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객특성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1초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 김덕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문화거리조성을 위한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충장로 특화거리 조성 시범 가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Effect on Commercial Conditions through the Improvement Project for Pedestrian Environment for Cultural Streets Preparation -The Object of Demonstration Avenue on Choong-jang ro Specialized Streets Preparation-)

  • 최효승;김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7-247
    • /
    • 2009
  • 본 연구는 2005년 전남도청이전에 따른 도심공동화 현상, 상무지구 등 신 도심지역으로 상권이 이동하면서 중심상권으로서 기능이 쇠락해 가고 있는 충장로 활성화 일환으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 예로 문화예술의 거리, 테마거리, 차 없는 거리 등 특화거리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발전을 위한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적인 추진과 가로특성에 맞게 상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시 충장로 특화거리 조성 가로환경을 대상으로 어떤 물리적인 계획이 상업 환경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보행환경개선사업 후의 가로의 물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사업이 실시된 지역의 상가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매출액, 방문객 증가 및 사업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핵심관광지 방문객 유형분석을 통한 인근지역 연계개발 : 강화도 중심 (Neighborhood Region Connection Development with Core Tourist Area Visitor Behavior Characteristics)

  • 권동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98-407
    • /
    • 2010
  • 강화도라는 핵심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는 관광객의 유형을 실증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인접지역인 김포서 북부지역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들 관광객을 흡수하기 위해 공간적 연계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할지가 본 논문의 연구과제 이었다. 이런 면에서 수도권 시민의 관광욕구를 충족시키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핵심관광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자료를 근거로 핵심 관광지 및 인근 연계지역 관광자원 개발 전략을 구상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도모할 수 있다. 강화도와 김포 서북부지역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의 분포와 접근성, 관광객 행태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리적 공간요소의 중요성을 재발견 할 수 있다. 각 지역별로 지역의 관광자원 특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단위의 미시적 연구가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핵심관광 목적지인 강화도의 관광객 유형을 분석하여 인근지역인 김포서북부지역의 관광자원을 연계 개발시켜나갈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동역학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용 지능형 로봇의 현가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 (Design and Optimization of Intelligent Service Robot Suspension System Using Dynamic Model)

  • 최성훈;박태원;이수호;정성필;전갑진;윤지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8호
    • /
    • pp.1023-1028
    • /
    • 2010
  • 최근에, 서비스용 지능형 로봇이 공공기관에서 방문객들에게 건물을 안내하고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로봇은 지면 위치 인식 방식의 센서를 가지며 마름모형태의 네 바퀴로 스스로를 지탱한다. 로봇의 작동은 구동부분과 내부 구조가 하나의 결합된 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는 제한을 받는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로봇의 정밀한 부분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 될 것이고, 각각의 연결 부위가 약화 될 것이다. 따라서 로봇의 동역학 모델이 만들어 졌고, 서스펜션과 함께 구동 특성들을 위한 모의실험도 이루어 졌다. 이 서스펜션 시스템은 로봇의 각 부분에 미치는 충격들을 줄이는데 최적화 되었다.

군집분석을 통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Market Segmentation on Recreational Forest Visitors by Cluster Analysis)

  • 신현규;신홍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64-37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휴양림의 방문한 이용객들의 방문동기를 통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이용객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행동의도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그에 따른 세분화된 이용객들의 차별화된 마케팅 및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의 측정을 위하여 1년 이내에 자연휴양림을 이용한 적이 있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을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군집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군집의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유형화된 군집을 통하여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대한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 군집분석과 K-means군집분석을 통하여 2개의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2개의 군집을 다시 교차분석을 통하여 군집의 유형화를 실시하여 미혼의 100만원 미만의 군집과 기혼의 200~300만원의 군집 집단으로 유형화를 실시하였다. 이 군집을 자연휴양림 방문 후 행동의도간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 즐거운 시간을 보냄, 방문은 현명한 선택,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2인 기혼의 200~300만원의 집단에 더 높은 행동의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시 되며, 또한 자연휴양림 공익적 성격을 고려하여 각 집단에 대하여 모두 소구할 수 있는 서설 및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 된다.

