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우자의 지지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5초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 권수현;이승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65-77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at (1) investigati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variables (age, gestational weeks,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ticipating the gender of the fetus, marriage duration, and parity), (2)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ir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and (3) examining the role of prenatal attachment as a mediator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For this purpose, 221 expectant mothers living in Seoul completed a 55-item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variables, gestational weeks, perceived health condition, marriage duration, and par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for the overall prenatal attachment and subordinate factors.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and between their prenatal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proved to mediate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during the pregnancy perio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expecting parents to enhance prenatal attachment and spousal support and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어머니의 취업 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 김기원;도현심;김상원;이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01-11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using a sample of 502 mothers (207 employed and 295 nonemployed mothers) who had 1st and 2nd grade childr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employmen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less parenting stress when they perceived greater job satisfaction and higher spousal support. Lastly, spousal support moderated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stronger for the high spousal support group than for the low spousal support group.

임부의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in Pregnant Women)

  • 성미혜;주경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among pregnant wom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use of questionnaire surveys with two hundred and eighty-three pregnant women at several hospita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Daejeon city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09. Contents of questionnaire included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WIN 17.0 program. Results: Degree of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showed the high ranking among pregnant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of fetus, need for Taekyo, and time in Taekyo.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Taekyo was connec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rder of fetus and time in Taekyo. The total explanatory range was 29.3%.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multidimensional strategy in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maternal nursing education program and can be developed for practice of Taekyo.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Spousal Caregivers)

  • 홍주연;김민희;방희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3호
    • /
    • pp.367-387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고 있고 50세 이상의 배우자 부양자 142명(여자 89명, 남자 52명)을 대상으로 피부양자의 객관적인 요인, 부양자의 인구학적인 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으로 부양자의 외향성, 신경증적 성향,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 사회적 지지가 부양부담과 부양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양부담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양부담에는 피부양자의 일상생활활동수준과 신경증적 성향이, 우울에는 부양자의 신경증적 성향과 부양 전 부부관계 만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피부양자의 객관적 요인이나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비해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부담과 우울을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이 부양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마지막으로 배우자 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노년기 사별로 인한 우울증상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분석 (Effects of Interaction of Social Support with Multiple Losses on Depressive Symptoms)

  • 남일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55-263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여러 번의 사별 경험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Changing Lives of Older Couples 종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러 번의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이 한 번의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에 비해 우울증상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 수준은 사별 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러 번의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 중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노인들의 우울증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번의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일지역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 김상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233-243
    • /
    • 1999
  • 본 연구는 노인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확인하고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방안의 모색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와 경북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으로 대구지역 120명과 경북지역 119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 까지 이다. 연구도구로는 송미순(1991)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로서 정보적 지지 6문항, 물질적 지지 5문항, 감정적 지지 5문항, 자존감 지지 4문항으로 구성된 총 20문항과 Lawton과 Bordy(1971)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측정도구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전체 평균점수 2.36점 이었으며, 이 중 물질적 지지가 2.52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존감 지지가 2.18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중에서 물건구입 평균점수 2.89점, 자신의 투약에 대한 책임 2.62점, 수송양식 2.22점 순으로 높았으며, 세탁일 평균점수 1.24점, 음식 준비 능력 1.58점 순으로 낮았다. 3)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중 자존감 지지(r=.58, p=.013), 정보적지지(r=.54, p=.048), 감정적지지(r=.41, p=.000), 그리고 물질적지지(r=.32, p=.000)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연령(F=4.61, p=.004), 교육정도(F=4.04, p=.002), 배우자 유무(t=3.37, p=.000) 한달 용돈 정도(F=3.51, p=.032), 용돈에 대한 만족도(F=5.12, p=.007)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특히 사회교육으로부터의 정보적지지, 용돈 등으로 부터의 물질적지지, 배우자나 사회망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와 자존감 지지가 효과적인 지지가 되므로 노인을 중심심으로 한 사회망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키고 우리나라 노인에게 알맞는 지지간호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의 제언을 하고 자 한다. 1)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사회적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2)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를 시도할 것을 제언한다.

