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백활성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1초

구기자 종자 초임계유체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 평가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roduc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from Lycii Fructus Seed for Cosmetic Ingredients)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23-63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종자를 초임계유체 추출한 후 in vitro 미백활성과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물을 에멀션에 적용하여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pH, 점도, 에멀션 입자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백활성의 경우 $750{\mu}g/mL$에서 81.86 %의 미백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균효과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균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션 물리적 안정성 평가에서 점도와 pH가 28일 동안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화물 입자 관찰 시 경시변화에 따른 합일과 분리현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소재로서의 구기자 씨앗 추출물이 유용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성인용 치약의 세포독성 평가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ytotoxicity evaluation of adult dentifrices)

  • 최유리;심연수;장선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5-312
    • /
    • 2019
  • 본 논문은 치약의 성분이 구강 내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활성도,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치약 6종, 미백치약 3종, 천연치약 2종, 양성대조군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Immortalized human gingiva fibroblast cell 을 사용하여, 세포활성도 평가를 위하여 WST test, 세포 독성평가를 위해 Agar diffusion test를 시행하였다. 일반치약그룹, 미백치약그룹, 천연치약그룹 순으로 세포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Agar diffusion test는 일반치약그룹과 미백치약그룹은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천연치약그룹은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세포핵염색 결과 세포모양과 핵활성도 또한 천연치약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고, 미백치약, 일반치약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치약의 사용목적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와 성분별 세포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치약의 자세한 성분표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 장태원;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6-544
    • /
    • 2017
  •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으로 전세계적으로 1속 1종의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미선나무 자생지를 보존하고 멸종위기식물로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TRP-1, TRP-2, MITF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수준의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활성산소종에 효과가 뛰어났으며, 활성산소종은 노화, 염증,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킨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활성은 페놀류 화합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류 화합물은 천연 폴리페놀이라고 불리는 파이토케미칼로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식물 방어 기작의 일환으로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페놀류 화합물은 노화, 항암을 포함한 많은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및 mRNA를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은 멜라닌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및 mRNA를 억제하였다. MITF는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과 전사에 연관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미백활성, 페놀류 화합물, 항산화 활성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당뇨 처방에 근거한 생약재의 α-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 및 이를 활용한 미백 소재 평가법 (Effect of Medicinal Herb Prepared through Traditional Antidiabetic Prescription on α-Glucosidase Activity and Evaluation Method for Anti-Melanogenesis Agents Using α-Glucosidase Activity)

  • 김미진;임경란;윤경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93-9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선정한 생약재 및 복합처방단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으며, 이 방법이 미백 소재 스크리닝을 위한 유용한 평가법인지를 알아보았다. 한의학과 민간에서 당뇨의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생약재 및 처방 중 죽력, 귀전우, 적양, 연자육, 마인, 청심연자음의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는 식후 혈당조절제인 acarbose와 비교하여 볼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가 알려진 연자육을 함유한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100{\mu}g/mL$ 농도에서 약 50%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또한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청심연자음 hydrolyzed EtOAc layer는 ${\alpha}$-glucosidase 활성을 저해시켜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가 있으면서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들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저해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생약재들은 당뇨병 치료를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화장품에서 새로운 미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백에 효과가 있는 소재 스크리닝을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와 다른 접근 방법으로써 ${\alpha}$-glucosidase 활성 측정 방법도 하나의 평가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를 이용한 레드비트 생물전환물의 항산화, 피부 미백과 자외선 흡수 효능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Skin-Whitening and UV Absorption Effect of Beta vulagaris Using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

  • 염서희;강민호;박제훈;김소희;김진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5-2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M4를 이용하여 Beta vulagaris의 생물전환물(BBE)의 피부미백 및 자외선 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TPC),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 라디칼 소거 활성(RSA),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TAI)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BBE의 TPC와 TFC는 25.0 mg GAE/g DM, 8.05 mg QE/g DM으로 각각 열수 추출물(HWE) 대비 1.3, 1.1 배 높았다. 항산화 활성 지표인 RSA와 피부 미백 효과 지표인 TAI가 각각 36.8%, 68.6%로 HWE보다 1.1, 1.2 배 높았다. BBE의 UVA와 UVB 흡수율은 각각 21.4, 87.6%로 HWE보다 1.4, 1.7 배 높았다. 또한 LC-MS/MS를 이용한 BBE의 주요 물질을 분석을 통해 항산화 및 피부 미백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의 일종인 kaempferol과 isorhamnetin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BBE는 항산화, 피부 미백, 자외선 흡수 특성이 우수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화 및 도화악 추출물의 미백활성 비교 (Comparison of Melanogenesis-Inhibiting Activity by Extracts of Prunus persica Flower and Calyx)

