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백효과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1초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우치(牛齒) 미백 효과에 대한 분석

  • 심건보;김용희;박찬영;김정모;윤현식;이동현;정주은;박대훈;노석호;엄환섭;최은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41-541
    • /
    • 2013
  •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는 치아미백은 고농도의 과산화수소와 carbamide peroxide가 함유된 미백제를 이용하여 전문성을 가진 의사가 직접 시술을 하고 있다 [1].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미백효과가 높지만 [2]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인체에 유해하다 [3,4]. 따라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미백제의 사용은 전문가만 시술할 수 있도록 이를 제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반 가정용으로 판매되는 다양한 미백제품들은 저농도(최대6%)의 과산화수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만 치아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 우리는 가정에서도 보다 안전하고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치아의 미백효과를 보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규제하고 있는, carbamide peroxide (15%)와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제트의 유량은 200 sccm이며, 공기를 사용하였다. 미백효과를 보기 위한 대상으로는 우치(牛齒)를 사용하였으며,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조시료군으로는 carbamide peroxide (15%)를 처리하지 않은 우치와 처리한 우치, 그리고 carbamide peroxide (15%)를 처리한 우치에 수증기(0.2~1%)를 첨가한 다음, 이들 세가지 시료에 각각 공기 플라즈마를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모든 실험의 플라즈마 처리시간은 최대 20분까지로 하였다. 수증기를 첨가한 이유는 활성산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이로써 탁월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활성산소와 치아의 유기질이 반응하여, 색이 진한 탄소고리 화합물을 밝은 색의 사슬구조로 바꿔주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하여 우치에 carbamide peroxide (15%)와 수증기(0.2~1%)를 처리한 경우 플라즈마의 미백효과가 탁월함을 보였다. 이때 CIE색좌표 ($L^*a^*b^*$)에서 명도도가 최대 2배 이상 높아짐을 보았다. 미백효과에 대한 측정은 측색분광기(CM-3500d)를 이용하였다.

  • PDF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우치 미백효과

  • 심건보;김용희;박대훈;권재성;최혜숙;이채복;엄환섭;김경남;최은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5-175
    • /
    • 2013
  • 현재 치과에서 상용되는 치아미백법은 과산화수소와 레이저를 사용하여 의사가 직접 치료를 하고 있다 [1]. 단기간에 높은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암 또는 심장병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수 있음으로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3,4]. 우리는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 규제하고 있는,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를 사용하였다. 카마바이드 퍼옥사이드(15%), 수증기,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사용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기체 유량은 1,000 sccm 이며, 공기와 질소를 사용하였다. 미백효과를 보기 위한 대상으로는 우치(牛齒)를 사용하였으며,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미백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대조시료군으로는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와 수증기(0.4%)를 첨가한 다음, 공기 플라즈마와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여 비교해보았다. 수증기를 첨가한 이유는 활성산소의 농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탁월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우치에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15%)와 수증기(0.4%)를 처리한 경우 플라즈마의 미백효과가 탁월함을 보였다. 이때 CIE색좌표 ($L^*a^*b^*$)에서 명도도가 높아짐을 보았다. 미백효과에 대한 측정은 측색분광기(cm-3500d)를 이용하였다. 라만은 빛이 어떤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빛의 일부는 진행방향에서 이탈해 다른방향으로지행하는 현상을 산란이라고 한다. 이를 이용하여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라만산란이라고 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같은 우치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 전 후를 라만을 통해 측정하였다.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ROS는 미백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모든 실험의 플라즈마 처리시간은 최대 20분까지로 하였다.

  • PDF

TiO2 광촉매 융합 미백제에 의한 치아미백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 (Improvement of Bleaching Effect on the Color of Enamel Surface with TiO2 Catalysis Convergence Bleaching Agent)

  • 황갑운;최문실;임선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65-17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아미백제와 $TiO_2$ 광촉매의 융합에 의한 치아 미백효과를 평가하고, 미백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광촉매 혼합비 등에 관한 기초연구를 통하여 미백효과와 안전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치아는 발거된 치아 중 우식에 이환되지 않고 수복물이 없는 전, 구치부 치아 24개의 연조직 치석을 제거한 후 전치부의 순면이나 구치부의 협면 및 설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dal상에서 사용 중인 치아 미백제에 $TiO_2$ 광촉매 분말을 10, 20wt.% 첨가하여 융합하고, 과산화수소수를 10~20%첨가한 미백제를 적용하여 색조 변화를 측정하였다. $TiO_2$ 광촉매와 미백제의 융합 미백제 적용에 따른 치아의 외관 특성평가 결과, 20% 과산화수소수에 $TiO_2$ 첨가한 경우 월등한 미백효과를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TiO_2$ 광촉매를 사용하면 치아미백을 위한 미백제 적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치아 미백제 개발에 촉매의 활용을 통하여 미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의 제안으로 치아미백 제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미백치약으로 처리된 치아의 미백효과와 미세경도 변화 (An Evaluation of Whitening Effect and Microhardness on the Enamel Surface by White Toothpaste)