  • PDF

입원 시 배우자 지지 강화 출산교육이 산부와 배우자의 분만자기효능감 및 분만경험지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One Sessi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on Childbirth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in Women and their Husbands)

  • 엄소예;김은실;김현정;방양옥;전나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99-60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one-sessi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on childbirth selfcefficacy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1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couples were provided with one session 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the night before delivery. Data were collected at two hours after delivery using the Childbirth Self-Efficacy Inventory (CBSEI) and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18 program. Frequencies, percentage, mean, $x^2test$,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Childbirth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one-session childbirth education has beneficial effects on enhancing childbirth self-efficacy in pregnant couples. A one-session spouse-support enhancement childbirth education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couple's childbirth self-efficacy and it is also recommended that modifications of program to promote women's childbirth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areer Discontinuity of a Married Women Dental Hygienist)

  • 이경진;배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86-793
    • /
    • 2015
  • 본 연구는 재직 중인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 281명을 대상으로 기혼 여성 치과위생사의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6월 27일부터 7월 2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대상자의 66.9%가 치과위생사의 수명은 '짧다'라고 응답하였고, 짧은 이유로 '경력이 많으면 취직이 어렵다', '나이에 제한이 있다' 등이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42.7%가 치과위생사의 정년은 '40대까지'라고 응답하였고, 53.4%가 치과위생사의 재취업은 '조직 내 기혼자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면 언제든 가능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일반적 특성 따른 경력단절 의사는 연령(p<0.001), 근무연수(p=0.003), 자녀수(p=0.008), 자녀연령(p=0.012), 월급여(p=0.004)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직업인식에 따른 경력단절 의사는 이직경험(p=0.015), 직업수명(p<0.001), 치과위생사의 정년(p<0.001), 취업지속 시기(p<0.001), 치과위생사의 재취업(p<0.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p<0.01수준에서 직업정체성, 고용주의 지지, 배우자의 지지,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경력단절 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p<0.05 수준에서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경력단절 의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위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모델 4에서 설명력이 37.1%로 가장 설명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근무연수, 직업수명, 가족지지, 직업정체성, 고용주의 지지가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고용주의 지지(${\beta}$=-0.499)가 경력단절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고용주와 직원들은 기혼자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직장 내에서의 출산휴가, 육아휴직에 대한 배려와 치과계에서의 제도적 방안을 마련함과 더불어 시간제 근로방법을 이용한다면 구인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신규 인력의 증가보다 기혼 치과위생사들이 취업을 지속함으로써 구인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부모역할 만족도 및 배우자의 부모역할 지지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자녀양육 행동 간의 관계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and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 이진선;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321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A revised version of the Mother-Father Peer Scale (MFPS; Epstein, 1983)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 experiences. To measure parental satisfaction,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 (PSS; Duke, Rose, & Halverson, 1997) was revised and used. A modified version of the Teamwork of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PAI; Abidin, 1988) was used to assess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hild-rearing Behaviors Questionaire (Park, 1995)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child-rearing practic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and acceptance from their fathers.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permissiveness/nonintervention and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independence encouragement from their own mothers. The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of their children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when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acceptance from their own mothers. 2) Mothers who had a greater degree of satisfaction as a parent tended to show more warmth/acceptance but less rejection/restriction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had a lesser degree of satisfaction in parenting. 3) Mothers who received a greater degree of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showed more warmth/acceptance in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than those who received a lesser degree of spousal support.

자궁 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pouse Support, Intentional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Hysterectomy)

  • 채여주;김영란;이옥숙;김보람;고영심;한상미;하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7-24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절제술이라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배우자지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67명의 여성으로 수집된 자료는 t-검정, ANOVA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스트레스 대처 중 소극적 대처(r=0.27, p=.026), 적극적 대처(r=0.34, p=.004) 그리고 의도적 반추(r=0.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는 적극적 대처(r=0.7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도적 반추(β=0.42, p<.001)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총 설명력은 26%로 확인되었다(F=8.68, p<.001).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궁절제술을 가진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 반추를 증가하여 이들이 겪는 외상에 효과적으로 직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