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배수성

Search Result 1,90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atigue Life and Stress Spectrum of Wing Structure of Aircraft (항공기 주익 구조물의 응력스펙트럼 및 피로수명 추정에 관한 연구)

  • Kang, Ki-Weon;Koh, Seung-Ki;Choi, Dong-Soo;Kim, Tae-S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9
    • /
    • pp.1185-1191
    • /
    • 2010
  • Aged aircraft have several cracks as a results of long-term service, and these cracks affect the safety and decrease the rate of operation of the aircraft. To solve these problems, crack propagation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ervice life at fatigue critical location(FCL). It is, however, almost impossible to obtain the stress spectrum, which is crucial for crack propagation analysis of the FCLs of wing structure of aged aircraft.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at the FCL of an aged aircraft, first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for a 3D geometry model of the aircraft wing structure, which is obtained using CATIA based on the paper drawings. Then, the transfer function and stress-spectrum of the FCL are derived using the load factor data and the FEA results. Finally, the crack propagation rates of the FCL are evaluated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NASGRO 6.0.

Effect of Corrected Hydrostatic Pressure in Shallow-Water Flow over Large Slope (대경사를 지나는 천수 흐름에서 수정된 정수압의 효과)

  • Hwang, Seung-Y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2
    • /
    • pp.1177-1185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a new hydrostatic pressure distribution corrected for nonuniform flow over a channel of large slope. For analyzing shallow-water flows over large slope accurately, it is developed a finite-volume model incorporat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to the shallow water equations. Traveling speed of the hydraulic jump downstream a parabolic bump in the drain case is quite reduced by the weakened bottom gradient source term in the model with the pressure correction. In simulating the dam-break flow over a triangular sill, it is identified that the model with pressure correction could capture the water surface by the digital imaging measurements more than the model without that. Due to the pressure correction decreasing the reflected flows on and increasing overflows over the sill, there are good agreements in the experiment and the simulation with that. Therefore,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such practical problems as flows in the spillway of dam or run-up on the beach.

A Study on Basin Characteristics of Small Stream System (소하천 수계의 유역특성에 관한 연구)

  • An, Sang-Jin;Yun, Yeong-Nam;Gang, Gwan-Won
    • Water for future
    • /
    • v.10 no.1
    • /
    • pp.71-77
    • /
    • 1977
  • The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watershe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analysis of rainfall-runoff relations in a river basin and a quantitative descrip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values of physical parameters of a watershed which usually are input data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models. In this study the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ab River basin, which is one of the three major tributaries of Geum River, was determined quantitatively by the Horton-Strahler's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the Gab River System was developed very closely to the patterns generally described by the laws of Horton. The basic relations concern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eriveed in this study are the relations of stream length, and average stream slope, the stream length-drainage area relation, relative height-relative drainage area rel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al stream order and drainage area. No correlation analysis was possible between the morphological parameters and the streamflow due to non-existence of the stage gauging stations on the Gab River System.

  • PDF

A Study on Water Level Network Design for Operation of KHNP(Korea Hydro & Nuclear Power) Dam (한수원 댐 운영을 위한 수위관측망의 설계)

  • Jang, Bok-Jin;Lee, Yeon-Kil;Jung, Sung-Won;Han, Gi-H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1
    • /
    • 2011
  • 강수, 수위 및 유량자료 등의 수문자료는 안정된 물 관리 계획, 홍수조절 및 공급계획, 전력공급 등을 위한 댐의 역할을 원활하게 하기위한 운영의사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댐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매년 변하고 있는 댐 유역의 수문현상에 대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모델을 보정하여 정확성을 확인하고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므로 수문자료는 댐 운영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주)의 9개 댐 유역에서 기존 활용 가능한 관측소 현황 및 현장조사를 통해 운영상 목적에 맞는 최적의 수위관측망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설계 방법으로는 댐 유입량 파악과 개략적인 도달시간 파악을 위해 주요 유입지천인 국가하천과 지류 중 지방하천이라도 유역면적이 $150\;km^2$ 이상인 경우에는 유입량 파악을 위한 수위관측소를 두도록 설계하였다. 관측소 밀도는 각 댐 유역의 수문학적 유역 특성인 유역면적, 유입하천의 지형적 특성, 하천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설계된 수위관측소들은 현장의 수위관측 및 유량관측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댐 저류지 배수영향 등으로 인해 관측이 부적정할 경우 이설을 통해 적정한 위치에서 수문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한국수력원자력(주) 관할 댐 유역의 수위관측망은 자체 관할 수위관측소 뿐 아니라 자료의 공동 활용이 가능한 국토해양부 등의 관측소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댐 운영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수위 및 유량자료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Manhole with 90 Degree Bend Using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과부하 $90^{\circ}$ 접합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

