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기술 지식전문가 정책 네트워크 유형분석 : 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KOSEN)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Type of S&T Knowledge Expert Network : A Case Study of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 Engineers

  • 정용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혁신인프라연구실) ;
  • 이주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향정보분석실) ;
  • 윤정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향정보분석실)
  • 발행 : 2005.12.31

초록

과학기술 전문가 커뮤니티로서 가장 성공적인 모델인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이하 KOSEN)'를 대상으로 정책 네트워크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갖는 고유의 특성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과학기술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KOSEN을 사례로 정책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지식전문가 네트워크의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KOSEN에 대한 개괄적인 특성분석과 더불어 참여자의 특성에 따라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를 정책공동체의 핵심 및 주변공동체와 이슈 네트워크로 세분화했다. 정책 네트워크의 분석수준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네트워크의 속성을 개인의 행위로 환원시켜서 이해하는 미시적 접근에 초점을 두었다.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knowledge expert network externalize their implicit knowledge by providing information or writing reports. Almost all the members of the network share externalized knowledge and the network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knowledge. Individuals reproduce another implicit knowledge by internalizing shared knowledge through the network and re-created knowledge is externalized, establishing knowledge circul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pert groups of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 Engineers(KOSEN, www.kosen21.org), the Korea's No. 1 science and engineering knowledge expert communit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olicy network proposed by Marsh & Rhodes. According to the principal standards of policy network classification such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consistency,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dependency, we categorize the KOSEN expert groups as closed policy network and opened issue network, and divide closed policy network into core community and periphery com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환, 김성기, 이동철, 임경순, 임지현, 정과리, 정재왈. 2002. 세계지식인지도. 서울: 산처럼.
  2. 김성원. 2000. 사이버 커뮤니티 집중 해부 (1): 위기에 대한 이해와 성공을 위한 10가지 비밀. Working Paper No. 4. (주) 이비즈 그룹.
  3. 김순양. 2003. 정책 네트워크 모형의 이론적 쟁점분석. 정부학연구, 9(2).
  4. 김승종, 김종현. 2002. Community Planning: 인터넷 커뮤니티 구축 및 운영 가이드. 비비컴.
  5. 김유정, 조수선. 2001. 사이버 커뮤니티로서의 인터넷 사이트 연구: 여성 사이트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언론학보, 45(3): 5-38. 서울: 한국언론학회.
  6. 다니엘 벨. 1973. 후기 산업사회의 도래(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7. 도준호, 조동기, 황상재, 박지희, 이승아. 2000. 인터넷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과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8. 리차드 헌터. 2003. 윤정로, 최장욱 옮김. 유비쿼터스 : 공유와 감시의 두 얼굴. 21 세기북스.
  9. 마뉴엘카스텔스. 1996. 네트워크 사회의 등장(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10. 바라바시(Barabasi. A.L.). 2003. 강병남, 김기훈 옮김. 링크(Linked). 서울: 동아시아.
  11. 박진서. 2002. 혁신연구를 위한 계량정보학과 네트워크 분석의 응용가능성. KOSTI 200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 송위진, 이은경, 송성수, 김병윤. 2003. 한국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분석. STEPI.
  13. 오광석, 김인철, 김익한, 라영재, 정의영, 류영달, 서정화, 이동철, 김영진, 이정미, 이종성, 안다영, 김형성, 손종민. 2002. 가치 있는 지식의 창출 및 공유 활성화를 위한 지식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원.
  14. 유정원. 2001. Online Community 운영 전략. Daum Corporation.
  15. 이언앵겔(Ian Angell) 2001. 장은수 옮김. 지식노동자선언. 서울: 롱셀러.
  16. 이장재. 1999. 국가 첨단기술개발프로그램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 생명공학.자동차 부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17. 이주영, 윤정선, 김정화, 한선화. 2002. 사이버커뮤니티 운영 전략: 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 사례 연구. 한국정보전략학회지, 5(2).
  18. 이주영, 한선화. 2003. 전문가 커뮤티니 활성화 방안.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2).
  19. 전민수. 2001. Secret of Community Gardner. (주)e-BPR Consulting.
  20. 최순화외. 2000. 사이버 커뮤니티의 가치 평가. 삼성경제연구소 주최 디지털 심포지엄.
  21. Borzel, T. A.. 1998. "Organizing Babylonon the different conceptions of the policy networks." Public Administration, 76(2).
  22. Burt, R. S., 1992. Structural Hol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Coleman, J. S., E. Katz, and H. Menzel. 1996. Medical Innovation: a diffusion Study. Indianapolis: Bobbs-Merrill.
  24. Groenendijk, N. 2001. "Multi-level Governance. Network Governance and Fiscal Federalism Theory." Multi-level Governance. University of Sheffield. UK.
  25. Hay, C. 1998. "The Tangled Webs We Weave: the Discourse. Strategy and Practice of Networking." In D. Marsh(ed.). Comparing Policy Network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6. John, P. and A. Cole. 1998. "Sociometric Mapping Techniques and the Comparison of Policy Networks." In D. Marsh(ed.). Comparing Policy Network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7. Jordan, A. G., and K. Schubert. 1992. "A Preliminary Ordering of Policy Network Labels."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21.
  28. Kickert. W. J. Kliji. E. and Koppenjan. J. "Managing Complex Networks". SAGE. (1997)
  29. Knoke, D., and J. H. Kuklinski. 1982. Network Analysis. Beverley Hills: SAGE.
  30. Marin. B., and R. Mayntz. 1991. Policy Networks: Empir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31. Marsh, D., and M. Smith. 2000. "Understanding Policy Networks: towards a Dialectical Approach." Political Studies 48.
  32. Marsh, D., and R. A. W. Rhodes(eds.). 1992. Policy Network in British Government. Oxford : Clarendon.
  33. Read, M. 1992. "Policy Networks and Issue Networks: the Politics of Smoking." In D. Marsh and R. Rhodes. Policy Networks in British Government. Oxford: Clarendon Press.
  34. Schmid, A. Beat F. and Katarina Stanoevska-Slabeva. 2001. "Typology of Online Communities and Community Supporting Platforms." Proceedings of the 3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35. Schneider, V. 1992. "The Structure of Policy Networks: A Comparison of the Chemical Cintrol and Telecommunications Policy Domain in Germanym."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21.
  36. Smith, M. J. 1992. "The Agricultural Policy Community : "The Rise and Fall of a Clised Relationship." In Marsh. D. and Rhodes R. A. W.(eds.). Policy Networks in British Government. Oxford: Clare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