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향성 음원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tegrated Algorithm of Sound Source Separation and Localization (음원 분리와 음원 위치 추정 통합 알고리즘)

  • Han, Taek-Ji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1-1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스테레오 환경에서도 정확한 음원 위치 추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원 위치 추정 방법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주성분 신호와 방향성이 없는 주변 성분으로 구성된 스테레오 환경에서만 음원의 위치 추정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스테레오 신호는 방향성을 가지는 다수의 음원으로 구성되어있고, 기존의 음원 위치 추정 방법으로는 정확한 음원 위치 추정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다수의 음원을 분리한 뒤,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음원의 분리 과정에서 생기는 분리 오차가 커서 음원 위치 추정이 정확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음원 위치 추정을 위하여 음원 분리와 음원 위치 추정이 통합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음원 위치를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coustic parabolic equation model with a directional source (방향성 있는 음원이 적용된 음향 포물선 방정식 모델)

  • Lee, Keunhwa;Na, Youngnam;Son, Su-U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9 no.1
    • /
    • pp.1-7
    • /
    • 2020
  • The acoustic parabolic equation method in the ocean is an efficient technique to calculate the acoustic field in the range-dependent environment, emanating from a point source. However, we often need to use the directional source with a main beam in the practical problem. In this paper, we present two methods to implement the directional source in the acoustic parabolic equation code easily. One is simply to filter the Delta function idealized as an omni-directional point source. Another method is based on the rational filtering of the self-starter solution. It has a limitation not to separate the up-going and the down-going wave for the depth, but would be useful in implementing the mode propagation. Numerical examples for validation are given in the Pekeris environment and the deep sea environment.

Optimal Acoustic Sound Localization System Based on a Tetrahedron-Shaped Microphone Array (정사면체 마이크로폰 어레이 기반 최적 음원추적 시스템)

  • Oh, Sangheon;Park, Kyusik
    • Journal of KIISE
    • /
    • v.43 no.1
    • /
    • pp.13-26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new sound localization algorithm that can improve loca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a tetrahedron-shaped microphone array. Sound localization system estimates directional information of sound source based on the time delay of arrival(TDOA) information between the microphone pairs in a microphone array. In order to obtain directional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in three dimensions, the system requires at least three microphones. If one of the microphones fails to detect proper signal level, the system cannot produce a reliable estimate. This paper proposes a tetrahedron- shaped sound localization system with a coordinate transform method by adding one microphone to the previously known triangular-shaped system providing more robust and reliable sound localiza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 real time simulation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ly known triangular-shaped system.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tetrahedron-shaped sound localization system is superior to the triangular-shaped system by more than 46% for maximum sound source detection.

A Study on Multichannel Format Conversion and Representation of Spatial Sound Information (다채널 포맷 변환과 공간적인 입체 음향 정보의 효과적인 유지에 대한 연구)

  • Jeon, Se-Woon;Park, Young-Cheol;Youn, Dae-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5
    • /
    • pp.34-44
    • /
    • 2010
  • In this study, the algorithms for multichannel format conversion and robust representation of spatial sound information are proposed. In the spatial analysis, the directional information of sound source is estimated and sound sources are separated from stereo signal. In the spatial resynthesis, the multichannel matrixing with spatial repanning and post-scaling method are applied to represent a spatial sound. The conventional method about channel format conversion has the problem that the energy of sound source and the spatial information are not preserved in the desired channel format. Because the proposed method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multichannel format and its resynthesized signal, the robust representation of spatial sound can be achieved in the multichannel format conversion.

Robust variable range focusing with a virtual source array using the waveguide invariant in underwater (수중에서의 도파관 불변성을 이용한 가상 음원 배열 기반의 다양한 거리 방향으로의 강인한 집속)

  • Byun, Gi Hoon;Kim, J.S.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1
    • /
    • pp.23-29
    • /
    • 2017
  • A concept of a VSA (Virtual Source Array) is the method for an acoustic spatio-temporal focus at a selected location in the outbou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SA without the need of a probe source as combines a TRP (Time-Reversal Processing) and time-delay and beam-steering. However, in TRP using the VSA concept, it is limited to the critical angle and the short distances relevant to the VSA. In this paper, the waveguide invariant theory is applied to the VSA concept to refocus the received field at ranges greater other than the critical angle and the short ranges by shifting the focused field. The suggested method is verified via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obust acoustic focusing is achieved on the selected location regardless of the limitation on the conventional VSA concept.