  • Kim, Jung-Soo;Lim, Ga-Hui;Han, Chyung-Suck;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5-165
    • /
    • 2011
  • 현재 계획 또는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고 있는 관거 시설의 수리계산에는 연결관 내에서의 마찰손실만을 감안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고려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연결관 내부와 맨홀의 내부는 여러 가지 수리학적 조건이 다르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최원석과 송호면, 2002). 더욱이 직선으로 연결된 중간맨홀보다 유입관과 유출관이 $90^{\circ}$의 각도로 접합된 합류맨홀은 연결 구조상 유수교란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현재 실무에서 우수 배수시설의 설계 시 직선 연결맨홀과 $90^{\circ}$ 접합맨홀의 손실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90^{\circ}$ 접합맨홀에서 우수관거 시스템의 우수 배제 능력을 증가시켜 도심지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관거시설의 적정 설계 기준이 필요하며, 합리적인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90^{\circ}$ 접합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과부하 $90^{\circ}$ 접합맨홀에서의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으며, 맨홀 내 손실수두의 변화를 계산하여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맨홀 및 접합 관거의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또한 $90^{\circ}$ 접합맨홀에서 급격한 와류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기 위하여 $90^{\circ}$ 접합맨홀의 내부 형상 및 접합 조건을 변화시켜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치모형의 적용 결과 맨홀 내에서의 유속변화, 수심변화 및 압력변화에 대해서는 수리모형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치모형에 의하여 산정된 $90^{\circ}$ 접합맨홀에서 에서의 손실계수 값과 수리모형에 의하여 산정된 손실계수 값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V)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Stability Analysis of Structures -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V) - 구조물(構造物)의 안정해석(安定解析)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Jae-Hyeon;Bae, Jong Soon;Choi, Kyung;Ma, Ho-Seop;Lee, Jong-Hak;Youn, Ho-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5 no.1
    • /
    • pp.5-1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by structure stability analysis at the landsliding area occurred in Maeri, Sangdong-myeon, Gimhaesi, Gyeongsangnam-do. External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stonewall was accessed as unstable condition except for the II-D profile. It is needed to consider a counter plan to stabilize the structure. Also,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unstable retaining wall reinforced with adding draining measure. It is useful to reduce the load from upper retaining stonewall by alleviating the slope degree from stonewall structures.

An Implementation of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홍수방어 시뮬레이션 구현)

  • Lee, Hong-L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2
    • /
    • pp.33-45
    • /
    • 2003
  • This paper defines the prototype of the geographic-object field that links the geographic-object and the geographic-field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implements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hat manipulates the water quantity of saemangeum lake and the height of gate using the watershed-object field. This paper combines the natural phenomena with the artificial phenomena that occurs on the water resources of the saemangeum, and designs the object oriented class hierarchy that is composed of the total watershed-object field, and then presents the algorithm for flood control. To visualize the class hierarchy of the whole geographic-object field and the partial geographic-object field, I use the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ttributes and methods of each class can acquire the functional reusability and compatibility using the COM of the ZEUS and the Visual Basic 6.0 of Win32 APIs. By means of implementing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inally, this paper contribute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 PDF

Evaluation of CPTU Cone Factor of Silty Soil with Low Plasticity Focusing on Undraine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저소성 실트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고려한 CPTU 콘계수 평가)

  • Kim, Ju-H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6 no.1
    • /
    • pp.73-83
    • /
    • 2017
  • Laboratory and in-situ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e factors for the layers with low plasticity containing a lot of silty and sand soils from the west coast (Incheon, Hwaseong and Gunsan areas) and its applica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e factors were evaluated from 19 to 23 based on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s (qu), from 13 to 13.8 based on simple CU strengths and from 11.6 to 13.1 based on field vane strengths, respectively.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s of undisturbed silty soil samples with low plasticity were considerably underestimated due to the change of in-situ residual effective stress during sampling. Half of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qu/2) based cone factors of silty soils with low plasticity fluctuated and were approximately 1.8 times higher than simple CU based values of these soils. When evaluating cone factors of these soils, it should be judged overall on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oil plasticity and on the fluctuation of the corrected cone resistance and the sleeve friction due to the distribution of sandseam in the ground including pore pressure parameter.

