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제자원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생태계 다양성과 과수원 응애류 해충 종합관리: 이론적 고찰과 미래 전망 (Agro-ecosystem Diversity and Integrated Mite Pest Management in Fruit Orchards: A Review and Future Prospect)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9-61
    • /
    • 2021
  • 과수에서 초기 해충종합관리(IPM) 모형은 응애류 종합관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간은 기존 방제체계인 화학적 방제와 호환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천적을 접목한 생물적 방제가 작동하는 것에 있었다. 이후로 생태계 종다양성과 해충 개체군 변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과 기작은 과수 생태계에서 응애류 중심의 해충관리에 대한 더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하였다. 생태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 개변 또는 변경을 통한 생물적 방제와 해충관리는 농생태공학적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응애류 해충의 관리에 있어서는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된 천적의 다양성이 역동적으로 변동되어 작동하고 있으며, 식식성 응애류의 종 구성도 과원관리 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사과 IPM의 근간이 되었던 응애류 생물적 방제를 고찰하면서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과 해충관리, 포식성 응애류 종다양성과 응애류 관리, 환경과 응애류의 종 구성 변동 원리에 대하여 기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사과원 응애류의 생물적 방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천마 괴경썩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Tuber Rot of Gastrodia elata Caused by Fusarium spp.)

  • 김창수;이한나;김효진;서상영;조종현;이은숙;안민실;김희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61-574
    • /
    • 2021
  • 본 연구는 Fusarium spp.에 의해 발생하는 천마 괴경썩음병에 대하여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기농업자재 15품목을 대상으로 실내에서 항균활성 검정과 실내시설에서 천마 자마에 포자현탁액 접종을 통한 자마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중 미생물제인 7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Fusarium sp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천마 자마를 이용한 검정에서 3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7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 sulfur가 유효성분인 광물질 제제의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그 다음으로 3품목의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적용하였는데, 예방적 처리를 했을 때 3품목 모두 병 발생에 대한 억제 효과가 상당히 높았다. 특히 sulfur와 B. subtilis의 예방적 효과는 각각 93.2%, 86.9%로 탁월하였으며, 치료적 효과는 73.3%, 60.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citronella + paraffin oil + ethyl alcohol은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가 각각 73.3%, 67.0%로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하우스 내 연작 재배지에서 잘 발생하는 천마 괴경썩음병은 유기농업자재로 충분히 방제될 수 있으며, 예방적 처리가 더욱 중요하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당근 세균잎마름병에 대한 효과적 방제 수단 (Effective Control Strategy against Bacterial Blight on Carrot )

  • 강현수;김미진;신용호;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05-413
    • /
    • 2023
  • 당근 세균잎마름병을 일으키는 Xanthomonas hortorum pv. carotae는 당근 생산량에 큰 피해를 주는 병 중 하나로 국내에서 아직 방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근 세균잎마름병균에 효과적인 농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3종의 항생제 streptomycin, oxolinic acid, kasugamycin, 2종의 구리제 copper hydroxide, copper sulfate basic 그리고 길항근권세균 Burkholderia gladioli MRL408-3, Pseudomonas fluorescens TRH415-2, Bacillus cereus KRY505-3을 선정하여 인공배지를 이용하여 이들의 직접적인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 중 항생제 streptomycin, oxolinic acid와 길항미생물 MRL408-3을 처리한 배지에서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당근 잎에 농약과 항균효과를 보였던 길항미생물 MRL408-3을 전처리한 후 당근 세균잎마름병균을 접종하였더니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을 전처리한 당근 잎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당근 잎 표면의 장방출주사현미경 이미지에서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를 전처리한 잎에서는 세균 수가 무처리한 잎과 비교하여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streptomycin과 oxolinic acid와 같은 항생제가 다른 약제에 비해 방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당근 세균잎마름병에 대한 이상적인 방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백겨자 식물자원의 저항성 스크리닝 (Resistance screening of white mustard(Sinapis alba) plant resources against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 고형래;김진원;박세근;네이트산 카르시;박병용;김선화;김진철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135-142
    • /
    • 2024
  • 클로버시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 CCN)은 국내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선충 중 하나로, 2017년부터 강원도 고랭지배추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훈증성 살선충제는 CCN 관리에 좋은 방제 방법이지만, 강원도 고랭지배추 재배지는 경사지가 많아 비닐 피복이 어렵기 때문에 훈증성 살선충제 처리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CCN 관리를 위한 대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살선충 피복작물과 저항성 품종이 대안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우리는 선충방제용 녹비작물 또는 저항성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씨앗은행의 백겨자(Sinapis alba) 82개 자원을 대상으로 CCN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1차 시험에서는 15개의 백겨자 자원이 CCN에 저항성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자원은 CCN에 감수성이었다. 선발된 15개 자원 중 13개 자원을 대상으로 CCN 저항성의 재현성 검정을 위해 2차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백겨자 5개 자원(IT297309, IT297312, IT302951, IT302953, IT302954)이 CCN에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백겨자 5개 자원은 선충 방제용 녹비작물로 활용하거나 CCN에 저항성인 고랭지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판단된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on Vegetable Plant)

