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염성능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방염법 및 방염액 종류별 방염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ame resistant performance by flame resistant method and agents)

  • 임남기;허재원;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17-122
    • /
    • 2008
  • This study targets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problem of existing flame resistant processing with flame resistant performance the same as existing flame resistant agents or better, keeping wooden surface & feel as they are, and to attempt to raise flame resistant performance and economic efficiency by applying phosphorous flame resistant agents, a colorlessness, odorless new product to woods for an improvement of flame resistant performance for wooden nature and to offer a basic data for an uniform high-performance for flame resistant woods by reinforcing wooden durability and usability.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목재의 액상방염약제 침투효과 연구 (The Liquid Flame Proofing Agent's Permeating Effect of Wood Using Microwave)

  • 박철우;허재원;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6-264
    • /
    • 2011
  • 목재 자체의 화재저항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 마이크로파로 가열된 목재의 침지조건별(상온침지, 열기침지)로 액상 방염약제 침투량과 이에 따른 목재 온도와의 상관성, 방염약제 침투 후 목재의 미세구조와 침투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높아질수록 침투량이 크게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기침지의 경우 높은 침투량은 물론 안정적인 방염약제 침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재의 온도가 $80^{\circ}C$ 이상 높은 상태에서는 방염약제 침투량이 증대 되었으며 매우 균일한 방염약제 침투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나 액상의 방염약제는 목재내부로 침투되기 위한 조건으로서 목재의 온도변화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구조 분석결과 벽공을 통한 방염약제의 세포간 이동성 향상이 방염약제의 침투량이 증대되는 원인으로 사료되며 침투성분 분석 중 열기침지의 경우 변재 및 심재 내부의 벽공 주변에 결정화된 방염약제 성분이 분석됨에 따라 열기침지 시 방염약제는 목재 심재부위까지 침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by Flame-Resistance Paint Treatment)

  • 오규형;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1-116
    • /
    • 2009
  • 시중에 유통되는 17종의 방염 도료를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에 맞게 MDF에 방염처리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복사열에 노출시켰을 경우 어느 정도의 화재지연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복사열의 크기는 콘히터를 이용하여 $10kW/m^2$에서 $30kW/m^2$까지 변화시키며 실험하였다. 착화시간과 착화형태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착화 임계열유속은 $10kW/m^2$ 였으며 $30kW/m^2$에서는 방염에 의한 착화지연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표면온도가 $400^{\circ}C$ 이상이 되어도 방염에 의한 화재 억재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내열성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ant)

  • 조경래;이성은;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67-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내장재의 가연성으로 인한 화재확산 및 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방염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로 실리카 졸에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염 소재를 적용하여 졸-겔법에 의한 방염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기존의 방염소재는 물론 비방염소재의 방염화를 비할로겐 방법으로 적용가능하며, 기존의 접착 코팅제의 기본 물성과 특히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축자재의 비할로겐 방염화를 확대하고자 한다.

난연처리된 육송과 잣나무의 연소특성 평가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67-3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육송과 잣나무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육송이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평균 질량손실률, 총 산소 소요량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친환경 고성능 산업용 난연시트 제조기술의 개발( I ) (Development of Flame Retardant Sheets for Industrial Materials( I ))

  • 홍요한;유현정;김혜인;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108-1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난연성능을 지닌 산업용 난연시트 제조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제조공정 제어와 함께 친환경 난연제를 개발하였다. 기존 난연시트 제조과정에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낮은 방염성능이 기모공정에 원인이 있음을 알고 기모촉진제 및 기모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결합력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모촉진제화 난연제간 혼화성은 문제가 없지만 기모촉진제 처리 후 시료표면의 소수성과 기모에 의한 물리적 구조의 변화가 난연제의 흡착을 방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모공정과 난연공정 사이에 수세공정 첨가의 영향, 난연공정 온도변화의 영향, 그리고 염색과 동욕에서 난연제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공정을 변화하여 균일한 난연성능 구현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PDF

제연용 송풍기의 방염성능 시험장치 설계 (Design of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heat exhaust ventilation fan)

  • 이영모;김광용;이재엽;정현종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5년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367-372
    • /
    • 2005
  • This study primarily is concerned with a new device which has been developed follow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o measure the ventilation performance at elevated temperature. This device can measure duration of ventilation, performance of electricity, static pressure at elevated temperature and also it is having provision to measure reversible performances during fire hazards. Invented device is closed circuit type system which is best suited for korean industrial environment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International standards has been compared and performance testing has been major using BS 7346 which is tested by Warrington Fire Research Centre.

  • PDF

졸-겔법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의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Sol Manufactured by a Sol-gel Method)

  • 조경래;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에 사용되는 실내장식물의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무기물의 실리케이트와 유기물의 실란커플링제를 졸-겔법으로 합성하여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할로겐 방식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확인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한 연기밀도 측정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훈소모드 실험 및 불꽃모드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은 기존의 방염제의 물성과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연기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실내장식물에서도 확대적용 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피해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직포 및 코팅재 타입에 따른 건축용 막재의 난연성능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Membrane According to Woven Fabrics and Coating Materials)

  • 김지현;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45-551
    • /
    • 2016
  • 막구조 건축물의 시공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내화 및 방화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고 일반 건축물의 내화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막구조 건축물과 막재료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막구조 건축물의 내화 및 방염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재료가 규정된 난연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막재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막재의 강도특성과 방염 및 난연특성을 기존의 건축용 막재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막재료의 평가기준에 대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무암섬유와 유리섬유 기반의 건축용 막재는 낮은 열방출율과 총방출열량을 나타내 화재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기간 풍화가 단청도채된 소나무재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Weathering o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Korean Red Pine Wood Coated with Dancheong)

  • 손동원;홍종욱;박진호;이화수;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85-808
    • /
    • 2016
  • 단기간의 인공열화와 옥외폭로의 두 시험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성능 차이를 비교하여 인공열화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목재 표면에 방염제의 용융으로 인해 생성된 탄화물이 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소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주간의 인공열화 및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험처리를 마친 방염처리 된 단청시편에 대해 열방출률(HRR) 및 총열방출량(THR)을 측정한 결과, 열화 전 후의 방염 성능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결과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편과 2주간의 인공열화(6개월의 옥외폭로에 해당한다고 추정한 조건) 시편에서 근사한 연소실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