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설물 분석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GIS를 이용한 경북 봉화군 운곡천 수달(Lutra lutra Linnaeus, 1758)의 서식지 분석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 정종철;조영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29-42
    • /
    • 2004
  • 본 연구는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운곡천을 대상으로 수달의 배설물(Spraint) 및 배설지(Sprainting site)등의 흔적조사를 통해 얻은 GPS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1/25000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에서 얻은 정보를 ESRI사의 Arcview를 통하여 수달의 최적 서식지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는 먹이자원인 어류의 종다양도와 풍부도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식생 등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집된 주거지 등의 인간의 간섭은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수달의 이주(Trans-location)등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시도에서 적합 서식지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배제와 풍부한 어족자원, 좋은 식생을 두루 갖춘 서식지를 찾아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43-1047
    • /
    • 2002
  •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방법에서 식품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식이섭취조사 이외에도 소변을 통한 분석방법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이소플라본 90mg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매일 1회씩 섭취하도록 하고, 실험전과 실험 후반 3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1일간의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소변으로의 이소플라본 배설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25명의 평균 연령은 64.2세였으며, 신장은 149.6 cm이었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각각 58.1 kg,25.9kg/m$^2$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1337.5 kcal였으며, 이소플라본 공급기간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의 섭취량은 실험전 1일 평균 56.9g으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이소플라본 공급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외에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를 제외한 지질, 당질, 비타민, 무기질의 섭취량에 있어서도 실험 전과 실험 기간중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식이중 총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5.3 mg이었으며, 이중 다이드제인이 11.8 mg, 제니스테인이 13.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공급 기 간(90 mg/day)중 일상 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1.5 mg으로 실험전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공급전의 24시간 소변중 이소플라본(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합) 배설량은 8.4 mg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량의 15.8%가 비례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었다. 매일 90mg의 이소플라본을 공급(90 mg/day)한 3개월 후에는 13.9mg으로 공급전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24시간 소변을 통한 이소플라본 배설량 특히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측정은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수가 적고 실험기관 공급수준의 다양성이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많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기간과 섭취수준을 달리하는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수도 체계에서의 SARS-CoV-2 검출 및 감염 확산 예측 (SARS-CoV-2 detection and infection scale prediction model in sewer system)

  • 김민경;조윤근;신중곤;장호진;류재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2-392
    • /
    • 2022
  • 세계적 규모의 팬데믹 감염병의 출현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매우 강력하며 전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최근에 발병한 중증급성 호흡기질환 코로나바이러스 2(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첫 보고 되었고 2022년 현재까지 종식되지 않고 있으며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치명률이 높고 무증상 감염상태일 때에도 전염이 가능하여 현재 역학조사의 사후적 대응에 대한 한계가 있어 선제적 대응을 위한 수단이 필수 불가결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수기반역학(Waste Based Epidemiology, WBE)이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기 전의 하수를 분석하여 하수 집수구역 내 도시민의 생활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하수로 배출된 감염자의 분비물 및 배설물 속 바이러스를 하수관로에서 신속하게 검출함으로써 특정지역의 감염성 질환 전파 정도와 유행하는 타입(변이)등을 분석하고 기존 역학조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현재 COVID-19의 대유행과 관련하여 WBE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환자의 발생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고 있고 백신 접종과 새롭게 발생한 변이바이러스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고려한 모델이 없다는 점을 들어 새로운 감염병 확산 예측 모델에 대한 필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부터 하수처리장까지의 하수관거와 하수처리장에서의 SARS-CoV-2 검출농도 및 거동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COVID-19의 감염규모 확산에 관한 방법론에서 수학적모델 (Euler Method, RK4 Method, Gillespie Algorithm)과 딥러닝 기반의 Nowcasting model과 Fore casting model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ROM를 이용한 부영양 저수지의 유기물 제어: 이매패의 종 특이성에 대하여 (Continuous Removal of Organic Matters of Eutrophic Lake Using Freshwater Bivalves: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Differences)

