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수성 표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1초

소수성 증진을 위한 PMHS 유액 혼입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e Analysis of Cement Composite containing PMHS Emulsion to Improve Hydrophobic)

  • 김영환;오홍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21
  • 고내구성 친환경 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폴리메틸 하이드로실록산과 폴리비닐알코올을 교반, 혼합하여 발수 및 소수성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시멘트페이스트에 혼합물을 첨가한 후 BSE와 EDS 분석을 통하여 수화반응 특성과 화학조성의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MIP 분석에 의해 미세공극을 평가하였다. PMHS 유액을 혼입한 시멘트는 수화반응성이 높아지고 모세공극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시멘트 페이스트내에서의 유액의 분산 정도에 따라 공극률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카올린을 혼입한 유액의 경우에는 PMHS 유액만을 사용한 경우와 수화도와 공극률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멘트 표면을 PMHS 유액으로 도포한 경우의 접촉각은 OPC와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VA 섬유를 같이 사용한 경우에는 과소수성 표면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소수성 발수제를 사용한 모르타르 표면의 결빙 방지 효과 (Anti-freezing effect of mortar surface with superhydrophobic water repellent)

  • 김상진;인병은;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16
    • /
    • 2022
  • In order to examine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of road pavement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freezing time of cement mortar and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ice and pavement were evaluat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lymer and water repellen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ice formation tim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elay when a polymer was added, but the complete freezing time was delayed when a water repellent was add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trength of ice adhesion, it was found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ice and the surface of the test body was greatly generated in the test body without water repellent. In the case of a test specimen to which a water repellent was added, it was found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est specimen surface and ice was reduced.

  • PDF

견직물의 수지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n Finishing of Silk Fabric -Silicone Resin Finishing-)

  • 남중희;탁태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39
    • /
    • 1985
  • 견직물의 실용성능(방추도, 세탁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실크하브다이(silk habutae)에 실리콘수지를 유화 가공법으로 처리하였다. 실리콘가공 하브다이의 방추도, 발수도, 유연도, 강신도, 수분율 등은 직물검사 방법에 따라서 검사하였고 가공 후 견피브로인의 구조적인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아미노산분석, X-선 회절강도, FT-IR 흡수분석에 의하여 검토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견하브다이 직물의 방추도는 soaping 처리오 큐어링 조건에 의하여 현저히 개선되었다. 2) 실리콘 수지 가공에 의하여 견하브다이의 발수도와 유연도가 향상되었고, 가공 후 silk fibroin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견섬유 특유의 불규칙한 섬유표면은 평활하게 관찰되었다. 3) 실리콘 수지와 silk fibroin의 반응에 따라서 피브로인 조성 아미노산 중 극성기를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의 감소비율이 현저하였다. 4) 실리콘 수지가공 silk habutae는 soaping에 의하여 X-선 회절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5) 가공 후 견하브다이의 FT-IR 흡수곡선에 실록산등의 peak가 검출된 것으로 미루어 fibroin의 개질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초경량 고내열 고강도 섬유활용 하이브리드 wire & cable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ybrid wire and cable using the ultra-light, heat-resistant and high tenacity fibers)

  • 정문규;손순일;진성우;정한규;안승국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12
  • 수송용 산업의 하나인 국내 조선업계는 2008년 말 이후 세계 조선경기 불황 속에서도 2009년 451억달러, 2010년 491억달러의 사상최대 수출액을 달성한 바가 있고 세계 조선사 순위에서는 1위에서 5위까지 한국 조선소 등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기업 경쟁력은 우위에 서있지만 중국과의 격차가 많이 좁혀지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탄소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선박의 제조가 선박업계 전반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시도가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선박의 경량화이다. 금속외장 전선은 선박 무게의 10~13%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사용 전선의 30~40%를 차지하고 있어 선박에서의 금속외장 전선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조선산업 뿐만 아니라 자동차 분야에서도 금속 외장전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 연구가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전선의 금속외장을 경량 고강도 섬유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wire로 대체하기 위한 편조 기술 및 편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 및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경량 고강도 섬유 Armor의 제조기술 및 최적 공정 개발을 위한 연구로서 경쟁사 샘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용된 섬유의 성분 분석 및 물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원형직기 개발을 위한 구조부 설계를 위해 ANSYS해석을 수행하고 저신율 고강도인 아라미드의 이징모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구 형성방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초경량 고강도 hybrid 케이블 아라미드 편조 표면 및 내부 가교에 의한 가공 기술을 연구하였다. 아라미드 섬유의 발수성 향상을 위한 코팅재료 선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자외선 경화공정에서 조건별 데이터를 정립하여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불소/실리콘 고무 블렌드의 특성과 물성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Fluoro/Silicone Rubber Blend System)

  • 이진국;송환제;김미라
    • 접착 및 계면
    • /
    • 제9권3호
    • /
    • pp.14-19
    • /
    • 2008
  • 본 연구는 Silicone rubber (SR40)과 Fluororubber (FKM)을 여러 가지 무게비로 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블렌드의 가교 거동은 SR40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SR40 내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 속도는 빨라졌다. 블렌드에서 FKM의 함량이 증가하면, 열분해 온도가 증가는 경향이 있고 SR40/FKM 블렌드 비율이 50/50일 때 순수한 SR40보다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면 발수성의 척도인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SR40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블렌드의 접촉각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한 블렌드들은 모든 조성에서 전형적인 상분리의 모폴로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SR40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상분리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온아마인유처리에 의한 소나무재의 특성 (Properties of Pinus densiflora Timber Wood by High Temperature Linseed Oil Treatment)

