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민족 네트워크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계 벤처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벤처기업 해외진출 촉진방안 중국.인도.이스라엘계 민족적 네트워크 모델과의 비교분석

  • 한창혁;배종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2년도 제20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7-268
    • /
    • 2002
  • 실리콘밸리는 보이지 않는 인적 네트워크(Human Network)로 움직인다. 실리콘밸리내 핵심정보와 세상 돌아가는 진짜 이야기는 인종별, 대학출신별, 출신기업별 소그룹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밸리라고 하는 창조적 공간과의 연결고리 강화를 통해 미래기회를 선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ulcorner$한국계 벤처 네트워크$\lrcorner$ 를 촉진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도, 이스라엘 등 각 민족별 네트워크가 본국과 실리콘밸리간에 어떠한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가를 조사.분석한 후, 여러가지 가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민족별 역사적 이민과정 및 배경에 따라 네트워크의 특성이 달라진다. 둘째, 본국의 산업발전 정도에 따라 본국과 실리콘밸리내 네트워크간의 관계가 달라진다. 셋째, 본국의 정책적 의지가 얼마나 강하냐에 따라 네트워크 활동의 강도도 달라진다. 넷째, 연구모형 인자간의 흐름방향에 따라 본국과 실리콘밸리 간의 역할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민족별 네트워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후, 한국계 벤처 네트워크의 모델도 함께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관찰 및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계 Global Network 발전방안에 대한 정책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 지역의 성장과 민족 네트워크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Growth of the Business Area for Migrant Workers and Ethnic Networks : In Case of Wongok-Dong, Ansan)

  • 장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3-539
    • /
    • 2006
  • 본 연구는 안산시 원곡동 일대에 형성되기 시작한 이주 노동자들의 집단 거주지 및 관련 상업 활동의 공간적 집적현상에 주목하여, 외국인 대상 업소의 입지 특성과 해외에서 이주한 사업주들의 창업과 입지 선정과정 및 상거래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민족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거주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인 대상 업소가 외국인 대상 업소들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업종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반면, 이주 노동자의 규모가 작은 국가 출신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업소는 출현 빈도도 낮고 주로 중국인들과 서비스를 공유할 수 없는 업종을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해외에서 이주한 사업주들은 이주자 네트워크에 의한 입국을 통해 자국 출신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원곡동을 사업의 입지로 선정함에 따라 창업 과정에서 민족 네트워크를 고려하는 경향을 보이며 주로 국내 업체가 취급하지 않거나 공급하기 어려운 품목을 중심으로 틈새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더욱이 지역 내 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업소의 경우에는 상권이 원곡동 내지 안산시로 제한되는 반면, 이주 노동자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민족 네트위크를 따라 상권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광범위하게 형성되고 있다.

  • PDF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정체성 형성요인과 효과 분석 (Factors of Korean Japanese youth'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its effect analysis)

  • 이석인;임영언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525-547
    • /
    • 2011
  • 현재 일본에는 약 58만 명의 재일코리안이 거주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사회로부터 다양한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민족적 주체성을 유지해왔던 재일 1세~2세들과는 달리 재일코리안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재일 3세~4세들은 일본 정부의 동화정책에 의해 귀화자가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재일코리안 청소년들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민족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민족정체성 확립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일코리안 청소년의 연령, 이름형식, 국적, 출신학교, 부모의 영향 및 한국어 능력이 민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민족정체성이 잘 확립된 재일코리안 청소년은 일본으로의 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있고,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한민족네트워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외한인을 민족자산으로 활용하려는 정부나 기관들에게 많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과학기술 지식전문가 정책 네트워크 유형분석 : 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KOSEN)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Type of S&T Knowledge Expert Network : A Case Study of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 Engineers)

  • 정용일;이주영;윤정선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4호
    • /
    • pp.199-215
    • /
    • 2005
  • 과학기술 전문가 커뮤니티로서 가장 성공적인 모델인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이하 KOSEN)'를 대상으로 정책 네트워크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갖는 고유의 특성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과학기술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KOSEN을 사례로 정책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지식전문가 네트워크의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KOSEN에 대한 개괄적인 특성분석과 더불어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를 정책공동체의 핵심 및 주변공동체와 이슈 네트워크로 세분화했다. 정책 네트워크의 분석수준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네트워크의 속성을 개인의 행위로 환원시켜서 이해하는 미시적 접근에 초점을 두었다.