  • 이주환;황순진;박선구;황수옥;유춘만;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50-363
    • /
    • 2009
  • 부영양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연속형 유기물제어(CROM)기술을 이용하여 이미 제어능이 밝혀진 국내산 이매패 말조개와 펄조개를 대상으로 이종간 또는 동종간의 유기물 섭식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CROM은 매일 저수지 표층수를 직접 실내로 유입하였으며 저장소 및 조절조, 처리조, 분석조 등으로 구성하였다. 섭식실험은 온도와 광도가 일정하게 조절된 실험실에서 실시하였으며, 패류 처리 후 여과율, 제어능, 수질(영양염) 및 배설물 생산량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패각길이가 비슷할 경우 이종간에 유기물 제어능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여과율의 경우에는 말조개가 더 높게 나타났다. 동일종(동밀밀도)내에서는 패각길이가 긴 개체들이 더 높은 제어능을 나타냈으며, 반대로 여과율은 패각길이가 짧은 개체가 높았다. 한편 동일종에서 처리밀도가 다를 경우 저밀도 처리군이 고밀도 처리군 보다 더 높은 여과율을 나타냈다. 배설물 생산은 여과율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처리밀도와 먹이농도 변화가 배설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패류는 평균 70% 이상의 뚜렷한 유기물(Chl-$\alpha$, SS) 제어율을 나타냈으며 섭식활동에 따른 $NH_4$-N나 $PO_4$-P과 같은 무기영양염의 배출량은 패각길이나 처리밀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CROM기술을 이용한 부영양 저수지의 유기물 제어는 적절한 패류의 종류나 밀도의 결정을 통하여 충분히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생물학적 기법으로 판단되며, 부산물 처리 및 자원화를 비롯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뇨시료에 함유된 7-keto-DHEA-acetate의 대사체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f the metabolites for 7-keto-DHEA-acetate in human urine (II))

  • 김연제;이진희
    • 분석과학
    • /
    • 제17권5호
    • /
    • pp.401-409
    • /
    • 2004
  • 7-keto-DHEA-acetate는 DHEA의 대사체인 7-keto-DHEA로 변하고 체내에서 대사되는 과정이 서로 유사하였으며 복용 후 검출된 대사체 M3, M4 및 M5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사체 M3과 M4는 분자량이 304이며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세 개 이상 가진 구조로 예상되었으며, M3의 경우 3번과 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를 가지는 7-OH-DHEA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사체 M4는 3번과 17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는 구조인 7-oxo-diol 이었다. 대사체 M5는 분자량이 320이며 M3 및 M4와는 달리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네 개 이상 가진 구조일 것이라고 예상되었으며, 3번과 7번 그리고 16번 탄소위치에 히드록시기가, 그리고 1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7-keto-DHEA-acetate 복용 후 최대 배설량을 보인 대사체는 7-OH-DHEA 이었으며, 복용 5시간 후 최대의 배설량을 보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체외로 배설되기도 하지만 복용 58시간 후의 뇨 시료에서도 검출되기 때문에 체내 잔류성이 높은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섬진강수계의 오염원 관리방안에 따른 수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Pollution Management Plan of Seomjin River Water System)

  • 원찬희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14-527
    • /
    • 2018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섬진강수계의 수질을 예측 분석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배출수 관리강화 및 오염물질 관리 개선과 국내 축산계 감소에 따라 수질이 최대 BOD 15.32 %, T-N 7.17 %, T-P 62.86 %로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적인 감축 계획수립, 오염부하량 저감계획, 하수 처리 효율 증대 계획, 공공하수처리시설 확대로 인한 오염물질 감소 및 총 오염 부하 동물 배설물 에너지 회수 등 다양한 삭감계획을 보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증가 및 경제발전을 고려한 수질 개선 계획에 대한 연구개발은 수질 개선에 효율적이다.

