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과 채소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3초

포그노즐을 이용한 온실냉시스템 분석 (Fog nozzle - Greenhouse Cooling System Analysis)

  • 김영중;유영선;윤진하;오권영;김승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7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04-111
    • /
    • 1997
  • 하절기 우리 나라의 온실내 온도는 4$0^{\circ}C$ 또는 그 이상으로 육박하고 있어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말한다. 채소류중에서 비교적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가지과와 박과의 경우 생육 적기온은 20 ~ 28 $^{\circ}C$ 범위에 있으며 최고 한계 온도는 35$^{\circ}C$ 정도이므로 여름철 온실내의 환경은 대체로 작물 재배에 적합하지가 않다고 할 수 있다$^{2)}$ . 또한, 고온으로 인한 재배작물의 품질저하도 고온기 작물생산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기능성 샐러드용 혼합채소의 영양성분 및 저장 중 관능적 특성 변화

  • 조용식;전혜경;박혜영;박홍주;한귀정;김미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72-172
    • /
    • 2004
  • 식생활 패턴의 서구화에 따른 육류 소비 증가와 더불어 영양 불균형 초래 및 비만과 당뇨,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의 대두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생활 패턴이 채식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어 기능성 신선편의 식품의 보급이 필요하다. 특히, 선진국에서도 최소가공 처리된 기능성 샐러드 제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향후 국내에서도 성인병 예방 기능성 샐러드 등 신선편의 식품 소비의 개연성은 높다. (중략)

  • PDF

전통 식재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

  • 이재혁;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09-314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10종의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세포 생존률은 MTS assay로, 항산화효과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생존률은 10종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 모두 0.5mg/mL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Cinnamomum cassia Blum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Arctium lappa, Total extract가 우수하였고,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은 Cinnamomum cassia Blume, Arctium lappa, Prunus mume Sieb. et Zucc., 우수하였으나, Total extract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전통식재료로 사용되는 약용식물 및 채소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물로 사용시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이는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항산화 소재 개발 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韓國産)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성(種子傳染性) 진균(眞菌)에 관(關)한 조사(調査) (Survey on Seed-borne Fungi in Some Important Crops of Korea)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75-283
    • /
    • 1982
  • 우리나라 주요작물(主要作物)의 종자전염균(種子傳染菌)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벼, 콩, 보리, 참깨와 시판중(市販中)인 12종(種)의 주요채소류(主要菜蔬類)에서 모두 144개(個)의 종자시료(種子試料)를 수집(收集)하여 종자건전검사(種子健全檢査)를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벼, 콩, 보리, 종자(種子)에서는 각각(各各) 18종(種), 15(種), 7(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다. 벼의 변색종자(變色種子)에서는 Epicoccum purpurascens, Pyricularia oryzae, Trichoconiella padwickii가 많이 검출(檢出)되었고, 콩종자(種子)에서는 탄저병균(炭疽病菌)인 Macrophomina phaseolina가 우리나라의 콩에서는 처음으로 검출(檢出)되었다. (2) 참깨종자(種子)에서는 12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그 중(中) Alternaria속(屬)과 Corynespora cassiicola가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3) 12종(種)의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에서는 모두 21종(種)의 진균(眞菌)이 검출(檢出)되었는데 특(特)히 Alternaria속(屬), Colletotrichum속(屬)과 Fusarium속(屬)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공시(供試)한 시판(市販) 채소종자(菜蔬種子)의 시료중(試料中)에는 각종(各種) 병원균(病原菌)에 심(甚)하게 오염(汚染)되어 낮은 발아율(發芽率)과 유묘감염(幼苗感染)을 일으키는 것이 있었다.

  • PDF

한국인 다소비 채소의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와 HepG2 간장세포의 지질축적, MCP-1과 Adiponectin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in Korea on Differentiation and Secretion of MCP-1 and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an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Hepatocytes)

