었다. 닭 질병 발생시 진단의 의뢰는 가축병원이 49.3%, 직접 부검이 26.7%, 외판원, 전문기관 등의 순으로 의뢰하고 있으며 진단에 있어서 만족감을 갖는 농장은 69.4%이었다. 양계장에서의 질병 발생빈도를 부로일러와 산란계로 구분. 일령별로 조사분류 하였으며 닭의 용도별, 일령간의 질병 발생의 빈도는 가기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생산능력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육추율이 90.5% 육성율이 98.9%, 성계 및 육계의 생존율은 각각 75.2%, 92.2%이었으며 도태일령은 평균 533.3일이었다. 산란지수는 232.7개이었으며 사료 요구율은 산란계와 육계가 각각 3.30, 2.48로 예상보다는 높았으나 아직 생산 능력을 외국과 비교하였을 경우 개선의 여지가 크게 남아 있음을 본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 PDF

자돈 설사병 방지를 위한 경구백신용 형질전환 당근 개발 (Development of Transgenic Carrot Oral Vaccine to Protect against Diarrhea of Piglets)

  • 이영선;황철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87-293
    • /
    • 2002
  • 병독성 대장균 (K88ac)의 pilin gene을 분리하여 이를 당근에 도입한 후 이의 발현을 유도하여 자돈 설사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당근경구백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494 세포주를 확립하였고, western분석을 통하여 0.1~4 $\mu\textrm{g}$/g의 pilin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백신식물 생산에 적합한 세포주 2종 (M1-17, Y14-1)을 선발하여 포장생산 및 임상실험에 적용하였다. 쥐를 대상으로 당근 경구 투여시 병원균 항체 생성 여부와 면역 유도를 위한 최적 농도 지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1주 간격으로 형질전환 당근 1g, 3g, 5g을 경구투여 한 결과 백신 당근 3g 투여시 10$\mu\textrm{g}$의 재조합 pilin 백신을 경구 투여한 것에 비해 다소 높은 항체 생성을 나타냈으며 3g의 분량이 쥐 면역 유도를 위한 적정량으로 확인하였다. 자돈에 대한 백신당근 경구 투여시 자돈 설사병 보호 효과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분석한 자돈의 일당 증체량은 형질전환 당근 투여시 평균 60g 이상 더 높은 증체량을 보였으며, 질병방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장독성 병원균을 인위 접종한 결과 대조구에서만 fecal score 3의 심각한 설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당근백신은 효율적 투여방법 등에 대한 후속 실험을 통하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탐색될 예정이다.

1993년도 성남지역에서 유행한 홍역 환아에서의 홍역 특이 항체 반응 (Response of Measles-specific Antibody in Children with Measles During Measles Epidemic in Seongnam, 1993)

  • 김지연;박윤형;김순기;최연화;이환종;손병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1호
    • /
    • pp.126-132
    • /
    • 1997
  • 목 적 : 높은 예방접종율에도 불구하고 흥역이 계속 발생하는 것은 1차 백신 실패 또는 2 차 백신 실패 등의 논란을 자아내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3년 전국적으로 홍역이 유행하였을 당시 인구 밀집 대도시인 성남지역에서 그 당시 홍역에 이환되었던 일부 소아를 대상으로 특이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홍역이 유행할 당시 임상진단 기준에 따라서 홍역으로 진단된 초등학교생을 대상으로 학교에 의뢰하여 93년 12월 10일부터 5일간 채혈한 후, 혈청을 분리한 후 $-20^{\circ}C$ 냉장고에 보관한 후 2개월 지나 검사하였다. Behring사의 시약을 사용하여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방법에 의해 혈청내 홍역 특이 IgM 항체 (measles-specific IgM) 및 IgG를 검사하였다. 결 과 : 1) 총 126명 (남녀비=1:1)으로 발병시 연령은 5세 6명, 6세 11명, 7세 20명, 8세 39명, 9세 22명, 10세 11명, 11세 11명, 12세 6명으로 8세 전후에 가장 많은 빈도 보였다. 홍역은 여름에 발생하기 시작한 홍역은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정점을 이루었다. 2) 홍역환자 126명중 99명(78.6%)에서 MMR접종력이 있었다. MMR접종자 99명 가운데 홍역 특이 IgM 항체에 양성은 80.8%(80/99)에서 관찰되었고, MMR 비접종자 27명 가운데 26명 (96.3%)에서 양성율을 보였다. 3) 홍역 특이 IgG 항체 반응결과 MMR 접종력이 있는 99명 중 90명(90.9%)에서, MMR 비접종군 27명중 23명(85.2%)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흥역특이 IgG 항체반응은 MMR 접종력이 있는 아동 33명중 30례(90.1%)에서 양성을 보였다. 결 론 : MMR 접종력이 있는 아동의 상당수는 시간에 따른 항체가의 감소로 인해 홍역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상당수의 환자가 IgM 항체 양성을 보인 것은 1차 백신 실패가 여전히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면역기능이 정상인 영아에서 동경주 BCG 백신 접종 후 발생한 파종성 Mycobacterium bovis 감염 1예 (A Case of Disseminated Mycobacterium bovis Infection after BCG Vaccination (Tokyo strain) in an Apparently Immunocompetent Infant)

