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터리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study on the Implement Battery Management System on Event-Driven Programming (이벤트 구동형 프로그래밍 환경 배터리 관리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Oh, Chang-Rok;Lee,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78-79
    • /
    • 2011
  • 대형시스템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인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나 실시간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on System)를 사용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하는 반면 휴대용 전자정보기기와 같은 소형시스템에서는 유한상태머신(Finite State Machine)을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러한 대형시스템은 대부분 고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이 결과로 상업적 제품의 가격적인 장점을 위하여 특화된 기능만을 지원하는 유한상태머신을 사용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 기록 및 재생의 많은 전력소모를 요구하는 모바일 시스템이 많아지므로 콘텐츠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등 복잡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소형기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모바일 시스템에 사용하기에는 자체 전력소비가 많으며, 유한상태머신을 사용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요구와 복잡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수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두 가지 경우의 장점을 취한 이벤트 드리븐 프로그래밍(Event-Driven Programming) 방식을 사용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된 시스템이 SBS(Smart Battery Data Specification v1.1)[1]를 만족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4kWh Class Lithium Ion Battery Pack (4kWh급 리튬이온 배터리팩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

  • Ahn, Jeong-Hun;Ha, Jae-Ho;Seo, Myung-S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152-15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셀을 이용한 4kWh급 배터리팩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개발을 연구하였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셀의 특성 때문에 반드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배터리 팩으로 제작시 각 셀의 상태 모니터링 및 보호를 위하여 필수적인 장치이다. 제작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충방전 시험과정을 거쳐 순수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가능함을 실험하였다.

  • PDF

BMS with Active Cell Balancing (능동형 셀 발란싱 기능을 갖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 Jung, Euney;Park, Kwangun;Jung, Hanju;Lee, Hong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46.1-146.1
    • /
    • 2010
  • 최근 전력 수요의 증가와 지구 온난화 문제가 화두가 되면서 피크 전력관리와 스마트 그리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들을 구현하기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다. 본 발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되는 능동형 셀 발란싱 기능을 갖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는 원하는 전압과 전력을 저장하기위해 단전지(Cell)들을 보통 수천 개가 직렬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단전지 한 개의 용량이 다른 단전지 보다 크거나 작던지 또는 한 개의 단전지에 문제가 생기면 배터리팩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든가 또는 사용 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팩을 구성 할 때는 용량이 동일 한 단전지들을 사용한다.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팩에는 수백 와트의 단전지 들이 사용되므로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팩을 위한 단전지 생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능동형 셀 발란싱 기술을 사용 하면 이러한 배터리팩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 셀 제조원가를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팩의 가용용량을 늘릴 수 있고 또한 배터리팩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다.

  • PD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UPS Lead-Acid Battery (UPS용 납축전지를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

  • Seo, Cheol-Sik;Moon, Jong-Hyun;Park, Jae-Wook;Kim, Geum-Soo;Kim,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6
    • /
    • pp.127-133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BMS) for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lead-Acid battery in UPS. The proposed system control the currents and voltages of battery for optimum conditions to estimate the State Of Charge(SOC) in charge or discharge mode. It proved the performance and the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SOC, through the experiments which using the charge and discharge tester and the field tests.

The heavy load control of ship's battery connected power management system (배터리 연계형 선박 전력관리시스템의 중부하 제어)

  • Kang, Young-Min;Jang, Jae-Hee;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7
    • /
    • pp.1455-1463
    • /
    • 2017
  • Global economy has recorded low growth, low consumption, high unemployment rate, high risk, short boom and long recession. As a result, maritime economy declines and the reduction of maintenance costs is inevitable. Thus, Studies such as green ship, eco ship, and smart ship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save energy of ship.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use batteries in green ship is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heavy load control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a general ship using only a generator, and study a heavy load control algorithm for a battery connected power management system. To study this, a structure of battery connected power management system is proposed and a battery connected power simulator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oposed system. Through the simulator,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heavy load control is defined and confirmed in the battery connected power management system.

