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조사 식품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5초

Vitamin C가 방사선과 Aflatoxin $B_1$을 투여한 흰쥐의 간 기능 효소 활성 및 간 손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tamin C on the Activity of Liver Enzymes and Hepatic Damage in Rats Treated with Radiation and Aflatoxin $B_1$)

  • 강진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38
    • /
    • 2010
  • Aflatoxin은 Aspergillus 속 곰팡이로부터 생성되며, 사람에게 있어서 간독성 및 간암을 유발하는 잠재력을 가진 곰팡이 독소이며, 지질과산화 반응은 aflatoxin $B_1$에 의한 세포 산화적 손상 시 발생하는 주요 현상 중의 하나이다. 방사선은 수술, 항암약물요법과 더불어 임상 시 중요한 치료 방법이나, 정상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와 과산화라디칼($OH^*$)을 생성하여 세포막의 불포화 지방산을 지질 과산화물로 변성시켜 세포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aflatoxin $B_1$에 노출되기 쉽고 이들 중 일부는 위, 간, 담도 암과 같은 상복부 암으로 진단되어 간을 포함하는 부위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하여 흰쥐에게 aflatoxin $B_1$을 투여하거나 방사선과 aflatoxin $B_1$을 병합 처리하여 vitamin C가 간독성 유발요인과 연관된 간 기능 효소들의 변화와 전자현미경 실험에 의한 형태학적 관찰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X-ray 조사는 실험기간 내 단 1회로 실험사육기간 첫 일에 조사하였고, X-ray 조사 후 vitamin C를 투여하였으며 vitamin C 투여 1시간 후 $AFB_1$을 투여하였다. Vitamin C와 AFB은 모두 복강투여로 실험 사육 첫 일부터 1회 시작하여 3일에 한번씩, 5회 반복 투여 하였으며 실험동물 사육기간은 총 15일로 하였다. GOT, ALK phatase, LDH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AFB_1$을 투여한 2군에 비해 2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이, 방사선과 $AFB_1$ 병합 처리한 4군에 비해 4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5군이 각각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간 기능 효소 중 GPT는 대조군에 비해 $AFB_1$을 투여한 2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증가하였으며, 특히 2군에 비해 2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은 수치가 p<0.001 수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TEM을 이용한 간세포의 형태에서는 $AFB_1$ 단독 처리군의 세포(G2)는 세포의 핵과 핵막이 팽창되어 있으며, 소포체가 긴 막대 모양에서 원형으로 변형되어 나타나고, 미토콘드리아는 크리스테(cristae)가 분열되어 속이 빈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여기에 vitamin C를 투여한 3군의 세포(G3)에서는 핵은 아직 약간 팽창된 모양을 하고 있으나 핵막의 모양이 거의 정상으로 되었으며,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도 거의 정상 모양을 회복하고 있다. X선 조사와 $AFB_1$ 병합 처리군인 4군의 세포(G4)는 조직의 상당한 파괴가 관찰되었으며, 여기에 vitamin C를 투여한 5군의 세포(G5)는 정상적이지는 않으나 파괴 정도가 덜 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AFB_1$ 단독 투여군인 2군, 방사선과 $AFB_1$ 병합 처리한 4군에 각각 vitamin C를 혼합 투여한 3군과 5군에서 핵과 핵막 등이 정상에 가깝게 회복된 현상은 vitamin C의 항산화력에 의해 세포막 표면에 형성된 틈이나 팽창 상태가 가역적이고 반복적인 결합이 유도되어 핵과 핵막이 많이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가 전분류의 점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Viscos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 안경아;조덕조;김현구;김성곤;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7-552
    • /
    • 2004
  • 방사선 조사 전분류의 확인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0, 1.5, 3.0, 4.5 및 6.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옥수수 전분, 고구마 전분 및 감자 전분을 대상으로 일정 조건에서 조사선량별 점도를 Brookfield DV-III programmable rh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분 현탁액의 농도를 옥수수 전분 8.0%(건물량 7.2%), 고구마 전분 8.5%(건물량 7.3%) 및 감자 전분 9.0%(건물량 7.3%)로 조제하여 100rpm에서 점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0.05), 각각 $R^2$ 0.9754, 0.9618 및 0.9888의 높은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1.5 kGy 조사선량에서도 옥수수 전분 34%, 고구마 전분 57%, 감자전분 51%의 점도 감소가 일어나 저선량 조사의 경우에도 뚜렷한 점도 변화가 관찰되어 방사선 조사 전분류의 확인방법으로써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 측정에 의한 조사여부 판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조적인 확인 marker로써 용해도, 팽윤력, 청가 및 알칼리수를 검토한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 및 알칼리수는 유의적으로 증가(p<0.05)한 반면, 팽윤력은 유의적으로 감소(p<0.05)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wamegi(semi-dried Colobabis seira))