  • 안은미;강현주;김영;최정숙;강민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10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인이 다소비하는 채소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관련연구 문헌을 통하여 9가지를 선정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와 HepG2 간장세포를 이용하여 채소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과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T3-L1 지방전구세포와 HepG2 간장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은 고사리 0.01~0.1 mg/mL 농도에서, 나머지 8가지 시료는 0.02~0.2 mg/mL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의 Oil-red O 결과, 고사리를 제외한 8가지 시료는 한 가지 이상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시료에 따라 지방분화율을 25~90% 정도 감소시켰다. 그 중에서 쑥갓(0.02 mg/mL, 68%; 0.2 mg/mL, 61%)과 쑥(0.02 mg/mL, 57%; 0.2 mg/mL 90%)의 에탄올 추출물은 50% 이상의 지방분화 저해율을 보였다. 3.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다소비 채소 7가지에 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MCP-1 단백질 분비를 측정하였을 때,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Adiponectin의 단백질 분비는 7가지 시료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전자 발현은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분화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의 발현은 쑥, aP2의 발현은 부추와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 비만에 의한 NAFLD의 모델로, HepG2 간장세포에 ole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 독성을 유발한 후 채소의 8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시료의 농도에 따른 지질축적 저해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9가지 시료 모두에서 간장세포의 지질축적을 저해하였다. 그 중 부추(0.02 mg/mL, 26%; 0.2 mg/mL, 29%)와 고구마줄기(0.02 mg/mL, 25%; 0.2 mg/mL, 20%) 에탄올 추출물은 처리한 농도 모두에서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저농도에서 고농도 수준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6. 지방과 간장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지방세포에서 과분비된 MCP-1의 감소, 지방분화관련 유전자의 발현 감소 효과가 있는 시료로 애호박, 부추, 쑥갓과 쑥이 선정되었다.

서울지역 유통 채소류 섭취에 따른 잔류 농약의 위해성 평가 (Dietary Risk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of Vegetables in Seoul, Korea)

  • 장미라;문현경;김태랑;육동현;김정헌;박석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4호
    • /
    • pp.404-412
    • /
    • 2010
  •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 강남지역 시장, 대형 마트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에 대해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잔류농약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유통 채소류 6,583건에 대하여 동시 다성분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엽채류가 4,972건 (75.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과채류 629건 (9.6%), 엽경채류 581건 (8.8%), 근채류 401건 (6.1%)순이었다. 전체 채소류 중 농약 검출율은 12.7% (834건)이었고, 이중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2.1% (136건)으로 나타났다. 채소류 중 들깻잎이 농약 검출률과 허용기준 초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유통 채소류 중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3회 이상 초과한 농약은 총 16종이었으며 이 중 endosulfan이 24회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부적합 횟수 중 16.0%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diniconazole 22회, paclobutrazol 15회, kresoxim-methyl 9회, etoprophos 8회, diazinon 7회, chlorpyrifos 5회, carbendazim이 5회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이들 농약은 최저잔류 허용기준이 대체적으로 다른 농약보다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상위 3개 농약이 40.7%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가장 많이 검출된 농약은 procymidone으로 189건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3) 농약잔류량과 채소류 평균섭취량 및 ADI로 부터 위해 지수 (HI)를 산출하였다. 결정론적 방법에 의한 위해도는 diethofencarb 7.33%, indoxacarb 5.13%, EPN 3.96%, diniconazole 3.92%, chlorothalonil 3.09%였으며 기타 농약은 모두 3% 이하로 나타났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잔류농약의 위해도 분포는 결정론적 분석결과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95% 신뢰구간의 폭은 매우 넓게 나타났다. 그러나 위해도지수가 0.07~9.49% 범위에 있어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에 기인한 인체 위해도는 낮아 대체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채소류에만 국한된 연구이므로 잔류농약이 포함된 농산물 섭취로 인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농약잔류 허용 기준이 합리적으로 설정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위해성 평가 및 모니터링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cv Ace) Nitrate Reductase cDNA)

  • 박누리;정종배;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29-133
    • /
    • 2002
  • 키토산 분해물을 시금치와 상추에 살포하였을 때, nitrate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감소는 nitrate reductase 활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채소 중 질산염을 가장 많이 축적하는 채소 중 하나인 시금치의 nitrate reductase를 식물체내에 과량 발현시켜 질산염 축적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단계로 시금치 mRNA로부터 RT-PCR을 이용하여 cDNA를 분리, 증폭하고 벡터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은 다른 식물체에서 분리된 nitrate reductase 유전자들과 상당히 높은 상동성($71{\sim}82%$)을 보였고, 이미 발표된 시금치 nitrate reductase cDNA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단지 두 염기만이 달랐다.

