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인장 결합강도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6초

산 부식된 상아질에 대한 용매를 이용한 프라이밍이 소수성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MING ETCHED DENTIN WITH SOLVEN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HYDROPHOBIC DENTIN ADHESIVE)

  • 박은숙;배지현;김종순;김재훈;이인복;김창근;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42-50
    • /
    • 2009
  • 장기적인 상아질 접착의 내구성 악화는 접착층과 혼성충의 친수성 부위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콜라겐 망상체를 유기용매로 프라이밍하면 콜라겐 조직을 붕괴시키지 않고 수분을 밀어내고 소수성 단량체와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침투하여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두 소수성 단량체인 Bisphenol-A-glycidylmethacrylate (Bis-GMA)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를 아세톤, 에탄올 또는 메탄올에 용해시켜 세 가지의 실험용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산 부식과 수세과정 후에, 접착제를 습윤 상아질 표면(습윤 접착)이나 동일한 용매로 프라이밍 된 상아질 표면(용매 프라이밍 접착)에 적용하였다. 48시간 후와 1개월 후, 및 10,000회의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계면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접착 방법에 무관하게 대부분의 시편의 접착계면에서 잘 발달된 혼성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가장 높은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의 48시간 후 시편에서 관찰되었다. 용매를 이용하여 프라이밍하는 접착 방법에서는 에탄올이나 메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에서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접착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습윤 접착의 경우에는 시효처리 후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에탄올을 이용한 상아질 프라이밍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었고, 열순환 후 접착력 이 더욱 증가하였다.

에탄올의 첨가가 치과용 접착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Addition on Efficacy of Dental Adhesive)

  • 민정범;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과수분 상태에서 두단계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할 때 부가적으로 에탄올을 첨가하였고 이러한 에탄올의 첨가가 접착제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접착제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잔존 휘발성분의 양을 측정하고 접착제의 상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전환율과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제 10 ${\mu}l$만을 사용한 1군, 증류수 3 ${\mu}l$에 접착제 10 ${\mu}l$를 적용한 2군, 그리고 여기에 부가적으로 100% 에탄올을 1 ${\mu}l$에서 6 ${\mu}l$까지 1 ${\mu}l$씩 단계적으로 추가한 6개의 실험군을 포함하여 총 8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서 10초, 30초, 60초 동안 공기건조하고 잔존 휘발성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실험조건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강도와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one-way ANOVA와 Tukey HSD test를 사용해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잔존 휘발성분의 양에 있어서 1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실험군들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할수록 양이 감소하였고, 2군, 3군, 4군 보다 5군, 6군, 7군이 더 낮았다 (p < 0.05). 5군, 6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환율이 증가하였다 (p < 0.05). 5군, 6군, 7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p < 0.05).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5군, 6군, 7군, 8군에서 공기건조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분리가 소실되는 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과수분 상태에서 두단계 산부식 접착제에 부가적으로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은 수분을 제거하고 접착효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섬유포스트의 표면 처리방법이 복합레진 코어와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TREATMENTS OF FIBER POSTS ON BOND STRENGTH TO COMPOSITE RESIN CORES)

  • 금혜조;유현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3호
    • /
    • pp.173-17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란, 과산화수소, 불산, 샌드블라스팅을 이용한 섬유포스트의 표면 처리가 복합레진 코어와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32개의 FRC Postec Plus를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7개의 실험군(S군, HP군, HP-S군, HF군, HF-S군, SB군, SB-S군)으로 분류하였다. S군은 실란을 적용하였고, HP군은 28%의 과산화수소로 부식하였으며, HP-S군은 과산화수소 처리 후 실란을 적용하였다. HF군은 4% 불화수소산 젤로 부식하였고, HF-S군은 불화수소산 젤 처리 후 실란으로 처리하였다. SB군은 산화 알루미늄으로 샌드블라스팅 하였고, SB-S군은 샌드블라스팅 후 실란을 적용하였다. 표면 처리한 포스트는 Tetric Flow를 사용하여 광중합 시키면서 주위에 원통형의 코어를 축조하였다. 형성된 포스트-코어 복합체를 막대 형태로 절단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와 LSD test로 결합강도 값을 분석한 결과, 샌드블라스팅은 섬유포스트와 복합레진 코어와의 결합력을 증가시켰으며 샌드블라스팅 후 실란으로 처리한 경우 다른 처리 방법들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결합력을 나타냈다(p < 0.05).