  •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강종운;박유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5
    • /
    • 2013
  • 본 연구는 살충효과가 알려진 식물체들 중 8종을 공시하여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살충효과의 여부를 검정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식물 추출물 $1500mg{\cdot}L^{-1}$에서 48시간 후의 배추좀나방 살충율은 고추씨 추출물이 83.3%로 가장 높았다. 생물검정을 해서 배추좀나방 방제효과가 있는 고추씨, 애기똥풀, 익모초, 박하, 황련 식물추출물 5종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 5종의 약해 검정 결과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발아, 유아, 유엽의 생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온실 안에서 pot에 식물추출물을 처리하여 조사하였는데 열무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3.3%의 방제가를 보였고, 고추씨 추출물도 7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70%,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할 때 방제가가 66.7%이었다. 포장에서 선발한 식물추출물의 효과를 피해 엽률로 조사한 결과, 열무는 고추씨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방제가가 62.4%로 나타났다. 엇갈이배추는 황련추출물을 처리할 때 64.6% 방제가를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12회를 처리 한 후 수확 전에 조사한 결과 열무는 황련추출물 및 고추씨추출물은 방제가가 87.4%, 83.7%였고, 엇갈이배추는 방제가가 황련추출물이 74.3%, 애기똥풀 추출물이 69.3%를 나타냈다.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방해(螃蟹) 열수추출물의 보호효과 (Crab Water Extrct Ameliorates Reflux Esophagitis in Rats)

  • 남현화;서윤수;송준호;이아영;노푸름;문병철;이지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8
    • /
    • 2022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 to demonstrate an effect of crab water extract (CWE) on reflux esophagitis (RE) us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 and rat model. Methods: To investigate on LPS-induced Raw 264.7 cell, CWE was co-treated with LPS. CWE suppress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hich increased by LPS treatment. Also, CWE showed no cytotoxicity at the concentrations range from 500 ㎍/㎖ to 2000 ㎍/㎖. Nex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CWE on RE rat model, eighteen rats were divided in to three groups: sham group, reflux esophagitis group, and reflux esophagitis pre-treated with 100 mg/kg CWE 1 h before surgery. RE was induced by a pylorus and forestomach ligation operation and all rats were sacrificed after 4 h 30 min from surgery. Results: In gross examination, the CWE administration attenuated esophageal mucosal injury upon histological evaluation of reflux esophagus of rats. The CWE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related to inflammation, such as COX-2 and TNF-α in the esophagus tissue. In addition, the CWE suppressed the NF-κB and IκB-α activ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CWE could possess protective effect against damage to the esophagus due to reflux esophag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