  • 백지연;최재홍;김민경;최은화;이환종;박경운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91-96
    • /
    • 2011
  • BCG는 M. bovis로부터 유래된 생백신으로 5-6세 미만의 소아 결핵 특히 결핵성 수막염이나 속립성 결핵과 같은 중증 결핵의 예방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BCG 접종 후 이상반응은 국소 궤양 형성, 국소 림프절염이 가장 흔하며, 드물지만 골수염, 파종성 감염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도 있다. 파종성 BCG 감염은 주로 면역저하 환자에게서 흔하게 관찰되며 면역 저하가 없는 소아에게서 발생한 파종성 BCG 감염은 국내 문헌상 보고가 없었다. 저자들은 13개월 여환이 BCG 접종 5개월 뒤 발생한 발열, 피부 결절 및 다발성 림프절 종대를 주소로 내원하여, 백 신 접종 부위 외에 2군데에서 M. bovis BCG를 확인한 후 파종성 BCG 감염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다. 환아는 isoniazid와 rifampin으로 치료받았으며 약 2주 간의 입원 치료 후 임상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3주뒤 외래 추적 관찰에서 역설적 반응으로 생각되는 림프 절 종대와 피부 결절이 진행하였으나 동일 약제를 유지하면서도 다시 임상 증상이 호전되었고 환아의 면역학적 검사상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최근 국내발병 개 디스템퍼에 대한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Observation on Recent Outbreaks of Canine Distemper in Korea)

  • Doo, Kim;Ji-young, Park;So-jeo, Ahn;Seok-young, Jeoung;Son-il, Pa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9-23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병하는 개 디스템퍼(CD)의 역학적 조사를 위하여 2002년 2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강원도,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의 10개 동물병원 수의사에 의하여 CD에 감염된 것으로 잠정진단된 315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개체의 신상자료와 임상증상을 조사하였으며 CD를 확진하기 위하여 혈액의 단핵구나 결막 상피세포에서 CDV의 NP gene을 RT-PCR로 증폭하였다. CD로 의심되는 총 315마리 중 162마리가 CD 양성으로 진단 되었으며 성별과 종에 따른 발병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나이별 분포는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 기간인 6-18주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1세 이상에서도 소수 발병하였다. CD환축은 호흡기 증상, 위장관 증상, 눈의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 임상증상에 근거하여 CD를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CD 양성의 개 중 84.6%가 백신을 한번도 맞지 않았거나 예방접종을 제대로 실시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CDV에 대한 혈청 중화 항체가는 96.9%의 개가 방어수준 이하인 1:16 이하를 나타내었다. CD 양성 162 마리와 CD음성으로 진단 된 153마리의 혈청 중화 항체가 사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P<0.05), CD 양성 개 중에 생존 한 개들은 폐사한 개들보다 중화 항체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눈의 증상과 신경증상을 보인 개체들은 다른 개체들에 비해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개 디스템퍼는 예방접종의 실패에 따라 개들의 항체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예방접종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예방을 위하여 감염에 취약한 시기에는 감염원에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자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HPV 백신 접종여부 및 접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PV 백신 지식, 성 의사소통 정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Practice and Intention of HPV Vaccination among Adolescent Daughter's Mothers: Focusing on HPV Knowledge and Sex-related Communication)

  • 박승미;장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3-10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s and the intentions of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ation among adolescent daughters' mothers. The focus is on the mothers' HPV knowledge and sex-related communication with their daught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8 mothers with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 daughters. Participants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a mothers' association and churches in Seoul, Cheonan and Asan city. Information on their demographics, HPV vaccination-related knowledge, sex-related communication, and intention of receiving HPV vaccination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for Windows 21.0 software. Results: The rate of HPV vaccination, the awareness of the HPV vaccine and the rate of giving correct answers to HPV knowledge questions were 13.1%. 84.6%, and 36.3%, respectivel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PV vaccination most were their family history of cervical canc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awareness of the HPV vaccine. The intention to receive HPV vaccin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HPV knowledge. However, sex-related communication did not affect the mothers' intention of obtaining HPV vaccin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rategies to educate mothers with adolescent daughters on HPV are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strongly recommends further studies be planned to examine sex-relate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