  • 이동흡;이명재;오형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50-57
    • /
    • 2004
  • 본 실험은 건조되지 않은 목재를 고온의 아마인유에 침지처리함으로써 목재건조와 동시에 발수효과를 얻고자 실시하였다.함수율 90% 이상의 소나무생재를 온도 150℃의 아마인유에서 6시간 침지처리하였을 때 목재함수율은 10%까지 떨어졌으며, 목재 축방향의 깊이에 관계없이 목재단면의 20%에 해당하는 아마인유가 침투하였다. 이때 목재의 강도적 손실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표면의 천공처리는 목재의 내부할열방지에 효과적이었고, 아마인유의 깊은 침투를 유도할 수 있었다. 흡수성 시험 결과 처리재는 무처리재에 비하여 높은 발수효과를 나타냈다. 변색균 및 부후균에 대한 항균효력시험은 처리재 자체로서 균에 대한 독성 기작이 없었으나, 백색부후균 및 갈색부후균에 대해서는 무처리재보다 낮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는 등 방부효력의 상승이 있었다.

열화억제형 방수공법에 대한 검토 (A Study of the Deterioration Restraining Agent Drainage method of Construction)

  • 오대철;김은겸;김대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7-1272
    • /
    • 2007
  • 철도교량의 경우 교면방수 시공 후 방진매트, 궤도자갈 및 침목부설, 레일 설치 등의 후속공정이 뒤따르고, 시공 및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해 위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일정 구간 단위로 후속공정이 이루어지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교면방수 시공 이후 표면의 노출이 장기화 되는 것이 불가피한 실정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현상으로 인해 발수재의 분해 및 용출이 발생하여 방수시공 초기의 침투깊이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철도교량이 갖고 있는 시공적인 특수성과 궤도자갈이 부설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표면이 노출되는 부분을 고려한다면 표면의 장기적인 노출에도 방수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고 있는 방수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표면노출에 따른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열화억제형 방수공법(DRA방수공법)에 대하여 시험시공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DRA 방수 공법의 KNOW-HOW를 습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철도교량의 교면방수 열화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자를 방지하여 잦은 보수와 보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현장에서의 시공관계자들이 방수공법을 선정하는데 따른 합리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데 있다.

  • PDF

저분자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의 개발 동향 (제1보) (Trend on Development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osilicone Surfactants (Part 1))

  • 랑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82
    • /
    • 2017
  •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유기실리콘 그룹에 친수성 극성 그룹이 결합되어 있다. 유기실리콘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하여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낮은 계면장력, 윤활성, 퍼짐성, 발수성, 열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 건설재료, 화장품, 페인트잉크, 농약 등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저분자 유기실리콘을 소수기로 한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는 낮은 표면장력과 우수한 습윤/퍼짐성 때문에 super wetter/super spreader로서 활용되고 있으나 가수분해에 취약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의 기능향상과 단점개선 등 응용분야에서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학구조를 가진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소수성 트리실록산 중추로서의 반응성 트리실록산의 합성방법, 반응성 트리실록산을 친수성 그룹과 결합시키는 규소 수소화반응같은 주요 반응방법, 그리고 폴리에테르, 카보하이드레이트, 제미니, 볼라폼, 더블 트리실록산 타입 등 주요 저분자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들의 합성방법을 논의한다.

저분자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의 개발 동향 (제2보) (Trend on Development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osilicone Surfactants (Part II))

  • 랑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61-477
    • /
    • 2017
  • 소수성 유기실리콘 그룹에 친수성 극성 그룹이 결합되어 있는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유기실리콘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하여 낮은 계면장력, 윤활성, 퍼짐성, 발수성, 열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폴리우레탄 폼, 건설재료, 화장품, 페인트잉크, 농약 등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수기로 저분자 실록산을 가지고 있는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낮은 표면장력과 우수한 습윤/퍼짐성 때문에 super wetter/super spreader로서 활용되고 있으나 가수분해가 되는 취약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 저분자 실록산 계면활성제의 기능향상과 단점개선 등 응용분야에서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학구조를 가진 저분자 실록산 계면활성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반응성 테트라실록산과 다이실록산의 합성방법, 반응성 테트라실록산 또는 다이실록산을 친수성 그룹과 결합시키는 규소수소화반응 같은 주요 합성방법, 그리고 폴리에테르, 카보하이드레이트, 제미니, 볼라 타입 등 구조를 가지는 테트라실록산 계면활성제와 다이실록산 계면활성제들의 합성방법을 논의한다.

표면코팅된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bonation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Surface-coated Lightweight Aggregates)

  • 엄인혁;정의창;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2014
  • 경량골재의 내부공극을 통한 탄산가스 유입으로 인해 경량골재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탄산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4가지 표면코팅제로 코팅된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하여 탄산화 저항성을 보통 경량골재콘크리트, 보통콘크리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코팅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보통 경량골재콘크리트보다 우수한 탄산화 저항성을 보였으며, 특히 발수제보다는 고분자계 코팅제를 사용하였을 때 더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