VARTM 공정으로 성형된 Abaca 패브릭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평가 (Mechanical Properties of VARTM Processed Abaca Fabric Composites)

  • 변길재;하종록;김병선;조치룡;옥주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198-20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VARTM 공정으로 제조되는 에폭시/아바카 패브릭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표면처리를 통하여 패브릭 표면의 미세 거칠기를 증가시키고 친수성을 소수성으로 변화시켜 에폭시-패브릭간 계면결합력을 증가시켜 기계적 특성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온 상압 플라즈마 처리법을 사용하였고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는 최적 처리시간을 찾고자 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NaOH 처리법을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10초 처리된 패브릭으로 제조된 복합재가 무처리, NaOH 처리 대비 가장 높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20초 이상 처리시 인장강도는 낮아졌다. 미세구조 분석결과 20초 이상 처리시 섬유에 생긴 미세 흠집으로 인해 인장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흡습 시험과 침강 시험을 통해 친수성의 아바카가 소수성의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가 산부식 접착제로 접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 결합강도 비교 (COMPARATIVE ENAMEL BOND STRENGTH BETWEEN LIGHT-AND DUAL-CURED COMPOSITES BONDED BY SELF-ETCHING ADHESIVES)

  • 조영곤;유상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본 연구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적용한 법랑질에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을 접착시켜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른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 하악 대구치를 근, 원심 방향으로 1 mm 두께가 되도록 절단하여 사용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Xeno 군 (Xeno III), Adper 군 (Adper Prompt L-Pop), AQ 군(AQ Bond)으로 분류하였다. 각 시편의 법랑질 표면에 각 군에 해당하는 접착제를 적용한 후 Tygon tube를 이용하여 광중합형 복합레진 (Z 250)이나 이원중합 복합레진 (Luxacore)을 접착하였다.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복합레진과 법랑질의 접착계면이 파절될 때가지 분당 1 mm의 crosshead speed를 가하여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 한 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 접착제로 결합된 광중합과 이원중합 복합레진의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광중합 복합레진에서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2. Z 250을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7.73{\pm}2.01\;MPa$, Adper군에서 $6.74{\pm}1.80\;MPa$, AQ 군에서 $9.59{\pm}2.51\;MPa$를 나타내어 AQ 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3. Luxacore를 접착시킨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Xeno군에서 $5.19{\pm}1.32\;MPa$, Adper 군에서 $3.41{\pm}1.19\;MPa$, AQ군에서 $4.50{\pm}0.96\;MPa$를 나타내어 Xeno군이 Adper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침식치아에 대한 복합레진의 결합강도 (COMPARISON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TORATION TO ERODED ENAMEL BY SURFACE TREATMENT)

  • 이순영;이경호;노홍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8-354
    • /
    • 2011
  • 침식 법랑질의 표층은 건전 법랑질과는 물리화학적 성상이 다르므로 침식 법랑질면에 대한 복합레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법랑질 내층으로의 침투력이 탁월한 infiltrant resin을 응용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도로 인공 침식이 유발된 법랑질면을 대상으로, infiltrant resin과/또는 기존의 접착제를 적용한 경우의 복합레진 결합강도를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건전한 순면을 가진 발거된 상악 유전치를 대상으로, 인공침식 유발 횟수 및 infiltrant resin과/또는 기존의 접착제를 적용한 방법에 따라 각 20개씩의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각 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면의 파절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법랑질 표면의 침식 유발 횟수가 늘어날수록 결합강도가 낮았다(p<0.05). 기존의 접착제 상부에 infiltrant resin을 추가 적용한 군, infiltrant resin만 적용한 군, 접착제만 적용한 군의 순으로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파절 양상의 관찰에서는 인공 침식 유발 횟수가 적은 군 및 infiltrant resin을 적용한 군에서 응집파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법랑질의 침식도가 클수록 복합레진 수복물과의 결합 강도는 감소하였으며, infiltrant resin으로 기존의 적찹제를 대체하거나 첨가함으로써 결합강도를 보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압착 건조 처리시 표면처리를 통한 고강도 라이너지 개발

  • 최병수;윤혜정;류정용;신종호;송봉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3-63
    • /
    • 2000
  • 저급의 고지 원료를 두께 방향으로 고온 압착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종이 물성 을 향상시키는 콘디벨트 건조 방식은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에 이르는 10여년에 걸친 개발 과정을 거쳤으며 90년대에 들어서 핀랜드의 Inkeroinen에 위치한 V alemt- Tarnpella의 연구 소에 최초의 파일로트 설비가 설치되었으며 그 후 1996년에는 핀랜드 ENSO사의 P Pank밟oski 판지공장에 설치됨으로써 세계 최초의 상업생산설비를 이루게 되었다. 기존의 실린더 건조 기술과 비교할 때 콘디벨트 건조방식은 건조속도를 약 5-15배 향상시킬 수 있 으며, 건조 에너지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실린더 건조시 종이가 폭방 향으로 수축되 어 인장 stiffness와 압축 강도 동의 종이 물성 이 저 하되 는 반면 습윤상태 의 섬유를 120도씨이상에서 가열에 의해 리그닌을 연화시킴과 동시에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준다. 그리고 높은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섬유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고 건조시 종이의 폭방향의 수축을 감소시켜 인장강도, 내부결합강도, 밀도, 표면평활성, 투기저항성 등 종이의 물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혁신적인 제지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현재 1998년 부터 상업생산을 이루어짐으로써 그 공헌도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골판지의 주원료가 되는 국산 골판지 고지 (Korean old corrugated container, K KOCC)의 거듭된 재생처리로 인하여 미세분의 함량이 전체 지료의 절반 이상에 달할 뿐만 아니라, 섬유가 각질화와 단섬유화로 인하여 고온압착 건조처리 만으로는 골판지 고지로 생 산된 원지의 강도를 버진펄프로 생산된 원지가 가지는 강도에 준하는 강도로 향상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유럽의 제지선진국들은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표변에 전분 사이즈 프레스 처리를 도입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온 압착 건조 처리 설비를 활용한 전분 표면처리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조건을 탐색하였다.