INKE 한민족 글로벌 벤처 네트워크

  • 전하진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101호
    • /
    • pp.4-11
    • /
    • 2006
  • 현재 INKE(International Network of Korean Enterpreneurs)는 20개국에 28개의 지부를 가진 세계적 조직망으로 성장했다. 전 세계에 퍼져있는 지부와 회원들은 한민족이라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국내 벤처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창립 7년, 수출 2억달러라는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성과치는 해외수출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던 우리나라 벤처생태계에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벤처인으로서, 한민족으로서 우리를 묶고 앞으로 향하게 하는 INKE의 탄생과 성장을 회상한다.

  • PDF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Regional Innovation and Global Networks: Critical Review of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Ethnic Communities)

  • 김형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80
    • /
    • 2010
  • 지역 혁신에서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는 선행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었지만, 실제로 글로벌 네트워크의 유형과 형성, 그리고 이에 관련된 메커니즘을 설명한 이론적 논의의 진전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관련 논의들은 대부분 서로 다른 학문 분야에서 출발한 개념들을 상호 연결 없이 일부 소개하는 단계에 머물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지역 혁신과 관련하여 네트워크의 공간적 측면을 설명한 이론적 논의들의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각각의 한계를 지적하고,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이해를 위해서는 종합적인 시각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글로벌 혁신 네트워크의 형성에서 그 역할이 주목받고 있는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개념을 소개하고 그 이론적, 정책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선족의 자영업 활동 : 심양시의 두 조선족집거지경제를 사례로 (Small Business of Korean Chinese : The Case of Two Korean-Chinese Enclave Economy in Shenyang City)

  • 이동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7-520
    • /
    • 2008
  • 심양시의 '서탑'과 '만융' 두 조선족 집거지경제가 출현하게 된 배경에는 조선족이 보유하고 있었던 '개인자원', '가족자원' 외에 '국가자원'과 '민족자원'이 있다. 조선족 집거지 경제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해 온 조선족 이민자와 한국에서 중국에 온 한국인으로 인해서 조선족집거지가 확장되었고, 국가가 한국인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조선족집거지경제를 장려하였고, 또 조선족 자신이 한국에서의 노무 경험을 통해서 자본, 기술, 정보 등을 습득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가운데서 한국인이라는 '민족자원'이 가장 중요하였다. 한국인이 없었다고 하면 조선족집거지경제가 성립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족과 한국인이라는 '이중적 민족자원'으로 인해서 '이중적 민족집거지경제'가 나타내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조선족 자영업자는 한국인 자영업자와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족 자영업자는 한국인 자영업자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민족집거지경제를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민족집거지 바깥으로 경제활동을 확장해 나가야 하게 되었다. 이것은 또한 지리적 집거에서 네트워크에 의한 집거로의 민족집거지경제의 발전을 의미한다.

  • PDF

고객만족 및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 KOSEN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 A Case Study KOSEN)

  • 김상국;최선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31-63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고객추천지수(NPS : Net Promoter Score)를 이용하여 2019년도 이용 고객의 서비스 만족 및 품질에 대하여 모니터링하고 기관의 고객만족 개선 활동에 대한 고객의 의견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 Engineers)는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자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2019년 현재 70여개국 14만여 회원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네트워크로 성장하였습니다. 1999년 이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사업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한 한인 과학기술자들의 지식 공유가 주목적이며, 연구자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서비스를 경험한 262여 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에 대한 고객충성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등 정보의 발달로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관리함으로써 핵심고객을 확보하는데 사전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