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지름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4초

폐색효과를 고려한 사질토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 (Behavior of cement-based permeation grouting in cohesionless soil considering clogging phenomena)

  • 서종우;이인모;김병규;권영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85-500
    • /
    • 2018
  • 사질토에서의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거동 특성을 실내 챔버 모형실험 결과를 토대로 흙의 입도분포에 따라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불가 영역,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 그리고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시멘트 침투 그라우팅 가능 영역에서는 대표 간극 반지름의 개념을 제안하였고 사질토에서의 평균 간극 반지름에 대한 대표 간극 반지름의 비를 실내실험 결과와 폐색 이론식을 비교함으로 구할 수 있었으며, 입도분포에 따라 1.07에서 1.35 정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조건 별로 실험결과와 이론식을 비교하여, lumped parameter (${\theta}$)를 흙의 대표 간극 반지름과 시멘트 그라우트재의 물시멘트비로부터 구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급결제 혼합 필요 영역에서는 겔화 시간의 조절을 통한 주입 깊이의 제한과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고 그 실험값이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 함수를 적용한 이론값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피어 디코더에서 초기 반지름을 결정하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Determining Initial Radius in the Sphere Decoder)

  • 전은성;김요한;김동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71-376
    • /
    • 2006
  • 스피어 디코더의 초기 반지름 결정 문제는 비트 오율 (bit error rate)과 복잡도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런 초기 반지름은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함으로 설정되거나, MMSE 결정 값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은 초기 반지름이 송신 신호에 해당하는 격자점을 매우 높은 확률로 포함한다. MMSE 결정 값을 이용하는 방법은 먼저 수신 신호에서 MMSE 연 판정 부호(soft output information)을 얻은 후, 경 판정(hard decision)을 내린 다음, 수신 신호 공간에서 경 판정 부호에 해당하는 격자점을 찾는다. 그리고 수신 신호와 경 판정 부호에 해당하는 격자점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초기 반지름으로 설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복잡한 수식에 비해 간단한 새로운 식을 유도하고, MMSE 결정값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연구 하였다. 비교를 위해 'Tightness'라는 새로운 측도를 이용하였다. 전산 실험 결과, 낮은 SNR 영역과 중간 정도의 SNR 영역에서는 MMSE를 이용한 방법의 더 많이 디코딩 복잡도 감소를 보였고, 높은 SNR 영역에서는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방법이 더 낮은 디코딩 복잡도를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Birdcage RF coil for 3T Animal MR Imaging

  • 추명자;최보영;강세권;최치봉;이형구;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85-89
    • /
    • 2002
  • 목적 : 사람에 비하여 크기가 현저히 작은 동물의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위하여 상용으로 인체에 적용하는 Head 코일보다 원통 반지름이 작은 Low-Pass Type Birdcage 코일을 제작함으로써 보다 큰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 자기공명영상을 얻기 위해 Spin Echo 펄스시퀀스와 Fast Spin Echo 펄스시퀀스를 사용하였다. T1 강조영상을 얻기 위한 Spin Echo 펄스시퀀스의 매개변수는 TR/TE=300/17 ㎳, Matrix=256$\times$256, Field Of View (FOV)=150 mm, Slice Thickness=2 mm 이었다. T2 강조영상을 얻기 위한 Fast Spin Echo 펄스시퀀스의 매개변수는 TR/TE=3000/96 ㎳, Matrix=256$\times$256, Field Of View (FOV)=150 mm, Slice Thickness=2 mm 이었다. 원통의 지름이 13 cm인 Birdcage 코일은 12개의 elem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는 22 cm로 제작되었다. 결과 : 코일 원통의 반지름의 크기에 따른 SNR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체용 Knee 코일과 동물용으로 제작된 코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팬톰 영상을 획득하였다. 팬톰 영상으로부터 측정된 SNR의 값을 통해 반지름이 작은 동물용 코일의 SNR이 더 크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토의 및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같은 형태의 Birdcage 코일일 경우 원통의 반지름에 따라 SNR이 다르며, 특히 반지름이 작을 때 SNR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일의 크기에 비해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부피가 작은 경우 대상물의 부피에 맞추어 코일을 제작하면 SNR이 보다 뛰어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all-on-3-ball 시험에서 이축 강도의 결정 (Determination of the Biaxial Strength by Ball-on-3-Ball Test)

  • 박성은;이중현;이홍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5-230
    • /
    • 1999
  • Ball-on-3-ball 시험에서 이축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알루미나 시편을 이용하여 ball-on-3-ball 시험과 poston-on-3-ball 시험을 하여 이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piston-on-3-ball 시험에서의 강도 식과 등가 반지름을 이용하여 계산한 ball-on-3-ball 시험에서의 이축 강도와, piston-on-3-ball 시험에서의 이축 강도를 분산 분석(ANOVA)한 결과, 두 평균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ball-on-3-ball 시험에서의 이축 강도는 piston-on-3-ball 시험에서의 강도 식과 등가 반지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유한 요소법을 이용하여 ball-on-3-ball 시험시 시편에 인가되는 응력 분포를 고찰해 보았다.

