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술치료사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미술치료에서 치료적 동맹과 전문적 역량에 관한 미술치료사의 인식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Therapists on the Therapeutic Alliance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in Art Therapy)

  • 김희정;정여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71-388
    • /
    • 2021
  •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실제 임상 경험을 통해 치료적 동맹을 촉진하는 미술치료사의 개입 과정 및 전문적 역량 요소들을 탐색하여 미술치료 교육과 미술치료사 수련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9명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사용하여 5개 영역과 41개 범주로 정리되었다. 연구 결과, 치료적 동맹 촉진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개입 과정은 치료적 동맹을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할 사항과 치료적 동맹을 구성하는 세 가지 차원을 토대로 안전한 환경으로 구조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미술치료사의 전문적인 역량은 치료적 동맹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개입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치료적 동맹 효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치료사는 치료적 동맹을 촉진하기 위해 임상적인 문제를 가진 독특한 개별 사례를 개념화할 수 있는 능력, 풍부한 임상경험, 미술을 치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치료적 대상으로 존재하기 위한 노력 등과 관련된 전문적인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치료적 동맹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조화와 미술치료사의 전문성 강화에 필요한 발달과제들을 도출하여 미술치료사의 교육과 훈련에 활용될 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서울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 현황과 과제 (Status and Subject of Art Therapy in the Local Social Community in the Seoul Area)

  • 장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50-359
    • /
    • 2009
  • 본 논문은 서울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와 치료사 현황조사를 토대로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확대 가능성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건 복지부가 제시한 사회복지시설 14종류 중 29기관이 설문대상으로 참여하였고, 45.1%가 미술치료를 시행하는 것으로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 미술치료의 역할과 위치는 점차적으로 정착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미술치료를 실시하는데 있어 기관에서 어려움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문제와 미술치료사와 관련하여 전문 치료사의 확충으로 치료사 연계망와 보수가 주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과 상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형성되는 의식과 집단화에 영향을 주어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복지를 통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제공에 미술치료를 좀 더 전문적이고 다양하게 확대, 적용하기 위해 첫 번째, 기관내에서의 미술치료실 환경 여건 개선 두 번째, 미술치료학계는 통합적인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관에서의 전문치료사의 확충의 어려움과 치료사들의 구직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기관과 치료사의 연결망 구성 세 번째, 치료사는 다양한 치료적 접근을 하기 위해 교육기간 동안 학문적인 연구와 함께 임상훈련과 감독강화, 전문치료사로서의 학문적인 연구와 임상연구의 발전을 연구 과제로 모색하였다.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 정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7-30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들의 집단미술치료 참여 경험을 알아보고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G시 아동발달재활기관에서 근무하는 인지, 언어, 미술 치료사로, 총 5명의 치료사가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였으며, 2019년 1월부터 2월까지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의 집단미술치료 참여 경험은 '감정의 정화', '새로운 발견', '격려와 위로', '긴밀한 관계 맺음' 의 총 4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치료사들은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면서 감정 정화를 경험하고 나와 동료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집단 안에서 격려와 위로를 통해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들의 심리적 지원을 위하여 융합적 관점에서 미술치료를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기기에서의 그림검사를 위한 Application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the Drawing Test)

  • 김선희;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07-717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을 확인하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PPAT 그림검사는 사람이 사과를 어떤 식으로 따는지 문제해결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검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하 FEATS) 항목 14개 중 '문제해결력' 항목에서 인터넷 과몰입군이 일반사용자군 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과몰입군의 경우 사과를 향해 손을 뻗지 않고 있거나, 사과가 떨어지는 그림, 합리적인지지 기반 없이 사과를 따는 방법으로 사과를 따른 모습을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내용은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사용한 PPAT 그림 검사가 본래의 목적인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드러내었다는 점은 앞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들을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익숙하게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PPAT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Future of Digital Art Therapy)

  • 이상희;원광연;우성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309-1315
    • /
    • 2009
  •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건강과 관련한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각종 사이버 상담을 비롯하여 원격 진료, 게임과 VR을 활용한 치료 등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HCI 분야에서도 각종 Health Technology와 관련한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점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본 연구는 최근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미술치료를 화두로 디지털기술과의 다양한 접목의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1999년 Cathy A Malchiodi는 그의 저서에서 "컴퓨터의 사용증가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이 다른 헬스 케어 영역에서처럼 미술치료의 영역에도 커다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라고 언급했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여전히 생소하고 낯선 개념이다. 비록 몇 몇 선구적인 연구자들이 각종 디지털기술을 미술치료와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긴 하지만, 많은 현장에서는 이에 대해 미술치료의 본질을 해칠지 모른다며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미술치료 영역에 디지털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관련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그 흐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앞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점차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 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방법을 통해 디지털미술치료가 향후 전통적 방식의 미술치료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며 그 가능성을 넓혀 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방향은 치료보다는 예방차원에서, 단일미술치료보다는 다양한 매체와 감각을 활용하는 통합적 치료로, 또 언제 어디서든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끝으로 대상의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형태의 디지털미술치료 서비스로 정리해볼 수 있었다. 즉 디지�� 미술치료, 나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예술치료가 현대인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서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향후 미술치료를 비롯한 예술치료와 엔지니어 사이의 자연스러운 협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자리매김 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PDF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효과 (The Art Therapy in Groups' on the work Stresses and Emotional Burnouts of Social Workers for Diabled Facility)

