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생능력

Search Result 3,29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al Lesions in Amphibian Embryos Induc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Fertile Egg (자외선에 의한 양서류 수정난의 발생 결함)

  • Chung, Hae-Moon;George M. Malacinski;Kim, Byeong-Gee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0 no.2
    • /
    • pp.109-122
    • /
    • 1977
  •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vegetal hemisphere of the fertilized frog egg prior to first cleavage resulted in alterations in neural morphogenesis. The sensitivity to UV irradiation dropped drastically at the point of 2/3 time lapse between fertiliza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first cleavage furrow. Scannining electron micrographs revealed a decrease in size of the cells on the surface of the irradiated embryos. However, ectoderm exchange frafts indicated that the ectoderm of the irradiated embryo retains its capaciiy to form a completely normal neural morphology and epidermal surface. These fact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a decrease in the capacity for invagination during gastrulation, and subsequent primary embryonic induction.

  • PDF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Index Considering the Residual flow of Urban Drainage System (도시 배수 시스템의 잔류 유량을 고려한 새로운 복원력 지수 개발)

  • Kim, Young Nam;Lee, Eu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7-57
    • /
    • 2021
  • 최근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의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복합적인 재난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복합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발생 전·후 대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복원력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은 대상유역의 면적과 절대적인 침수량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지역의 도시 배수 시스템의 복원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복원력 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상유역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복원력 지수에 적용하였다. 도시 배수 시스템의 배수능력을 나타내기 위해 시스템 잔류유량을 분모로, 침수량을 분자로 하여 복원력 지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새로운 복원력 지수를 대구 비산 빗물펌프장에 적용하였다. 강우자료는 재현기간이 100년, 200년 그리고 3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사용하였으며, 지속시간은 30분, 60분 그리고 90분으로 설정하였다. 침수량과 시스템 잔류 유량은 1분 단위로 EPA SWMM을 통해 값을 구하였다. 시스템 잔류 유량을 기반으로 하는 복원력 지수는 최소 0.995029에서 최대 0.99866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 배수 시스템 잔류 유량 기반 복원력 지수는 배수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반영한 지수라고 할 수 있으며 배수 시설의 설치, 교체 및 재건 등 수해 방재 계획 평가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ontainer terminal capacity and its implication to port development planning of Korea (국내 컨테이너 부두시설 확보제도 개선방향 연구)

  • Yang, Chang-Ho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3
    • /
    • pp.198-220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 the problems of standard container port handling capacity in establishing national port development plan in Korea. Considering container port developing, it's not easy to adopt container port service quality parameters such as lay time constraint of very large container ships by using the standard guideline of container port handling capacity. A simple methodology that connects vessel waiting to service time(w/s) and berth occupancy to costs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container terminal. But the total handling capacity have to be calculated by the performance of the handling system and number of equipments and layout of terminal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that represents of reality events needs to be performed by probabilistic techniques. A simulation model of estimation of container terminal capacity is introduced in order to establish a hub terminal for very large container ships that focus the port's quality of service and also suggest as tool for policy maker to justify a required port investment.

Related Factors with Medication Task Ability in Rural Elderly (일부 농촌 노인에서의 약물복용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 Lee, Moo-Si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4 no.1
    • /
    • pp.35-47
    • /
    • 1999
  • Medication non-compliance among the elderly results in medical problems and substantial cost to the health car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 predicted variable related to the medication task ability among elderly. This study was done in the selected 4 villages in Kimchun County of Kyungbuk Province from July to August, 1996. The subject was the resident that 202 adults above 60 years of age. The questionnaire of interview included medication task ability, socio-demographic data, COOP/WONCA chart, family ABGAR scor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 1. Approximately 49% of study population was taking drug medication currently. We found that 93% of study population was successful at the medication task all alone, 6% was failure at the medication task all alone, so need help partly or completely. 2. Significant variables between group of medication task ability were age, educational attainment, IADL, and MMSE-K in univariate analysis. And significant correlated variables with medication task ability were ADL, IADL, MMSE-K, and BDI in correlation analysis. 3. Major predictors to medication task ability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IADL and sex finally. Findings suggest that IADL is related to medication task ability than other test battery of health status, so IADL could be used to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add information to conventional methods of assessing mental status.