  • 육홍선;정영진;송현파;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192
    • /
    • 2004
  • 과메기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후 독성학적 안전성 실험인 in vitro Ames test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과 ICR 수컷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소핵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Salmonella typhimurium(TA98, TA100, TA1535, TA1537)과 Escherichia coli WP2 uvrA 균주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 시험, SOS chromotest(Escherichia coli PQ37) 시험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추출물과 용매추출물 및 대사활성계 도입 혹은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10,000 $\mu\textrm{g}$/plate까지의 농도에서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비조사된 시료와 같이 음성을 나타내었다. 또,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in vivo 소핵세포실험에서도 소핵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10 kGy까지 고선량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는 위 수행된 in vitro 및 in vivo 유전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음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전독성학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 펙틴 용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y of Irradiated Pectin Solution)

  • 강호진;조철훈;권중호;정일윤;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41-745
    • /
    • 2005
  • 농산가공 부산물인 펙틴을 이용하여 기능성 펙틴 올리고머를 제조할 시 감마선 조사를 이용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펙틴 용액(2%, 0.05N HCl, citrate, 증류수)을 0, 2.5, 5, 10, 20, 30 및 50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펙틴 용액의 점도는 조사선량 10kGy까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의 선량에서는 조사선량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분자량은 조사선량이 증가하면서 30-40kDa의 당과 단당류가 증가하였다. 펙틴 용액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해본 결과 모든 선량에서 증류수 처리 펙틴 용액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펙틴 용액 농도별 전자공여능은 모든 선량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펙틴 용액의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결과 전자공여능의 결과와 같이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beta}-carotene$ 유지력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지수(Al)도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펙틴 용액의 5개 암세포주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는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이 중 인체 유래 피부암 세포주인 G361의 생장억제 효과가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겉과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펙틴 용액의 저분자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생리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방사선 조사가 기능성 펙틴 올리고머 제조기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습열 조리 조건에 따른 방사선 조사 건고사리의 연화도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oftening of Dried Fernbrake at Different Moist-Heating Conditions)

  • 성태화;이주운;변명우;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4-108
    • /
    • 2006
  • 건고사리에 Co-60 감마선을 0, 3, 5, 7 kGy로 달리하여 조사한 후 습열 조리 조건에 따른 연화정도를 분석하였다. 건고사리의 경도는 5 kGy이상의 조사선량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습열 조리 조건에 따른 고사리의 경도는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사리의 경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50\%$ 감소되는 시간인 $DT_{50}$은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단축되었다. 즉, $60^{\circ}C$에서 조리시 대조군은 23분, 5및 7 kGy 조사군은 $2.2\~5.0$ 분이었다. 건고사리 습열 조리시 연화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는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크게 낮아져 대조군은 4.30 kcal/mole, 5 및 7 kGy 조사군은 $1.85\~1.88 kcal/mol$이었다. 또한,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일정온도에서 습열 조리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함량, 부피 증가율, 수화 복원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관능검사 시 이취 및 냄새에 대한 점수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조 채소류에 적정 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조리시 재수화 및 연화에 필요한 시간 및 에너지를 단축시킬 수 있었다.

감마선조사 쇠고기의 유전독성 및 급성독성학적 안전성평가 (Genotoxicological and Acute Toxicological Safeties of Gamma Irradiated Beef)

  • 강일준;곽희진;이병훈;김광훈;변명우;육홍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75-780
    • /
    • 1998
  • 우육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 쇠고기(5 kGy)를 대상으로 유전독성 및 급성독성 시험을 통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 쇠고기 현탁액의 S.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 적용 농도인 $0.1{\sim}8.3{\;}m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 쇠고기(5 kGy)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된 쇠고기의 염색체 이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감마선 조사 쇠고기는 시험적용 용량인 $1250{\sim}2500{\;}mg/plate$1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조사 우육의 급성독성시험 시험결과, 전 기간을 통하여 마우스 암수 모두에서 조사우육(5 kGy)의 경구투여시 폐사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도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와 랫드 암수 모두에서 본 시험물질에 의한다고 생각되는 어떠한 임상증상이나 유의할 만한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대두의 가공특성 및 원산지별 조사처리 판별 연구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oybean with different processing and origin)

  • 정유경;이혜진;이지연;최장덕;권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2-257
    • /
    • 2017
  • 식품의 다양한 가공특성별 조사처리 식품의 분석법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과 전자선 조사처리 대두의 가공특성(건조, 분쇄) 및 원산지(국산, 중국산, 미국산)별 물리적 확인시험법을 이용한 판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광자극발광(PSL) 분석 결과 비조사시료는 266-395 count/min으로 $700^{\circ}C$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음성(negative) 값으로 나타나 조사처리 되지 않은 시료로 확인되었다. 감마선과 전자선을 조사처리한 대두는 감마선의 경우 5,815-39,591 count/min, 전자선의 경우 5,791-60,055 count/min의 결과로 모두 5,000 count/min 이상인 양성(positive)값을 나타내어 대두는 가공특성, 선종, 선량에 관계없이 조사처리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발광분석(TL)을 통한 조사처리 확인에서는 비조사 시료는 $300^{\circ}C$ 이상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감마선과 전자선 조사처리 대두에서는 $150-250^{\circ}C$에서 조사처리에 의한 최대곡선을 나타내어 조사처리 판별이 가능하였다. 전자스핀공명 분석 결과는 건조대두의 껍질에서 조사 처리에 의한 cellulose radical이 확인되었으며 분쇄한 대두의 경우에는 비조사시료와 조사처리에 의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조사처리 판별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韓國産) 밤의 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hestnuts)

