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 농도

Search Result 2,82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내염성 미생물의 생태학과 산업적 이용 가능성

  • 조무제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4 no.3
    • /
    • pp.31-32
    • /
    • 1988
  • 염농도는 미생물 생육에 중요한 환경요인의 하나로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염농도 1% 이내를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지만 자연계에는 염농도 1% 이상에서 포화염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것들도 많다. 미생물 중에는 생육 최적염농도보다 높은 환경에 처하면 여러가지 적응기작에 의해 고염분 농도에 적응하면서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 미생물과 고염농도 환경을 생육 최적조건으로 하는 호염성 미생물로 대별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on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by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se (용존산소 농도 조절이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 유재수;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v.18 no.2
    • /
    • pp.155-160
    • /
    • 2003
  •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DO) on microbial transglutaminase(mTG) production by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se was studied in on-line computer controlled fermentation system. In order to control dissolved oxygen during fermentation, the agitation speed and aeration rate of 2.5 L fermenter ranged from 260 to 360 rpm and 0.3 to 3.9 L/min, respectively. The maximum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as obtained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among the various dissolved oxygen controlled batch cultures tested. The production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was about 2.12 U/mL which was 1.1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in batch culture without control of dissolved oxygen. Also, the highest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as obtained in fed-batch cultures in which dissolved oxygen was controlled at 20%, and it was improved almost 1.3 times in comparison with that without control of dissolved oxygen. Maximal dry cell weight and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ere 13.2 g/L and 2.6 U/mL, respectively.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fed-batch fermentation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showed a good performance for the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by on-line computer controlled fermentation system which may be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microbial cultures.

The Treatment of Concentrated Organic Alcoholic Distillery Wastewater by the Fluidized-Bed Biofilm Reactor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에 의한 주정공장의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 김동석;장희재
    • KSBB Journal
    • /
    • v.6 no.4
    • /
    • pp.345-35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iomass characteristics and organic removal efficiency by changing superficial upflow velocity and organic loading rate in treating alcoholic distillery wastewater. Since the biomass concentration and the thickness of biofilm are very sensitive to superficial upflow velocity, a high concentration of biomass could be achieved by decreasing superficial upflow velocity that lowered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Therefore, superficial upflow velocity should be controlled as to give optimum conditions and removal efficiency. Generally, activated sludge system shows 70% COD removal efficiency at$1.5kgCOD/m^3{\cdot}day$, but the fluidized-bed biofllm reactor shows 80% COD removal efficiency even at 6kgCOD/$m^2{\cdot}day$.

  • PDF

Influences of pH Conditions on Syngas Fermentation using Clostridium ljungdahlii (pH 조건이 Clostridium ljungdahlii를 이용한 합성가스 발효공정에 미치는 영향)

  • Wang, Long;Hong, Seong 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4 no.6
    • /
    • pp.143-150
    • /
    • 2012
  • 바이오에탄올 생산공정은 당 (Sugar)을 기반으로 하는 공정과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합성가스를 이용하는 공정은 촉매를 이용한 화학적 공정과 혐기성 발효에 의한 생물학적 공정의 두 가지로 나뉜다. Clostridium ljungdahlii는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아세트산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합성가스 발효공정에서 pH는 미생물의 증식과 에탄올 등의 생산에 아주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pH 조건이 미생물의 생장과 에탄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 ljungdahlii 배양은 엄격한 혐기성 조건에서 100 ml의 serum bottle과 pH 제어가 가능한 반응기를 이용한 실험결과, 회분식 배양 조건에서는 미생물의 생장과 에탄올 생산을 위한 최적 초기 pH는 7.0로 나타났다. 미생물 농도는 0.57 g/L, 에탄올 농도 0.91 g/L로 나타났다. pH 4.5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생장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제어가 가능한 생물반응기에서는 pH 6.0 일때 에탄올 생산량이 pH 7.0 일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정 수준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한 조건에서 합성가스를 기포식으로 주입하고 pH 5.9에서 5.4까지 제어하였을 때 미생물량과 에탄올 농도가 증가하였다. 60 시간이 지난 후에 미생물의 농도는 0.498 g/L, 에탄올은 1.056 g/L까지 이르렀다.

Reponse of Hydrogen Fermentation to Variation of Iron (철 농도 변화에 대한 수소발효의 반응)

  • 이영준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7 no.1
    • /
    • pp.119-123
    • /
    • 2001
  • 철 농도변화에 따른 대사산물 생성에 대한 반응은 중온조건에서 회분식 실험으로 수해하였다. 철의 농도가 40mg/$\ell$까지는 철 농도의 증가에 따라 수소생성율도 증가하였다. acetate 생성율은 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Butyrate, ethanol 및 butanol은 각각 철 농도가 200,200 및 400mg/$\ell$에서 최대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철의 농도가 200mg/$\ell$이상의 농도엘 때에 propionate, i-butyrate 및 valerate 생성율이 철의 농도가 200mg/$\ell$ 이하의 경우 보다 낮았다. 미생물농도의 경우 철 농도가 300mg/$\ell$까지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농도도 증가하였다.