  • PDF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Extended Sewer Surcharge on Anyangcheon Watershed Using PCSWMM (PCSWMM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에서 내수침수의 시간적.공간적 해석)

  • Lee, Kil-Seong;Kim, S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50-1155
    • /
    • 2006
  • 대부분의 도시지역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상당히 높은 특징으로 인한 유출용적 및 첨두유출량의 증가와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의 지형학적 특징으로 인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상당히 높다. 이러한 이유로,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공간적인 치수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율적인 치수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적인 측면뿐 아니라, 침수위험지역 내 침수발생의 시간적인 측면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역 내 내수침수발생에 대하여 공간적.시간적으로 살펴보고, 내수침수발생 위험지역 및 우선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안양천 유역에서 대부분의 침수가 발생하는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유역으로 하였다.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지역에서 내수침수발생의 주원인으로는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와 배수계통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하도 및 관거의 유출해석에 우수한 SWMM 모형의 EXTRAN block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고 맨홀이 월류되는 지역을 내수침수 위험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빈도별 지속시간별 모의결과, 목감천 하류부의 고척 1동, 신월 1동, 화곡 2동, 도림천과 봉천천, 대방천이 만나는 구로동, 대림 1동, 대방동에서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지역은 또한 10년에서 30년 빈도별 모의에서도 모두 침수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되어, 우선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우선관리지역의 선정은 홍수예.경보 측면에서는 주민의 신속한 대피와 같은 홍수대처능력과 치수관리측면에서는 소요되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으로 홍수범람모의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석결과를 피해지역주민 및 관련기관 실무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재해관리와 신속한 재해 상황 대처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는 또 다른 형태의 주제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

  • PDF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Carbon monoxide Detector (일산화탄소감지기의 적응성에 관한 연구)

  • Seo, Byung-Keun;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90-194
    • /
    • 2010
  •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발생되는 열, 연기, 불꽃, 독성가스등의 다양한 연소생성물을 감시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화재 감지방식과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감지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진보된 감지기들은 화재로 발생 이전에서 부터 감지, 비화재보에 대한 방지는 물론 감지기의 상태 오염 감도 등의 다양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사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진보된 감지기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장소, 대피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장소에 적용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절감 시키고 있다. 일산화탄소감지기 또한 진보된 감지기로 화재 초기 가연물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를 감시한다. 일반화재의 경우 화재 초기에 가연물이 서서히 연소시 불완전 연소로 인한 다량의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기존 열, 연기, 불꽃감지기에 비해 빠른 반응을 보여 화재를 조기에 감지함으로써 조기 대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물화재시험 자료를 바탕으로 CO감지기의 조기 감시능력을 확인하였다. CO감지기는 화재초기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므로 대피시간이 많이 필요한 장소(병원 노인요양시설 학교 백화점 등), 침대 폼메트리스 훈소화재 발생장소(호텔침실 기숙사 숙박업소, 병실 등)등에 적응성이 우수할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설계되는 초고층 건축물 및 주요 시설물 등에서 화재 시뮬레이션과 가상시나리오 유형 분석을 통해 성능위주의 설계가 적용되고 있다. 그만큼 정확하고 신속한 감지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CO감지기야 말로 그 기대에 가장 부합될 것으로 분석된다.