휴양림(休養林) 개발(開發)에 대한 지역주민(地域住民) 태도(態度) 분석(分析) (Residents' Attitudes toward Recreation Forest Development)

  • 송형섭;김세천;전경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15-421
    • /
    • 1998
  • 본 연구는 휴양림 개발에 따른 개발 인접 지역의 주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기존 관광 영향 연구 문헌을 참조하여 20개 주민 태도 항목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개의 휴양림지역이 선정되었다. 1995년 휴양림 지역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204명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방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응답은 5 point 척도를 이용하였다. 주민 태도 분석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현 휴양림 개발에 대해 경제적 혜택이 적고 지역 환경에 피해를 주고 있다는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었다. 지각 태도는 응답자들의 사회 경제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휴양림 방문객으로부터의 수입 여부와 거주기간 정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현저하였다. 본 연구결과 휴양림 개발지역은 정부가 의도하고 있는 긍정적 측면이 지각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현재 및 계획된 휴양림 개발 효과에 대한 지역 영향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었다.

  • PDF

CVM을 통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평가 (Valuation of the Hi Seoul Festival : An Application of CVM)

  • 김채옥;마보;김소은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1호
    • /
    • pp.23-40
    • /
    • 2010
  • 본 연구는 축제의 가치를 최대지불의사액(WTP)을 통해 측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이 된 하이서울페스티벌은 서울의 대표축제로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개최된 축제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문화관광지로서 서울의 이미지를 재정립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하지만 해마다 상이한 콘셉트와 행사 개최장소의 변경으로 인해 축제의 정체성이 모호하며, 초기의 목표와는 달리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축제개최 장소별 CVM을 활용한 가치추정을 통해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를 추정하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개최장소별 비이용 가치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 장소별 프로그램의 성격과 개최장소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비이용가치 추정을 통한 경제적 가치는 422억 원으로 나타나 현재 시민들이 느끼는 편익의 가치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기획에 있어서는 장소성을 가진 장소에서의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축제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Visitors' Behavior and Their Satisfaction on Nature Trails in Mt. Jiri National Park)

  • 조규남;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9-16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연관찰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용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다른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관찰로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4.4%와 22.6%가 각각 다른 이용자와 공원 안내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평과 하동 지역은 응답자의 대부분이 가족과 함께 방문하였으나 중산리와 백무동 지역은 단체관광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연관찰로 방문의 주된 목적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유평과 하동 지역은 도시로부터 벗어나기 위함이었고 중산리와 백무동 지역은 하이킹과 등산을 즐기기 위해서였다. 전체 응답자의 63.7%는 자연관찰로의 길이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으나 40% 정도의 응답자는 자연관찰로의 길이는 2km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37.5%가 자연해설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리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의 기능증진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사업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Chusa Kimjeonghee Cultural Assets Commercialization Projec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정남수;윤혜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46-457
    • /
    • 2019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과거와 같은 대규모 산업화보다는 각 지역에 전래해 온 고유문화와 기술, 특정지역에 뿌리를 두고 지역주민의 삶과 밀접히 관련된 지역명 또는 지역의 상징물이나 정체성을 상품화, 수익화 하려는 지역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향토산업육성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아직까지 향토자원의 조사에서 산업화까지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김정희문화상품화 사례 연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특징, 고용, 수요를 바탕으로 향토자원의 발굴, 사업화 방향의 결정, 사업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연구 방법과 내용은 향토자원의 평가, 관련 주요산업의 결정, 사업내용의 도출 등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첫 번째 작업으로 향토자원의 목록을 작성하고 관련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산업화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중심자원을 설정하였다. 두 번째로 입지계수를 응용하여 사업체수와 고용인원으로 대상지역의 보조사업계수를 설정하여 주요 관련 산업을 결정하였다. 세 번째로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향토자원에 대한 인지도조사와 사업내용을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업추진결과를 정리하였으며, 향후 향토자원산업화사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61-66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2021년 천안시 전통시장·상점가 실태조사 자료 중 총 188개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통시장의 환경개선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대 상황에 맞는 환경적 변화가 일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시장은 낙후된 공간으로 주차환경개선사업과 시설 현대화 사업(화장실, 시설 장비 등)으로 시대적 요구에 맞게 특성화 세분화 과정을 거쳐 공간을 개선함으로써 운영의 편리성을 높이고 방문객의 이용 증진과 자연스러운 인식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별화된 경영활성화 콘텐츠와 시설 현대화 사업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 중 시설의 환경개선 부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간의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해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