  • 신두호;배정설;배국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1-46
    • /
    • 1982
  • 은기(銀寄) 옥광(玉光) 축파(筑波) 3품종(品種)의 밤의 저장성(貯藏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움저장(貯藏),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 상자저장(貯藏),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을 행(行)하여 저장기간(貯藏期間) 동안 화학성분(化學成分) 변화(變化), 부패율(腐敗率), 발아율(發芽率)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原料)밤의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수분(水分) 59$\sim$63%, 총당(總糖) 28$\sim$29% 환원당(還元糖) 0.1$\sim$0.2% 조직유(粗織維) 0.6$\sim$0.9% 조단백질(粗蛋白質) 3.5% vitamin C 27$\sim$28mg% 탄닌 50$\sim$58mg%이었다. (2) 총당(總糖)과 vitamin C 함량(含量)은 저장기간(貯藏期間) 동안 감소(減少)하였으며 환당(還糖)과 tannin은 증가(增加)하였다. (3) 발아율(發芽率)은 축파(筑波)가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은기(銀寄)나 옥광(玉光)에 비해 현저히 감소(減少)하였으며 6개월(個月) 저장시(貯藏時) 움저장(貯藏) 93$\sim$100%, 상자저장(貯藏) 35$\sim$57%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 1$\sim$4%였고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은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다.(4) 부패율(腐敗率)은 축파(筑波)가 저장기간(貯藏期間)동안 은기(銀寄)나 옥광(玉光)보다 낮았고 6개월간(個月間) 저장(貯藏)했을 때 상자저장(貯藏) 4$\sim$6%, 방사선조사저장(放射線照射貯藏) 7$\sim$12%, polyethylene film 포장저장(包藏貯藏) 5$\sim$8% 그리고 움저장(貯藏) 30$\sim$54%였다.

  • PDF

호두(Juglans nigra)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from γ-ray irradiated walnut (Juglans nigra))

  • 노은영;최지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9-865
    • /
    • 2014
  • 본 연구는 호두를 대상으로 감마선을 1-10 kGy 선량으로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통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지방은 soxhlet방법으로 n-hexa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고 florisil이 충진된 column으로 분리하여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GC/MS)로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호두에서 검출된 주요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8,11-Heptadecadiene, 1,7,10-Hexadecatriene이었고, 검출된 주요 2-alkylcyclobutanone류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에서 유도된 2-(5',8'-tetradecadienyl)cyclobutanone(5',8'-TCB), 2-(5'-tetradecenyl) cyclobutanone(TECB)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호두에서 생성된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생성량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1 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만 나타났으며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oleic acid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 8,11-Heptadecadiene 및 1,7,10-Hexadecatriene, 2-alkylcyclobutanone류 중 5',8'-TCB 및 TECB는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을 위한 marker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즉석식품 제조를 위한 육가공제품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and Mutagenical Safety Evaluation of Gamma Irradiated Ready-to-Eat Foods of Animal Origin)

  • 이나영;조철훈;강호진;홍상필;김영호;이경행;변명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9
    • /
    • 2005
  • 감마선 조사를 통한 즉석식품 제조용 육가공제품의 미생물학적 및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미생물 안전성은 총 4종류의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및 Listeria ivanovii)을 이용하여 inoculatio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전 독성학적 평가는 ames test를 통해 조사하였다. 4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을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했을 경우 초기 균수는 7 log 정도로 나타났으나 1 kGy로 감마선 조사했을 경우 S. typhimurium은 4 log cycle 정도, E. coli 및 S. aureus는 3 log 및 L. ivanovii는 2 log정도 증식이 억제되었다.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된 4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은 3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했을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볶은 쇠고기 및 햄에 접종된 4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의 방사선 조사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 접종된 병원성 미생물의 D/sub 10/ value는 볶은 쇠고기에 접종된 L. ivanovii가 0.48로 가장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볶은 쇠고기 및 햄을 비조사구와 조사구(10 kGy)로 나누어 S.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 균주를 이용하여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대사활성을 시킨 경우와 대사활성을 시키지 않은 경우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복귀돌연변이 집락수의 증가는 확인되지 않아, 즉석 식품제조를 위한 볶은 쇠고기 및 햄의 감마선 조사는 유전독성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