  • PDF

High Density Cell Culture with Internal Filter Feedback System (Internal Filter feedback system을 이용한 고농도 세포배양)

  • 이우기;이용석;장호남;장용근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10a
    • /
    • pp.40-41
    • /
    • 1993
  • 생물 ㅏ반응기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응기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미생물 농도를 높이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막을 이용한 미생물 재순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발효조 밖에서 막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여 다시 발효조 내로 순환시키는 방법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이들은 공정이 복잡하고 고분자 합성막을 이용한 경우 고온 멸균의 어려움이 있는등 산업화하는데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 PDF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산업적 이용

  • 고영희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4 no.2
    • /
    • pp.4-9
    • /
    • 1988
  • 대부분의 생물은 온화한 환경조건 즉 중성부근의 pH, 30~37 .deg.C, 1 기압하에서 적당한 농도의 영양과 염류를 함유한 환경속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나 하등생물인 미생물 중에는 특수환경 즉 강알칼리성 또는 강산성 pH, 고온, 고압하에서 생육하며 고농도의 염을 요구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특수환경 미생물은 자신의 환경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생체 system을 구성하기 위하여 독특한 효소나 물질을 생성하므로 이를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러가지 특수환경 미생물 중 여기서는 호알칼리성 미생물의 산업적 이용면을 간단히 기술하고자 한다.

  • PDF

Treatment of Flushing Effluent Using Immobilized Cell (고정화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유출수의 처리)

  • 전민하;소정현;최상일;김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220-22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을 in-situ flushing으로 정화시 발생되는 세척 유출수의 고정화 미생물에 의한 처리 효율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endosulfan 농도 및 pH가 각각 5mg/L, 5.6인 세척유출수의 체류시간을 1, 3, 5시간으로 하여 고정화미생 물 충진 컬럼에 적용한 결과, 제거효율은 각각 62, 82, 89%로 체류시간이 증가될수록 향상되었으며 3가지 조건 모두 약 80시간 이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체류시간 3시간에서 유입수내 endosulfan 농도를 50mg/L 및 100mg/L로 증가시킨 결과, 제거효율이 각각 70% 및 50% 부근까지 저하되었다. 유입수의 pH를 4.0과 9.0으로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각각 73%와 66%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pH 9.0보다 4.0에서 제거효율이 약간 높은 이유는 사용 배지의 pH가 약산성을 띠기 때문에 알칼리 상태보다 약산성에서 미생물의 활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출수를 재순환 시킨 결과 제거효율이 90%까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재 순환되는 유출수의 농도 저감 및 고정화 미생물과의 재 접촉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입수에 공기를 주입한 결과, 유출수의 재순환 없이도 약 40시간 후에 93%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이는 미생물 활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Electrolysis on Bacterial Activity in 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동전기 생물학적 복원에서 전기분해반응이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Joon;Park, Ji-Yeon;Lee, You-Jin;Yang, Ji-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7
    • /
    • pp.764-769
    • /
    • 2006
  • In the electrokinetic(EK) process, oxygen production by electrolysis was proportional to current density. The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in anode tank and bioreactor increased with the circulation rate of electrolyte. The bacterial population in bioreactor rapidly increased by the supplement of current, but the DO concentration deceased by the increased bacterial oxygen consumption. From the results of EK bioremediation for pentadecane-contaminated soil, the bacterial population and removal efficiency at 1.88 $mA/cm^2$ were lower than those at 0.63 $mA/cm^2$. This is because the high oxygen production rate largely increased the production rate of organic acids, which reduced the electrolyte pH and bacterial activity. At 0.63 $mA/cm^2$, the highest bacterial population and removal efficiency could be obtained due to the appropriate oxygen production and small decrease in pH.

Variation of Nitrogen Removal Efficiency and Microbial Communities Depending on Operating Conditions of a CANON Process (CANON 공정에서 운전조건에 따른 질소 제거효율 및 미생물군집 변화)

  • Jo, Kyungmin;Park, Younghyun;Cho, Sunja;Lee, Tae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6
    • /
    • pp.332-339
    • /
    • 2015
  • Nitrogen remov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bout wastewater treatment because nitrogen is a primary pollutant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We developed a CANON microbial community by using AOB and ANAMMOX bacteria as seeding sources. When 100 mg-N/L of influent ammonium was supplied, the DO above 0.4 mg/L showed a very low TN removal efficiency while the DO of 0.3 mg/L showed TN removal efficiency as high as 71.3%. When the influent ammonium concentration was reduced to 50 mg/L, TN removal efficiency drastically deceased. However, TN removal efficiency was recovered to above 70% after 14 day operation when the influent nitrogen concentration was changed again from 50 mg-N/L to 100 mg-N/L. According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from $37{\pm}1^{\circ}C$ to $20{\pm}1^{\circ}C$, TN removal efficiency also rapidly decreased but gradually increased again up to $70.0{\pm}2.6$%. The analysis of PCR-DGGE showed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under different operational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if CANON sludge is once successfully developed from a mixture of AOB and ANAMMOX bacteria, the microbial community can be stab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operation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