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디우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7초

수학적 대상으로서의 공집합 (The Empty Set as a Mathematical Object)

  • 유미영;최영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13-423
    • /
    • 2021
  • 수학적 대상 중 하나인 공집합에 대하여 고찰해본다. 공집합과 관련된 학생들의 다양한 오개념과 그 원인을 살펴보고 역사적 공집합의 도입배경과 이와 관련된 집합론의 공리계를 살펴본다. 순수한 개념적 대상인 공집합을 통하여 수학적 대상의 속성을 알아보고, 공리적 집합론에 기반하였다고 알려진 현대 철학자 알랭 바디우(Alian Badiou)의 존재론을 살펴본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립방정식의 해와 해집합을 집합을 통해 설명하고 이와 관련하여 공집합의 존재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여본다. 이러한 관점으로 집합적 사고를 재해석해보고, 수학의 공리적 철학적 측면이 갖는 의의를 제시한다.

고속가공을 위한 정면밀링커터 바디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ace Milling Cutter Body System for High Speed Machining)

  • 장성민;맹민재;조명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21-28
    • /
    • 2004
  • In modem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the airplane and automobile, aluminum alloys which are remarkable in durability have been utilized effectively. High-speed machining technology for surface roughness quality of workpiece has been applied in these fields. Higher cutting speed and feedrates lead to a reduction of machining time and increase of surface quality. Furthermore, the reduction of time required for polishing or lapping of machined surfaces improves the production rate. Traditional milling process for high speed cutting can be machined with end mill tool. However, such processes are generally cost-expensive and have low material removal rate. Thus, in this paper, face milling cutter which gives high MRR has developed face milling cutter body for the high speed machining of light alloy to overcome the problems. Also vibration experiment to detect natural frequency in free stat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during machining are performed to escape resonance.

신공정 주조방법에 의한 밸브바디 증간플레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용훈;성백섭;장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64-264
    • /
    • 2004
  • 1990년에 일본 혼다 기연공업의 고성능 스포츠카(NSX)는, 올 알루미늄합금보디등에 알루미늄을 이용, 대폭 경량화시켜 화제를 모았으며 90년 전후부터는 스포츠카나 스페셜리티카로 불리우는 고성능 승용차의 보디외판과 발주위부품에 알루미늄부품이 잇달아 채용되기 시작하였다. 알루미늄부품의 채용이 정착한 최근에 와서, 승용차의 알루미늄화 움직임에 변화가 생겼다. 90년 이전에는 승용차의 발주위부품은 알루미늄단조품으로 경량화하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91년 가을경부터, 이것을 알루미늄 주조품으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흐름이 바뀌었다.(중략)

  • PDF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원격 제어 시스템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Remote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윤여준;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5-174
    • /
    • 2006
  • 본 논문은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VOD 등을 위한 마우스 기능과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갖는 와이어리스 원격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신호송신부와 본체 바디 및 상기 본체 바디의 전방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 촬상부로 구성된다.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방에 대한 본체 바디의 상대적 움직임의 크기를 나타내는 움직임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움직임데이터를 신호 송신부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에서 전방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이를 분석하여, 전방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만족도를 높인 제품 설계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특허와 신 설계방식을 이용해서 유비쿼터스 방송 시스템의 원격제어시스템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원격 제어 시스템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Remote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 윤여준;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1-170
    • /
    • 2007
  • 본 논문은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VOD 등을 위한 마우스 기능과 리모트 콘트롤러 기능을 갖는 와이어리스 원격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본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부와 본체 바디 및 상기 본체 바디의 전방의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 촬상부로 구성된다.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전방에 대한 본체 바디의 상대적 움직임의 크기를 나타내는 움직임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움직임데이터를 신호 송신부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의 마우스 커서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장치에서 전방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이를 분석하여, 전방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만족도를 높인 제품 설계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특허와 신 설계방식을 이용해서 유비쿼터스 방송시스템의 원격제어시스템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심전도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위한 바디매핑 기반 전극 위치 연구 (A Study of Electrode Locations for Design of ECG Monitoring Smart Clothing based on Body Mapping)