  • 차미선;신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54-16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A시에 위치한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시설 사회복지사 8명으로 연구기간은 2016년 2월 16일부터 2016년 5월 31일까지 주 1회, 70분씩 총 13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후 그리고 4주 후에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 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맨 휘트니 U 검정(Mann 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사전 사후 추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었고, 그 효과가 긍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성인지적장애인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을 감소시켰으며 효과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술치료를 위한 컴퓨터 심리진단 장치 (Computerized Psychological Test System for Art Therapy)

  • 전인호;김송이;김기현;임은지;김영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2호
    • /
    • pp.135-14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미술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아동심리 진단용 컴퓨터 장치를 제안하고 그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진단 대상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색상과 관련된 요소뿐만 아니라 사용된 선의 특성, 필압(pen pressure), 그림의 위치, 크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컴퓨터로 구현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 후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치료사에게 치료 대상자에 대한 보다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미술치료는 근본적으로 진단 대상자의 그림을 평가하는 치료사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상자의 그림으로부터 어떤 정보를 어떻게 추출할 것인지부터 추출된 정보로부터 대상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해석에 이르기까지 전적으로 치료사가 어떤 이론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치료사의 학문적 깊이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정보 중에 '무엇'을 치료 대상자의 그림에서 얻어낼 수 있는지와 '어떻게' 읽어낼 것인지를 알아보고, 치료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 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심리 진단용 시스템을 제안하며, 대상자가 제안된 장치에 그리게 되는 그림을 통해 주제 색, 선의 특성, 필압, 그림의 위치 등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며 이를 수치화함으로써, 미술심리치료 분석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온라인 미술기반 동료 슈퍼비전 실행에 대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for Implementing Online Art-Based Peer Supervision)

  • 윤라미;김수인;정희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04-4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미술기반 동료 슈퍼비전 실행과정에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실제 적용을 돕는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자를 포함한 임상미술치료 박사과정 동료들은 연구 참여자로서 실행과정에서 반복적인 문제점 파악과 개선적용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징을 살펴보면 '미술기반' 측면에서는 매체 및 공간의 확장성, '온라인' 측면에서는 주도성, 편리성, 신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파악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전 구조화'는 명확한 경계와 설정, 집단의 사전 협의, 자기 주도적 준비와 태도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두 번째, '미술 구조적 측면'은 창작을 통한 몰입을 돕는 공간과 매체 마련, 안정적인 시행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기술적 측면'은 미술작품을 전달할 수 있는 활용방안과 창작자의 명확한 의도전달이 가능한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측면'은 최소 보안표준 기준에 따른 온라인 소프트웨어 활용 및 반복적인 비밀보장 상황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팬데믹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미술치료사의 전문역량을 유지하고 미술치료사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가상현실 미술치료 (VRAT) 콘텐츠의 치료적 요인 특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Factors of VRAT(Virtual Reality Art Therapy) Contents)

  • 임성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2
    • /
    • 2022
  • 20세기 초부터 대안적 심리치료의 관심과 발전과 더불어 예술치료의 영역도 발전, 확장되어 가고 있다. 특히 근래 들어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사태(Covid 19 Pandemic)가 불러온 언택트(Untact) 시대는 디지털 예술치료 콘텐츠에 대한 개발을 가속화 하고 있다. 그 중 가상현실(Virtual Reality)에 대한 높은 관심은 전통적 예술치료를 넘어서는 새로운 매체의 치료적 효과성에 대한 기대와 의문을 동시에 불러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 미술치료이론인 ETC(Expressive Therapies Continumm)의 개념 틀과 치료적 구성요소에 기반한 체계적 문헌분석을 통해 가상현실 미술치료(VRAT:Virtual Reality Art Therapy) 콘텐츠의 치료적 요인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VRAT 콘텐츠는 사용자의 동적, 지각적, 인지적 요인을 촉발하는 좌반구 대상의 치료적 요인이 주로 나타났고 감각적, 정서적, 상징적 요소에 치중된 우반구 대상의 치료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VRAT 매체의 특성 및 기술적 한계 외에도 실험적 단계의 특성상 치료사의 적극적 개입과 장기적 세션 구성의 부재, 사용자들의 VRAT 에 대한 두려움과 서툼, 낯섦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한계로는 적은 수의 분석 대상 문헌과 미술치료라고 하기엔 미비한 현 VRAT 의 형식이며 본 연구의 결과로서 도출된 VRAT 콘텐츠 매체와 환경에 기인한 치료 요인의 특징과 가능성이 향후 VRAT 콘텐츠의 적절한 개발에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Therapists' Job Stress and Burnout)

  • 김희정;박민정;변혜진;신은자;정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3-87
    • /
    • 2018
  •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소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 관계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33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환경적 요인(학력, 경력, 치료시간, 시간 당 소득, 슈퍼비전 횟수) 중 경력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이를 매개하며, 이러한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