폐탄광 복원에 대향 조사, 평가 및 복구 설계

  • 최정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3-21
    • /
    • 2002
  • 국내의 휴ㆍ폐탄광 수는 2002년 현재 230여 개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갱도, 폐석적치장 및 광산 시설물들은 방치상태로 남게 되며 광해의 주요인자가 되고 있다. 광해현상은 이들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 : AMD), 폐석 및 오염토양의 유실 및 하류부 퇴적, 채굴적 상부 및 인접지역의 지반침하 등이다. AMD는 pH가 6.0 미만이고 총산도(total acidity)가 총알카리도(total alkalinity)를 초과하는 물로서 노천광이 가행되었던 지역, 가행중이거나 휴광 또는 폐광된 광산에서 유출된다. 또한 도로사면 절개부나 지하철 터널에서도 황철석(pyrite)이나 백철석(marcasite)등을 함유하는 층이 공기 중에 노출되면 산성수가 침출되어 나오기도 한다. AMD에 의한 하천수의 오염이 매우 극심하여 때로는 미생물마저도 그 속에 살 수 없게 된다. AMD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의 오염범위는 산성수의 양, 농도, 하천에 유입되는 산성수의 분포, 상류에서 흘러드는 오염되지 않은 물의 양, 지류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AMD 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을 포함하여 호주, 일본, 한국, 러시아, 남아연방 등이다. AMD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기술이 도입 적용되었으며 일부 기술들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각 기술마다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경비의 과다,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지속성 여부, 공간의 확보 여부, 지역적 특수성에 맞춰 가장 적합한 방법을 채택하여야 하며 꾸준히 채택한 기술의 개량 및 새로운 기술의 첨가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AMD 오염지대에 대해 획일적으로 같은 처리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각 지역 또는 AMD가 유출되어 나오는 광산폐기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거기에 맞는 기술들을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되 처리방법 채택 시 신중을 기할 것이 요망된다. 우리나라에서도 폐탄광을 복원하기 위하여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시간적, 경제적으로 충분히 고려하지 않아 시행착오을 범하고 있다. 따라서, 복원 대상광산에 대한 실제적인 조사, 평가 및 복구설계의 과정을 예로 들어 적절한 처리과정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 Hong, Seok-Yeong;Kim, Lee-Hyeon;Choe, Eun-Yeong;Jang, Yong-Seon;Hyeon, Byeong-Geun;Son, Yeon-Gyu;Park, Chan-Won;Song, Gwan-Cheol;Lee, Ye-Jin;Kim, Myeong-Suk;Jeon, Sang-Ho;Ha, Sang-Ge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3 no.1
    • /
    • pp.27-40
    • /
    • 2011
  • 토양정보는 식량생산, 지속적인 토지이용 계획, 종다양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우리나라 토양조사의 역사,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 구축과 토양검정, 토양도와 토양검정 자료의 특성, 농업환경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일반농경지 및 취약농경지 토양, 토양정보의 전산화에 따른 토양데이터베이스와 토양정보시스템 소개, 구축된 토양정보의 활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40여년 동안 수행되었던 국책 토양조사사업 결과 두 종류의 토양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는데,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1:250,000, 1:50,000, 1:25,000, 1:5,000)를 GIS DB로 전산화한 수치토양도 DB와 필지 단위로 조사된 화학성 위주의 토양분석 성적을 구축한 토양비옥도 DB이다. 흙토람(http://soil.rda.go.kr)에 서 제공하는 토양전자지도는 총 111종으로 토성, 경사, 지형, 모재, 배수등급, 자갈함량, 유효토심 등 토양 GIS 주제도 50종, 사과, 배, 마늘, 수박 등 작물 재배적지 61종이고, 82종의 토양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에 따른 경작형태 및 오염원별 농경지 토양의 이화학성 및 농업용수 수질 조사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공간적인 분포와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농업환경변동 정보는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일반농경지의 화학성과 농업용수의 수질, 토양 미생물 등의 공간적인 분포와 시간적인 변화 정보를 전문가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변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쉽게 가공하여 일반인들에게 농업환경과 자연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토양정보와 농업환경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보다 내실있게 하고 정보 수요자별로 손쉽게 목적에 맞는 접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