  • 조하경;조상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39-1049
    • /
    • 2015
  • The increase in the need for a 24 hour monitoring of biological signals has been accompanied by an increasing interest in wearable systems that can register ECG at any time and place. ECG-monitoring clothing is a wearable system that records heart function continuously, but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in making accurate measurements due to motion artifacts. Although various factors may cause noise in measurements due to motion, the variations in the body surface and clothing during movements that cause eventual the shifting and displacement of the electrodes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erefore, this study used biomedical body mapping and a motion-capture system to measu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body surface and garment during movements. It was deduced that the area where the fric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garment and skin is the lowest would be the appropriate location to place the ECG electrodes. For this study, 5 male and 5 female in their 20s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rough their selected body movements, the changes in the garment and skin were analyzed using the motion-capture system. As a result, the area below the chest circumference and the area below the shoulder blades were proposed as the optimal location of electrode for ECG monitoring.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와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 (Wide-Range ZVS Asymmetric Half-Bridge Converter with Small DC Offset Current)

  • 박무현;연철오;최재원;문건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3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와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는 설계 시 홀드업 시간 만족을 위하여 정상 상태에서 극심한 비대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는 변압기의 큰 DC 오프셋 전류, 비대칭 전류 스트레스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이로 인하여 전반적인 변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컨버터는 정상 상태에서 비대칭 동작을 최소화하고 낮은 입력전압에서 추가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커뮤테이션 구간을 줄여 전압이득을 높인다. 또한 추가 인덕턴스를 사용하여 영전압 스위칭 에너지를 키우고 추가 스위치의 내부 바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2차측 정류단의 전압 스트레스를 줄인다. 이를 통하여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하였으며, 500W의 프로토타입 컨버터를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 PDF

최소 분류 오차 기법과 멀티 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감정 인식 알고리즘 (Emotion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Minimum Classification Error incorporating Multi-modal System)

  • 이계환;장준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4호
    • /
    • pp.76-8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소 분류 오차 기법 (Minimum Classification Error, MCE)에 기반한 감정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 멀티 모달(Multi-modal)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안한다. 사람의 음성 신호로부터 추출한 특징벡터와 장착한 바디센서로부터 구한 피부의 전기반응도 (Galvanic Skin Response, GSR)를 기반으로 특징벡터를 구성하여 이를 Gaussian Mixture Model (GMM)으로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해지는 로그 기반의 우도 (Likelihood)를 사용한다. 특히, 변별적 가중치 학습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가중치를 특징벡터에 인가하여 주요 감정을 식별하는 데 이용하여 성능향상을 도모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감정 인식이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1kHz 이하 구조기인 소음예측을 위한 트림바디 모델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rimmed Body Model for the predi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at mid-frequencies)

  • 유지우;채기상;;임종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2-367
    • /
    • 2013
  • Vehicle CAE models for NVH predictions are largely developed in two schemes. One is FE models generally used for below 200 Hz problems such as booming noise, and the other is SEA models for high frequencies of more than 1 kHz, representatively related to sound packages. HMC has tried to develop a CAE model for 200-1000 Hz, so-called mid-frequency region, and this paper is one of the corresponding results. The CAE model is developed based on an FE model, and then FE elements at some areas are substituted with SEA elements to reduce DOFs. SEA panels are described by modal density, radiation efficiency, stiffness and damping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from some numerical assessments. Sound packages are modeled similarly as a conventional SEA model. The CAE model developed in this manner, the hybrid model, was compared to experimental results. Predicted pressure and vibrational velo city generally show a good agreement. The developed CAE model and related technology are successfully being used in vehicle development process.

  • PDF

식물 40종 고압용매 추출물의 통합적 항산화 능력 및 항균 활성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 강미애;김미보;김지훈;고영환;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49-1256
    • /
    • 2010
  • 제주, 전남 고흥, 경북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자원 4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식품산업에 응용할 천연소재를 탐색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짚신나물이 174.4 mg GAE/g로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물참나무, 서어나무, 붉나무가 각각 116.9, 113.3, 108.2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율은 짚신나물이 72.6%로 가장 높았고, 서어나무(47.3%), 물참나무(46.4%), 자금우(40.2%), 바늘꽃(40.1%)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마가목이 5.81 m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나도송이풀, 붉나무, 물참나무, 서어나무가 각각 3.96, 3.63, 3.63, 3.34 m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를 나타내었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서어나무가 8.51 mmol Trolox equivalents/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바늘꽃, 섬기린초가 각각 6.57, 5.68, 3.85, 3.83, 3.69 mmol Trolox equivalents/g를 나타내었다. 국내 자생식물 40종 추출물에 대하여 4종의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9종 즉, 바늘꽃, 독활, 짚신나물, 물참나무, 나도송이풀, 세잎이질풀, 서어나무, 섬기린초, 섬바디 만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짚신나물은 S. iniae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독활, 나도송이풀, 섬바디는 S. parauberis과 S. iniae에 대하여, 물참나무, 세잎이질풀, 서어나무는 V. ordalii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