YOLO에 기반한 유해 야생동물 피해방지 및 퇴치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revention and Eradication System for Harmful Wild Animals Based on YOLO)

  • 채민욱;이충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37-142
    • /
    • 2022
  • 해마다 야생동물이 인간의 거주지에 출몰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재산 및 인명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나 농가에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경우에 그 피해가 더 심하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속도로에는 생태통로와 유도펜스를 설치하였다. 또한, 농가에서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한 경적 퇴치기, 그물망 설치, 배설물로 퇴치 하는 등방법을 쓰고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들며 그 효과가 높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AI 기반 영상분석 방법인 YOLO(You Only Live Once)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실시간 분석하여 오작동을 줄였고, 퇴치장치로 고휘도 LED와 초음파 주파수 스피커를 이용였다. 스피커는 동물들만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를 출력하여 야생동물만 퇴치하도록 효율성을 높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범용 보드를 사용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기존의 센서를 이용한 장치들보다 감지 성능이 높다.

Clinical Therapeutic Drug Monitoring

  • 윤영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106
    • /
    • 1997
  • 약물 투여 후 약효의 출현은 흡수, 분포 등의 약동학적 단계(pharmacokinetic phase)를 거쳐 수용체 부위에서 약물과 수용체 사이의 약력학적(pharmacodynamic)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약물요법 시 약효나 독성 발현의 큰 개인차는 약동학적 또는 약력학적 개인차에 의해 나타나며, 많은 약물에서 약효의 개인차는 흔히 약동학적 차이가 주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고, 약물의 특성에 따라 약물의 대사 및 배설과 관련 있는 신장, 간장 및 심장 질환자에서는 현저한 약동학적 변화로 용법 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약동학적 개인차는 안전역이 좁은 약물에서 더욱 문제가 되며 이러한 약물의 적정 요법을 위해서는 수용체 부위와 평형을 이루고 있는 혈장약물농도를 적정 유지하는 것이 약동학적 개체차를 배제할 수 있는 한 방안이다. 근자에 이르러 체액내 약물 및 이의 대사물을 측정하는 분석 화학의 발전과, 임상 약물 동태학(clinical pharmacokinetics)의 도입 등으로 개개 환자에서의 적정 약물요법을 위한 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이 구미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의료분야의 연구 및 임상응용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본 지면을 통하여 임상약리학적 지식을 이용한 혈장 농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에서의 적정 약물요법을 제시하는 TDM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활용한 어류 가두리 양식장 내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 (Origin and Source Appointment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 Marine Fish Cage Farms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 고영신;이대인;김청숙;심보람;김형철;이원찬;이동헌
    • 생태와환경
    • /
    • 제55권2호
    • /
    • pp.99-1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양식장 퇴적 유기물의 기원 및 기여도 평가를 위해 어류(숭어) 가두리 양식장이 이동된 후 수층 및 퇴적물 내 물리/화학적 인자들의 변화와 함께 안정 동위원소 비의 특성을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과거 양식장 퇴적물 내 축적된 유기물의 거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어장환경평가 기법을 검토하였다. 연구정점(OFF 및 control)에서 입자성 및 침강물질은 정점 간 차이보다는 계절적 강수량 변동에 따라 차별적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퇴적물 내 분석된 δ15N 결과는 수층 기원 질소원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거 외부기원의 유기물 (예: 어류 배설물)의 다량 유입이 주된 요인이라 판단된다. 실제로 과거 어류 가두리 양식활동으로 인해 OFF 정점 내 어류 배설물의 우점적 기여(>50%)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정점 내 분해되지 않은 어장 양식기인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수준으로 존재할 것이라 판단되며, 어장 회복력의 체계적인 진단을 위한 중요한 고려요인이라 판단된다.

내성천에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증강도입과 모니터링 (Augmentation and Monitoring of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cheon Stream, Korea)

  • 나진영;최병습;황상철;양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16-223
    • /
    • 2015
  •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