  • 손형우;이숙희;김민아;박희준;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46-950
    • /
    • 2012
  • 복숭아꽃(도화)과 꽃받침(도화악)의 DW 및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ORAC assay에서 공통적으로 복숭아꽃 추출물이 꽃받침에 비해 높은 활성을, 에탄올 추출물이 DW 추출물 보다 상대적으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에 의한 미백활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10 mg/mL 농도를 기준으로 복숭아꽃 DW 추출물: 40%, 에탄올 추출물: 32%, 복숭아꽃받침 DW 추출물: 53%, 에탄올 추출물: 43%의 저해율로 복숭아꽃받침 DW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16F10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복숭아 꽃 에탄올 추출물의 $10{\mu}g/mL$에서 57%, $100{\mu}g/mL$에서 76%의 억제 효과를, 복숭아 꽃받침 에탄올 추출물의 $10{\mu}g/mL$에서 63%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복숭아꽃 및 꽃받침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다른 천연성분과 적절히 혼합 사용 시 우수한 시너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열풍건조 삼채의 분획별 미백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Hot-Air Dried Allium hookeri)

  • 정수지;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32-839
    • /
    • 2015
  • 열풍건조 삼채 잎 및 뿌리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삼채의 생리활성 효과와 화장품 원료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열풍 건조 삼채 잎 및 뿌리 부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뿌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171.07{\pm}7.55mg/g$ GA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잎과 뿌리 부분 모두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 활성 측정 결과 잎 부분의 n-hexane 분획물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은 2 mg/mL의 농도에서 $53.51{\pm}2.55%$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도 52.22%의 멜라닌 생성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알부틴의 65.82%보다도 더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삼채의 메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melanin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관련 제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산 복숭아 유과의 품종별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 평가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Unripe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 김경희;김다미;유성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6-1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유과 과육의 품종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품종별 복숭아 유과 과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24~9.95 mg/g의 함량을 나타내며 마도카에서 가장 낮고 몽부사에서 가장 높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몽부사의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ducing power에서의 항산화 실험 결과 역시 몽부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는 홍백에서 가장 높은 tyrosinase 저해능을 보였으나 6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복숭아 유과과육은 항노화 및 미백활성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 물질로 잠재적인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선초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on Melanogenesis)

  • 손형우;남동윤;김민아;차용수;김종명;신용규;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98-1001
    • /
    • 2011
  •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고 이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B16F10 세포주를 이용한 melanogenesis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선초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Melanogenesis 억제 활성에 관련이 있는 분자마커의 확인을 위하여 RT-PCR에 의한 mRNA 발현 수준을 검토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YR, TYRP-1. TYRP-2의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MITF 전사인자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본 추출물은 독성이 없으므로, 향후 신선초 추출물에서의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을 분리/조제에 응용한다면 cosmeceutical의 소재로 개발이 기대된다.

산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 진경숙;오유나;박정애;이지영;진수정;현숙경;황혜진;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1-3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산초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산초 추출물 및 분획물이 보유한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in vitro assay system 및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초 MeOH, EtOH, 열수 추출물 모두 강한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효소 활성 저해를 통한 DOPA 산화 억제능을 보였다. B16F10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alpha}$-MSH에 의해 유도된 세포 내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산초 추출물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농도의존적인 melanin 생성 억제능을 보였고 세포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또한 이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산초 추출물에 의한 melanin 생성 억제능이 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 및 melanogenesis 관련 단백질 발현 저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을 이용하여 산초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산초 추출물에 존재하는 활성물질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각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물 층을 제외한 모든 용매 분획이 활성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초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능과 미백활성, 그리고 항염증 활성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미백활성을 비롯한 생리활성 보유 천연물 소재 탐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