A Study on Development of BMS module Algorithm for Bluetooth-based Lithium-Iron Phosphate Battery pack (블루투스 기반 리튬인산철 배터리팩을 위한 BMS 모듈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ong-Min;Ryu, Gab-S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4
    • /
    • pp.1-8
    • /
    • 2021
  • Currently, lithium-ion batteries are mainly used in energy storage equipment products including automobiles. This can be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explosions in the event of incorrect battery management conditions that are overcharged or left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t also causes a situation battery cannot be used when it has been over discharged. Therefore, a system that manages the state of the battery is required.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ims to obtain optimum battery efficiency by accurately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keeping the voltage of each cell constant. In this paper, we develop a lithium-iron phosphate battery that has higher safety than a general lithium-ion battery. Then, in order to manage this, we try to develop the algorithm of the BMS module based 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sing the MATLAB-SIMULINK.

Design interchangeable battery modules with spare cells for electrical propelled ship (전기추진선박에서 예비-셀을 이용한 자가 진단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ong-Hak;Oh, Ji-Hyun;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5
    • /
    • pp.709-718
    • /
    • 2021
  • As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of ships have been strengthened, interest in smart ships such as electric propulsion ships equipped with hybrid power systems is increasing. Since batteries used in electric propulsion ships have a larger capacity than batteries used in vehicles, the price is high and maintenance is considered important. The ship's battery is manufactured as an integral type and is managed by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attery is performed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we design and implement a battery module and a control algorithm using pre-cell for easy battery management. In addition, a controller is designed to transmit the data necessary for the electric propulsion ship power system control to the power control system. When a battery to which the corresponding spare-cell is applied is used, the stability of the ship and the battery system is increased, and it can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maintenance and repair.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of High Power Li Battery Pack for Mobile Devices (이동형 기기를 위한 고출력 리튬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

  • Nam, Jong-Ha;Yoo, Seong-M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577-579
    • /
    • 2008
  • 현재 우리사회는 친환경을 요구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세계적인 추세도 같은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이미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태리,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자연 친화적, 경제적 실리 추구 및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청정 에너지를 사용하는 "미래형 이동수단"에 큰 관심을 갖고 우리보다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 이중 전기자전거는 배터리를 통해 무공해, 무소음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지관리비가 거의 들지 않고 교통체증을 완화시켜주며, 주차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어 교통수단에 혁신을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이동 수단인 전기자전거에 채용되는 고출력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MCU를 채용하는 제품에서의 문제점이었던 소비전류는 크게 저감하고 셀 밸런싱(Cell Balancing), 온도보호(OTP, Over Temperature Protection) 등의 추가기능은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저가의 전기자전거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Onlin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용 온라인 배터리 관리시스템 개발)

  • Nam Jong-ha;Choi Jin-Hong;Kim Seung-Jong;Kim Jae-Wo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07b
    • /
    • pp.830-833
    • /
    • 2004
  • UPS 시스템에서 정전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방해하는 요소의 대부분은 배터리의 불량이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UPS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전체를 교체하는 관리시스템을 가지며, 주기적인 방전시험을 실시하지만 교체기준에 대한 명확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일부에서는 배터리의 내부저항 혹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교체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지만 배터리의 비선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오차범위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부동충전시에는 정상적인 특성을 보이지만 방전시 불량 특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내부저항은 수십$[m\Omega]$의 비교적 큰 값을 가지지만 UPS에 적용되는 납축전지의 경우 수$[m\Omega]$ 정도의 아주 낮은 내부저항을 가져 측정오차에 의해 불량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평상시에는 배터리의 개별셀 전압, 온도, 전체전압 및 보관함의 온도, 충방전 전류, SOC(State of Charge)를 현장 및 원격지의 모니터링 PC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며, 정전으로 인한 방전시에는 내부저항과 개별셀의 용량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Electrical Experimental Analysis for Efficient Aircraft Starting BMS at Extremely Low Temperature (극저온에서의 효율적 항공시동용 BMS를 위한 사전 전기적 실험 분석)

  • Kim, K.W;Kim, J.H.;Kim, Y.J.;Jang, D.C.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165-16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극저온($-32^{\circ}C$)에서 항공기의 초기 시동 및 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사전 전기적 특성실험 및 이의 체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공기 초기 시동에 사용되는 리튬계열 배터리로서 원통형(cylindrical) 셀을 선택하되, 초기 시동을 위한 순간의 고출력이 가능한 6개의 셀을 수집하였다. 각 셀의 배터리팩(2S2P 및 4S4P) 형태로 구축하고 $-32^{\circ}C$)에서의 저온 방전 실험을 통해 항공기의 초기 시동용 배터리팩에 사용되는 원통형 셀의 선택 및 이의 강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터리팩의 설계 및 이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위한 초기 정보로서 중요하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