  • PDF

Artificial Rainfall Experiment and Numerical Simulation for Urban Flood Analysis (도심홍수 분석을 위한 인공강우실험 및 수치모의)

  • Kim, Hyung-Jun;Rhee, Dong Sop;Kim, Hyeon Jun;Seong, Ho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3-353
    • /
    • 2017
  • 주요 도시 지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2010, 2011년에 발생한 서울지역의 홍수로 인하여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였으며, 2014년도에는 부산 경남지역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도심지역에 홍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증가하고 있는 도시 지역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하여 다양한 치수사업 및 홍수대책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일부지역에서는 여전히 침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시지역 내수 배제 능력이 변화하는 환경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새로운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홍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도심지 홍수의 복합적 원인을 고려한 공간해석에 필요한 실험 및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도시 지역의 침수현상을 재현 검토하기 위해서 인공강우를 구현할 수 있는 강우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2010년, 2011년 도심홍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도심지 모형을 제작하고 침수현상을 재현하였다. 인공강우 모형실험을 통하여 주요 도로망의 침수심 및 흐름전파 경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심 공간의 건물과 도로망 형태에 따라서 우수의 거동을 계측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지표수 모의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인공강우 실험결과와 수치모의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으며, 각 실험결과에 의한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공강우 시뮬레이터와 수치모의를 병행하여 도심지역 침수를 재현함으로써 도심홍수에 의한 피해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대응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Soil Erosion in Agricultural Lands using Physics-based Erosion Model (물리기반 침식모형을 활용한 필지의 토양침식 분석)

  • Yeon, Min Ho;Van, Linh Nguyen;Lee, Seul Cha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4-84
    • /
    • 2021
  •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세계 곳곳은 이례적인 홍수와 가뭄 등으로 많은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강도가 크고 단기간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토는 약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경사가 험준한 지형을 지니고 있어 강우 시 유출이 급격히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기후 패턴과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토양침식이 가중되고 있으며, 그중 강원도의 경우 산지 곳곳에 위치한 고랭지 밭으로 인해 강우 시 많은 양의 토사가 유실되어 농경지가 감소하고 있으며, 유실된 토사의 하천 유입으로 인한 하천 통수능력의 저하와 수질 악화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 모형인 SSEM (SSORii Erosion Model)을 이용하여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의 필지를 중심으로 침식과 퇴적의 양상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SSEM은 단기 강우 사상을 모의할 수 있고, 침식과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있어 침식이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식별이 가능한 모형이다. 연구분석 결과, 대부분의 필지에서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그중 도심지 주변에 위치한 필지에서 많은 토양침식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본 유역의 현장 조사 당시 육안으로 확인한 침식의 실태와 상당 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 Kim, Yeong Jeo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4
    • /
    • pp.80-80
    • /
    • 2002
  • The main thesis of this article is that the decisive point of creativity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capability. Although the narrow conception of creativity as divergent thinking is not subsumed under that of critical thinking, the role of divergent thinking is not so crucial in the science context of creative problem-solving. On the contrary, the broad conception of creativity as focusing on the reference to utility and the third conception of creativity as a process based on the variation and combination of existing pieces of information are crucial in creative problem-solving context, which are yet subsumed under that of critical thinking. The emphasis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nowledge-based society.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situation-adaptive or situation-sensitive cognitive ability, whose core is critical thinking capability. Hence, the education of critical thinking is to be centered on the learning of blowing-how and procedural knowledge but not of knowing-that and declarative knowledge. Accordingly,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is to be head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competence but not just of performance. In conclusion, when a rational problem-solving through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turns out consequently to be novel, we call it creative thinking. So, creativity is an emergent property based on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 김영정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3 no.4
    • /
    • pp.81-90
    • /
    • 2002
  • The main thesis of this article is that the decisive point of creativity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capability. Although the narrow conception of creativity as divergent thinking is not subsumed under that of critical thinking, the role of divergent thinking is not so crucial in the science context of creative problem-solving. On the contrary, the broad conception of creativity as focusing on the reference to utility and the third conception of creativity as a process based on the variation and combination of existing pieces of information are crucial in creative problem-solving context, which are yet subsumed under that of critical thinking. The emphasis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knowledge-based society.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situation-adaptive or situation-sensitive cognitive ability, whose core is critical thinking capability. Hence, the education of critical thinking is to be centered on the learning of blowing-how and procedural knowledge but not of knowing-that and declarative knowledge. Accordingly,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is to be head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competence but not just of performance. In conclusion, when a rational problem-solving through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turns out consequently to be novel, we call it creative thinking. So, creativity is an emergent property based on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