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Factors with Medication Task Ability in Rural Elderly

일부 농촌 노인에서의 약물복용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Medication non-compliance among the elderly results in medical problems and substantial cost to the health car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 predicted variable related to the medication task ability among elderly. This study was done in the selected 4 villages in Kimchun County of Kyungbuk Province from July to August, 1996. The subject was the resident that 202 adults above 60 years of age. The questionnaire of interview included medication task ability, socio-demographic data, COOP/WONCA chart, family ABGAR scor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 1. Approximately 49% of study population was taking drug medication currently. We found that 93% of study population was successful at the medication task all alone, 6% was failure at the medication task all alone, so need help partly or completely. 2. Significant variables between group of medication task ability were age, educational attainment, IADL, and MMSE-K in univariate analysis. And significant correlated variables with medication task ability were ADL, IADL, MMSE-K, and BDI in correlation analysis. 3. Major predictors to medication task ability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IADL and sex finally. Findings suggest that IADL is related to medication task ability than other test battery of health status, so IADL could be used to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add information to conventional methods of assessing mental status.

노인에서 처방약 복용에 대한 불순응의 문제는 의학적으로 심각한 문제의 발생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 연구는 1996년 7월 24 일부터 8월 13일 사이에 경상북도 김천시 금릉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단면적인 면접조사이다. 노인에서의 비고이적인 약물복용 불순응의 원인이 되는 약물복용 능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약물 복용능력과 건강상태, 일상적 생활 활동, 가족적 지지, 그리고 인지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변수, 일반적 특성 등과의 관련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약물 복용 실행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자를 찾고자 하였다.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있다고 답한 사람은 48.8%였다. 93%가 혼자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용량으로 복용할 수 있다고 답하였고, 6%가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거나 혼자 복용할 수 없다고 답하였다. 약물 복용 수행능력과 일반적 특성 및 연구 변수들간의 차이에는 연령과 교육수준, IADL, MMSE-K가 혼자서 독립적으로 복용할 수 없는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관분석에는 ADL, IADL, MMSE-K, BDI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단일변수분석과 상관분석에서 약물 복용 능력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를 선택하여 투입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IADL과 성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다른 건강수준 측정법 보다 수단적 일상생활 정도는 약물복용 수행능력에 더 민감한 예측자로의 역할이 기대되므로 투약관리와 약물 복용 수행 능력에 대한 정신적 상태를 평가하는 고식적 방법에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약물복용 순응도의 다면적인 면을 고려한 연구가 입 퇴원환자를 중심으로 한 정확한 투약 순응도와 규모 파악,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을 중재 연구와 인지기능 및 운동기등 등의 정신 및 신체조건에 따른 약물 복용 순응도에 초점이 맞춘 다양하고 집중적인 연구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