호박의 함량 및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품질특성변화

  • 이명희;윤성란;오세금;이정일;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25.1-125
    • /
    • 2003
  • 호박은 다른 과채류에 비해 기후조건에 대한 적용범위가 넓고, 한국의 기후 풍토하에서 잠재생산 가능성이 대단히 높은 작목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다른 박과 채소보다 병이 심하지 않고 약재를 살포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무공해 식품으로도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국민 식생활 패턴이 고급화 됨에 따라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자가 급증하면서 약품이 아닌 식품으로 인체의 조절기능에 초점이 맞춘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 녹황색 채소류의 항산화, 항암효과가 알려지고 있어 늙은 호박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가공제품은 향후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동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호박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추출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모니터링하고자 하였다. 호박의 전처리의 경우 박피유무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공정단계를 최소화하기 위해 박피를 하지 않고 사용하였으며, 파쇄의 형태는 깍둑썰기(4$\times$4$\times$4㎤)를 하여 추출조건에 사용하였다. 추출온도의 경우 호박자체의 색을 유지하는데 효율적인 95$^{\circ}C$에서 행하였다. 시료에 대한 용매비 및 추출시간에 따른 품질의 변화가 많으므로 시료에 대한 용매비(10, 20, 30, 40 50g/100$m\ell$) 및 추출시간(1, 2, 3, 4, 5 hr)에 따른 중심합성실험계획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에 대하여 수율, 당도, 갈색도 및 탁도를 측정하여 시료에 대한 용매비 및 추출시간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영향도를 분석한 결과 수율은 추출시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당 및 갈색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탁도의 경우 두 조건 모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율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은 호박량 10.03% 및 추출시간 2.89hr일 때 가장 높은 수율로 예측이 되었으며, 갈색도의 경우 호박량 15.21% 및 추출시간 1.65hr에서 최소로 나타났다.

  • PDF

박과채소의 대목에 따른 복부분비액, 무기성분 및 식물호르몬의 함량 (Effect of Cucurbitaceous Crops and Rootstocks on the Xylem Sap, Amount Mineral Element and Plant Hormone)

  • 정순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01
    • /
    • 1998
  • 박과채소류의 접목에 사용되는 대목의 종류 및 접목오이와 참외의 목부분비액의 양, 무기성분 및 식물호르몬 함량에 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00g 식물 생체중당 m1로 표현괸 목부분비량은 '흑종'대목이 다른 매복에 비하여 놓았으며 분비액내의 선기 전도도와 산도는 대복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접목오이의 목부분비액의 양은 '흑종'호박 접목묘가 자근묘나 '키토라'접목보다 높았고, 무기성분 함량에 있어서는 전질고, 인산 및 K은 접목에 의해 증가되었고 Ca와 Mg은 자근묘보다 감소하였다. 접목참외에 있어서는 목부분비액의 양은 '금보라'참외에서는 적토좌 접목묘에서, '신은천'참외에서는 '신토좌'점목묘에서 높았다. 무기성분함량은 '신은천'참외에서는 전질소는 대 간에 차이가 없고 K와 Mg은 접목에 의해 증가되었다. '금보라'참외에서는 전실소, Ca 및 Mg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점복참외의 목부분비액내 cytokinin 유사물질의 함량은 자근묘와 '신토좌'접목묘에서 높았다.에서 높았다.

  • PDF

박과종자용 진공노즐식 파종기 개발 - 종자보충.정렬장치의 성능시험 - (Development of Vacuum Nozzle Seeder for Cucuribitaceous Seeds - Performance Test of Seed Replenishing and Arraying Device -)

  • 김동억;장유섭;김종구;김현환;이동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8-422
    • /
    • 2003
  • 농가에서는 재배하고 있는 과채류는 접목하지 않은 실생묘를 육묘하여 사용하거나 공정육묘장에서 실생묘 혹은 접목묘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접목묘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 공정육묘장에서 육묘된 모를 사용하고 있다. 수박, 오이, 참외의 박과채소는 연작장해의 피해를 줄이고 만할병을 방지하며 저온신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접목재배를 많이 실시하고 있다. 또한 터널이나 노지 재배의 경우에는 접목을 하게되면 내습성을 높일 수 있다. 참외의 경우에는 세근이 많이 발달하지만 흡비력이 약하다. 그러나 대목으로 쓰이는 호박은 뿌리의 발달이 왕성할 뿐만 아니라 흡비력이 강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