Trends of Digital Music Distribution (온라인 음원유통 동향)

  • Kim, A.Y.;Park, C.W.;Chae, W.S.;Suh, J.H.;Lee, J.W.;Yang, U.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4
    • /
    • pp.71-81
    • /
    • 2015
  • 스마트 기기와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을 바탕으로 음원시장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 음원유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온라인 음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유통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음원유통에 사용되는 국내외 식별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온라인 음원유통을 위한 플랫폼과 표준화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온라인 음원유통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of IoT Device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Sound Source Detection and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음원탐지 및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재용 IoT 디바이스 시스템 설계)

  • Ghil, Min-Sik;Kwak, Dong-Kur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8
    • /
    • pp.53-59
    • /
    • 2020
  • This paper relates to an IoT device system that detects sound source and estimates the sound source loc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 system using a sound sour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direction of a sound sour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of arrival time of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ed from microphone sensors, and track the generation direction of a sound source using an IoT sensor. As a result of a performance test by generating a sound source, it was confirmed that it operates very accurately within 140dB of the acoustic detection area, within 1 second of response time, and within 1° of directional angle resolu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is design plan, we plan to commercialize it by improving the reliability by reflec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rough big data analysis.

Direction Estimation of Multiple Sound Sources Using Circular Probability Distributions (순환 확률분포를 이용한 다중 음원 방향 추정)

  • Nam, Seung-Hyon;Kim, Yong-Hoh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6
    • /
    • pp.308-314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techniques for estimating directions of multiple sound sources ranging from $0^{\circ}$ to $360^{\circ}$ using circular probability distributions having a periodic property. Phase differences con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of sources can be modeled as mixtures of multiple probability distributions and source directions can be estimated by maximizing log-likelihood functions. Although the von Mises distribution is widely used for analyzing this kind of periodic data, we define a new class of circular probability distributions from Gaussian and Laplacian distributions by adopting a modulo operation to have $2{\pi}$-periodicity. Direction estimation with these circular probability distributions is done by implementing corresponding EM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s. Simulation results in various reverberant environments confirm that Laplacian distribution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von Mises and Gaussian distributions.

The Improvement of privately telephonic communication for cellular phone by acoustic approach (음향학적 접근에 의한 휴대 전화의 속삭임 통화 기능 향상)

  • Choi Sungjoon;Moon Wonkyu;Lee Jounghyu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17-322
    • /
    • 2001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이 인간 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지만 개인의 정보 유출이나 소음 공해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야기 시켰다. 특히 휴대 전화 통화시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들이 공공 장소에서 그대로 노출이 되고, 또 그러한 통화로 인해서 타인에게 소음 피해를 주기도 한다. 이러한 병폐를 막기 위해서 휴대 전화 사용자는 최대한 작은 소리로 통화를 하되, 상대방에게 의도하고자 하는 바를 확실히 전달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휴대 전화에 근접 통화가 가능해야 하며, 일정한 방향의 방향성을 가져서 주위의 잡음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향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휴대전화에 사용되어지는 마이크로폰을 새로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였다. 아주 작은 소리로 근접 통화를 할 때 발생하는 팝핑(popping) 현상이 최소한이 되도록 미세관 배열을 적용하였으며, 외부 소음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방향성을 증폭시키고자 음원의 위치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방향성 증폭은 4개의 마이크로폰 사용과 근거리 음원의 방향성 증가를 위한 신호 처리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기술의 적용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능동 소나 체계에서의 표적 탐지 거리 예측 알고리즘과 응용

  • 박재은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86-189
    • /
    • 1993
  • 능동 소나 체계에서 표적의 탐지거리 예측을 위하여 소나방정식이 이용되는데, 이는 음원 준위, 전달 손실, 표적 강도, 복반사 준위, 소음 준위, 방향성 이득, Detection threshold, Signal excess, 탐지 확률과 탐지거리의 요소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 소나 체계에서 소나 깊이와 표적 깊이의 함수인 탐지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나의 각 요소와 환경이 주어졌을 때 SAFARI 모델을 이용하여 각 수신기의 깊이와 거리에서의 전달손실을 계산하였으며, 구하여진 전달 손실과 배경 소음 준위를 이용하여 Signal excess를 계산하였다. ROC(Receiver-operating-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Signal excess를 탐지 확률로 계산한 후 두 항을 곱하여 각 깊이별 거리로 적분함으로서 탐지거리를 구하였다. 주파수 30Hz의 전방향 음원을 사용하여 여름의 일반적 음속 분포에서 계산한 결과 100m 음원 보다 300m 음원에서 상대적으로 큰 탐지거리를 얻었으며 각 음원 깊이별 평균 탐지거리는 100m 이하의 표면을 제외한 500m 까지는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