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화댐퍼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of Fire Dampers (방화댐퍼의 내화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Seo, Hee-Won;Sung, Si-Chang;Choi, Dong-Ho;Kim, Dae-Hoi;Park,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90-95
    • /
    • 2010
  • 방화댐퍼는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덕트에 설치되어 화염의 전파 및 연소확대를 방지하도록 하는 방화설비로서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구조 및 시험기준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으나, 정해진 성능기준이 없으며 방화설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내화성능에 대해서 언급이 없는 등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댐퍼의 'KS F2840(방화댐퍼의 내화시험방법)'시험에 대해서 소개하고, 방화댐퍼의 내화시험 사례를 통해 성능 평가방법으로서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proof performance of fire damper in accordance with insulation conditions on the coaming and blade (코밍 방열 두께 및 블레이드 방열 유무에 따른 방화 댐퍼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Tai-Jin;Kim, Joung-Sik;Choi, Kyeong-Kwan;Lim, Young-Soo;Kim, You-Tae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431-437
    • /
    • 2013
  • In this paper, Fire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to obtain class H-120 thermal insulation of fire dampers according to a hydrocarbon fire conditions. Specimens were fabricated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sulation system applied to damper blade and coaming which wer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by performing the fire resistance test. As a test result, specimen-1, 2 of an uninsulated damper blade were exceeded thermal insulation acceptance criteria at 21 minutes, 46 minutes respectively, but specimen-3 of an insulated damper blade was satisfied thermal insulation acceptance criteria during 120 minute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sulation of the damper blad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ireproof performance of fire dampers concerning the coaming length minimum 500 mm on the unexposed side as specified test standard.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Damper Position on Characteristics of Thermal Flow at the Vestibules and Fire Door (댐퍼의 위치가 부속실 및 방화문에서의 열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Moon, Hyo-Jun;Ko, Gwon-Hyun;Ryou, Hong-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7 no.1
    • /
    • pp.31-38
    • /
    • 2013
  • The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is important for fire safety in building because it is directly concerned with egress time of people. Even though the damper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the phenomena of backflow smoke occurs for a certain the damper position. The research for a position of damper effects on distribution of air flow at the fire door is not performed.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using FDS 5.5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osition of damper on flow distribution at the fire door. To simulate real situation, effects of opening and closing of fire door was considered. As a result, when HRR was between 200 kW and 400 kW, in the case which the damper was on the opposite wall of the fire door, the back flow to the vestibules was large compared to the two other cases of damper position. But when HRR was above 400 kW, Effect on damper position was not occurred.

Numerical Study on Air Egress Velocity of Ancillary Room Pressurization Systems in Apartment Fires (공동주택 화재 시 부속실 가압 시스템의 방연풍속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Kim, Byeongjun;Yang, Ying;Shin, Weon G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4
    • /
    • pp.78-86
    • /
    • 2020
  •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the air egress velocity of pressurization systems in an ancillary room when a fire occurred in an apartment ho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supply flow rate of a damper and air egress velocity at a fire door is predicted to be linear. Additionally, a minimum flow rate of the damper, which meets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for air egress velocity, i.e., 0.7 m/s can be estimated. Air egress velocity at the fire door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pply air direction and installation height of the damper. When the damper has an upward supply air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a high level, the egress velocity at the top section of the fire door is larger, whereas the soot concentration at the ancillary room is lower than whe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damper is downward. Therefore, it is found that increasing the air egress velocity at the top section of the fire door helps to efficiently prevent the inflow of smoke.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the builing fire compartment (방화구획 관통부에 관한 연구)

  • Park, Jong-Jin;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7-41
    • /
    • 2010
  • 스프링클러설비와 방화구획 구성요소는 화재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에 15층이하 아파트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없어 화재시 방화구획에 의존해야 되는데 방화구획 관련 설계, 시공, 감리가 미비하여 화재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설비슬리브, 전선관, 덕트등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틈을 시멘트모르타르나 기타 불연재료로 메우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화재발생시 관통부를 메운 재료의 내화성능 부실, 균열, 탈락 등으로 화재안전성이 떨어진다. 현장에서의 설계, 시공, 감리등 대응하는 자세가 너무 허술하다. 설계에 방화댐퍼, 관통부 틈새의 내용이 반영 되지 않고 건축, 기계, 전기, 통신, 소방등 각 분야의 허가 도면에 도장이 날인되어 나타난다. 시공자는 잘못된 설계도면을 가지고 허가 도면이라며 도면되로 시공한다. 또한 실리콘, 우레탄폼등을 방화구획 관통부 틈새에 주입하며, 작업자도 비숙련자로서 개념도 없이 방화용실란트와 우레탄폼을 혼용해가며 작업을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ydrocarbon Fire Resistance Test of the "H" Class Divisions (해양플랜트용 화재보호기자재의 탄화수소계(Hydrocarbon Fire) 내화성능평가)

  • Choi, Tai-Jin;Kim, You-Taek;Kim, Jou-Sik;Choi, Kyeong-Kwan;Jang, Seong-Cheol;Han, So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6a
    • /
    • pp.205-205
    • /
    • 2012
  • 선박에서는 화재안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박을 방화구획화 함으로써 발화의 지점에서 화재를 차단하여 인근지역으로 확산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 덕트 및 전선관통부 등을 통하여 유독가스 및 화염이 순식간에 이동하게 되며, 한쪽 구역에서 발생한 화재의 영향이 다른 구역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화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불길을 차단하기 위하여 관통부재에 대하여 해당 방화구획과 동등한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선박에 적용되고 있는 방화구획의 등급은 용도에 따라 일반 상선 등에는 "C ~ A"급, 해양플랜트에는 "C ~ H"급 등급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선박 기자재 제작 기술은 "A"급에 머물러 있고 최근 국내 조선소의 해양플랜트 수주 증가와 해양플랜트로의 사업전환으로 관련기자재기업에서 "H"급 기자재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개발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 급 방화구획에 적용되고 있는 탄화수소계(Hydrocarbon Fire) 내화시험기준과 "H"급 Fire Damper의 단열두께에 따른 탄화수소계(Hydrocarbon Fire) 내화성능실험을 통한 방화 댐퍼의 비 노출면에 대한 방열성능 확보방안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