  • PDF

광 섬유 연결 장치 응용을 위한 원 검출 및 근사화 방법 (Circle Detection and Its Approximation for Fiber Optic Interconnecting Devices)

  • 이범용;김진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6-37
    • /
    • 2014
  • 기존에 영상 내에 원형 검출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허프 변환에 기초한다. 허프 변환은 해석적 곡선의 각 점을 원의 중심 좌표와 반지름으로 매핑 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은 실행시간을 매우 많이 필요로 하고 또한 응용에 따라서 최적인 원 근사화 방법을 찾는데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형 모양인 광 연결 소자 장치로 제한된 응용환경에 대해 원 검출을 빠른 속도로 탐색하는 방법과 최적인 원 근사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에지 검출과 검출된 에지를 이용한 중심좌표 및 반지름 탐색 그리고 최적화된 원 근사화 방법으로 구성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오픈라이브러리로 제공되는 OpenCV의 허프 변환에 의한 방법에 비해 원 검출 및 근사화 방법에 있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수축을 이용한 파이프 곡면의 복원 (Pipe Surface Reconstruction Using Shrinking)

  • 이인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7
    • /
    • 1999
  • 구조화되어있지 않은 점 집합으로부터 파이프 곡면을 복원해 내는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파이프 곡면은 척추 곡선과 스위핑 구의 반지름으로 정의된다. 수축과 동적 최소자승법에 의해 점 집합은 얇은 곡선 형태로 변환된다. 이 얇은 곡선 형태의 점 집합은 쉽게 척추곡선으로 근사될 수 있다. 얇은 점 집합과 원래 주어진 점 집합의 대응하는 두 점간의 거리로 파이프 곡면을 정의하는 스위핑 구의 반지름을 구할 수 있다.

  • PDF

곡률을 갖는 산란체의 새로운 선조합 모델링 기법 (A New Wiregrid Modeling Scheme for a Curvature Varying Surface)

  • 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200-206
    • /
    • 2002
  • 곡률을 .가진 산란체의 전자파 해석에 유용한 선조합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곡률을 가진 2차원 타원형 실린더를 기준으로 곡률 정보가 포함된 선전류에 의해 선조합 모델링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선조합 모델링 기법의 우수성은 도체 내부 전계의 크기로 확인하였고, 수치 해석 곁과 기존의 동일 반지름에 의한 방법보다 본 방법은 선전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멘트법 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LLL 알고리즘 기반 이중 스피어 MIMO 수신기 (LLL Algorithm Aided Double Sphere MIMO Detection)

  • 전명운;이정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77-380
    • /
    • 2012
  • 격자 감소 (lattice reduction) 알고리즘은 주어진 기저 벡터를 직교에 가까운 기저 벡터로 바꾸어 준다. 그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LLL (Lenstra, Lenstra & Lovasz) 알고리즘이 있다. 격자 감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중 안테나 입출력 (MIMO) 통신시스템의 선형 수신기(linear detector)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 (sphere decoding algorithm)은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호기중 최대 우도 복호기 (Maximum Likelihood Detector)와 비슷한 BER(bit error rate)성능을 가지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어서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때 스피어의 반지름의 설정이나 트리 검색 구조 방식 등은 복잡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LLL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스피어의 반지름 설정 및 트리 검색 노드 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스피어 복호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크게 낮추면서도 비트 오류률 (BER) 성능 열화를 최소한으로 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전산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디지털 TV용 안테나 특성 (Characteristics of DTV Antenna)

  • 박용욱;신현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19-1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UHF 대역(406~06MHz)의 디지털 TV 방송 수신을 위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 제작 하였다. 슬롯의 반지름과 슬롯 가로대 세로 반지름의 비율을 조절(타원형)하여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주고 슬롯에 방사를 일으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 변화를 실험하였다. 안테나의 설계, 시뮬레이션은 Ansoft사의 HFSS(High Frequency Structural Simulator)를 사용하였고 비유전율이 4.4인 FR4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제작하고 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등식 $\frac{1}{h_a}+\frac{1}{h_b}+\frac{1}{h_c}=\frac{1}{r}$의 다양한 증명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Proofs of Equality $\frac{1}{h_a}+\frac{1}{h_b}+\frac{1}{h_c}=\frac{1}{r}$)

  • 이재갑;한인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19-5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삼각형의 높이 및 내접원의 반지름에 대한 한 등식을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탐색수행의 방향을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등식에 대한 다양한 증명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체계적인 탐색수행을 통한 다양한 풀이방법 발명의 한 예를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풀이방법에 대한 수학교수학적 논의의 방향과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