  • PDF

레진 인레이 합착시 지각과민처리제의 사용이 상아질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DESENSITIZER ON DENTINAL BOND STRENGTH IN CEMENTATION OF COMPOSITE RESIN INLAY)

  • 한세희;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223-231
    • /
    • 2009
  • 본 연구는 인레이 와동에서 인상을 채득하기 전 지각과민처리제 (Isodan)과 2단계 전부식 접착시스템 (One-Step)과 단일단계 자가부식 접착시스템 (All-Bond SE)으로 처리한 후, 복합레진 인레이를 자가 접착형 레진시멘트인 BisCem으로 합착시키는 경우 레진 인레이의 상아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와 주사현미경적인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각과민처리제인 Isodan만을 사용하는 경우 레진 인레이의 결합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단독 사용보다는 단일 단계 자가부식 시스템 (All-Bond SE)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양성전분을 이용한 신문용지의 품질개선 및 생산성 향상

  • 이학래;류훈;함충현;최철희;조석철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3-33
    • /
    • 1999
  • 고지 사용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원가 절감을 모색하고 있는 국내 신문용지 생산업체에서 는 보류도와 탈수성 저하에 따른 생산성 악화가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강도 및 인쇄적성 저하라는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 신문용지 생산공정의 수질이 악화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화학첨가제의 효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적합한 양성전분과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문용지 생산에 이의 적용기술을 모색하였다. 전기전도도가 4000 $\mu\textrm{s}$/cm인 신문용지 지료를 이용하여 DS 0.03인 저치환 양성 전분의 보류도 증가효과를 평가한 결과 양성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류도 증가율이 6 6%로 낮게 나타났으나, DS 0.06인 전분은 보류도 증가율이 21%로 향상효과가 높게 나타났 다. 또 양성전분의 치환도가 증가할수록 인장지수, 내부결합강도, 표면강도 향상 효과도 증 가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가교 처리를 실시한 치환도 0.08 및 0.1의 습식양성전분의 경우에는 미세분 보류도, 여수도, 탁도 등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경우 보류도가 각 확인하였으며,이 건식방법으로 제조된 치환도 0.08 빛 0.15인 양성 전분을 0.5% 첨가할 각 16%, 21% 증가되어 적은 첨가량에서도 보류향상 효과가 높다는 것을 러한 효과는 여수도 및 양이온 요구량 측정을 통하여 재확인되었다. 저치환 양성전분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비이온성 천연고분자를 활용하 는 방안을 검토한 결과 비이온성 천연고분자를 병용함에 따라 보류도 증가율이 탁월하게 개 선되었으며, 인장지수, 내부결합강도, 표면강도 등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etakaolin 혼합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특성 예측 (Estimation on the Durability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 이상호;문한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73-180
    • /
    • 2005
  • 메타카올린은 고성능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혼합재로서 사용되는 결합재의 일종이다.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내화벽돌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고성능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리카흄의 대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리카흄 및 메타카올린 두 결합재를 콘크리트 중에 일정량 치환하여 몰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와 같은 역학적 시험뿐만 아니라, 염소이온확산시험, 화학침식에 대한 저항성 시험, 동결융해저항성 시험과 같은 내구성시험을 병행 실시하였다. 역학적 시험결과 메타카올린을 결합재전체 대비 10에서 15%정도 치환 사용했을 때 가장 적당한 강도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메타카올린 및 실리카흄 두 결합재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염소이온확산이 훨씬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결합재의 미세분말에 의한 충전효과에 의해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화학적침식저항성이 훨씬 뛰어남을 보였다. 다른 내구성 시험에서도 메타카올린을 사용한 콘크리트가 실리카흄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상응하는 상당한 역학적, 내구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시험을 통해 우리는 메타카올린이라는 재료가 충분히 고가의 실리카흄을 대체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