  • 김혜영;남설희;최정옥;권현숙;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27-433
    • /
    • 2013
  • 삶이 풍요로워지고, 경제적인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미용적인 부분이 부각되어져 최근 다양한 특수한 목적을 가진 성분이 포함된 치약이 시판되고 있다. 그 중 미용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치아미백치약의 연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백효과를 가지는 치아미백치약을 4 주간 사용 하였을 때 치아의 색변화,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미백치약의 사용에 따라 미백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4주간 반복 적용을 통하여 일반치약에 비하여 색변화가 약 2.3배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치아의 미세경도의 수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누구나 보다 쉽게 일상생활에서 미백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미백치약으로 잇솔질을 수행함으로써 미용 기능을 증진을 이끌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Primer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자가 미백 부착대의 미백 효과에 대한 실험실 실험 연구 (In-Vitro Whitening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Strips with Primer)

  • 김종훈;문교태;김지혜;안재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197
    • /
    • 2014
  •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지도 없이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일반적 치아 미백제에 대한 연구로 과산화수소의 함량제한이 있는 국내 사용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미백 효능을 제공하고자 동일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미백 효과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금속 이온 등을 함유한 primer에 대해 착색시킨 수산화인회석 시편을 이용한 실험실적 방법으로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원료들은 인체 안전성을 고려하여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원료에서 선별하였으며 금속 이온의 종류 및 염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평가한 결과 3가 철 이온을 방출하는 염화제이철을 함유한 primer를 적용 시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여기에 제삼인산칼륨을 사용하여 pH를 알칼리조건으로 만든 pH 10.0 primer를 적용 시 더욱 미백 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primer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시간에 따른 미백 효과를 비교한 결과 30분 부착 시 1.75배의 명도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공 재료와 인공적 실험 환경에서 이뤄진 실험실적 연구로서 실제 인체에 적용 시 안전성이나 부수적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 추가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제한된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primer의 사용으로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천연물에 포함된 미백성분의 추출 및 미백효과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 김은철;안소영;홍은숙;이광화;김은기;노경호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48-353
    • /
    • 2005
  • 천연물 중에서 사자발쑥과 인진쑥, 홍경천, 청국장, 된장 추출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 10 g에 300 mL의 에탄올로 상온에서 3 h의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을 차례로 같은 양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트로 분배과정을 거쳤다. 홍경천 5 g에 150 m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h을 냉침하여 얻은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하였다. 제조용 컬럼($3.9{\times}250mm$, $C_{18}$, $15{\mu}m$)을 통하여 두개 부분의 분획물을 획득할 수 있었다. 청국장과 된장은 6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과 멜라닌 억제효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의 경우 항산화효과에서는 인진쑥의 물층, 멜라닌 억제 효과에서는 사자발쑥의 헥산층, 인진쑥의 클로로포름층이 우수하였다. 홍경천 추출물은 in-vivo melanin production ratio assay에서 melanin-a 세포를 사용한 결과 미백효과는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청국장과 된장의 60% 에탄올 추출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홍화자, 향부자, 형개 추출물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igmenting Effect of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and Schizonepeta tenuifolia Extracts)

  • 황은영;김동희;황주영;김희정;박태순;이인선;손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6-8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홍화자, 향부자, 형개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연구하였다. 멜라닌 생성 첫 단계인 tyrosinase 억제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홍화자 에탄올 추출물이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하였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melanogenesis 따른 tyrosinase 형성 억제에 따른 멜라닌 합성 관련 인자 MITF, tyrosinase, TRP-1, TRP-2 의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홍화자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홍화자는 미백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재료로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xtracts from Hippophae rhamnoides L.)

  • 고민석;이혜정;강명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2-817
    • /
    • 2012
  • 본 연구는 비타민 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열매 추출물의 약리 활성 효과인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DPPH 소거능,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DPPH 소거능은 비교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하게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100{\mu}g/mL$$500{\mu}g/mL$에서 52.1%와 73.4%로 나타나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의 미백 작용에 있어 tyrosinase 활성 억제와 항산화 작용이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시료농도 5, 10, 50, $500{\mu}g/mL$에서 48, 43, 47, 56%를 나타내 미백 효과가 우수한 arbutin보다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보고(Miyazawa & Tamura 2007)에 근거하여 볼 때 본 실험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ascorbic acid과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피부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 작용에 의한 미백 효과를 추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tyrosinase 억제 효과의 실험 결과 역시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시키고 여러 단계의 기작으로 인하여 미백 작용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성분이 풍부한 비타민 나무 열매 추출물은 미백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 작용이 우수한 기능성 천연 원료로써 미백 화장품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ssessment methods for evaluating the whitening effect of cosmetics on human skin

  • Kim, Youn-So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90
    • /
    • 2002
  • 멜라닌의 정량은 인체에서 화장품의 미백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인체의 멜라닌 측정을 위한 높은 정확성을 가진 non-invasive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피부에서 화장품의 미백효과는 피부색의 밝기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미백효력 평가를 위한 재현성있는 방법으로는 피부색측정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에 colorimeter, mexameter와 전문가의 육안평가같은 여러 기기나 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 강연에서는 미백효과에 대한 평가를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해 자세히 보고하고 각 방법에 대하여 토의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간단히 임상시험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 마지막으로 melanocyte를 정량하는 새로운 non-invasive방법에 대한 model을 제시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