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메시스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으로 본 영화적 재현방식 고찰 (Cinematic Representation based on Triple Mimesis of Paul Ricoeur)

  • 김수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46-156
    • /
    • 2012
  • 19세기 후반에 세상에 선을 보인 영화는 현실을 모사하고자 했던 인류의 열망에서 발명되어 탄생 초기부터 현실을 재생하는 소명이 주어진 반면, 부조리하게도 비현실의 예술로서 간주되었다. 영화의 발명이 가져온 현실의 모사(copy)에 대한 경험은 영화가 이야기를 지니고, 허구의 세계를 창조하여 가상적인 현실감과 더불어 현실을 재현(Representation)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영화의 재현방식은 상반된 미메시스(Mimesis)개념을 모두 함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메시스의 개념을 문학적 재현의 층위에서 해석적 관점으로 발전시킨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Triple Mimesis)'개념을 바탕으로 1999년 콜럼바인 고교 총기난사사건(Columbine High School massacre)에 나타난 행동의 전(前) 이해를 분석하고,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엘리펀트(Elephant)'에 어떠한 형식으로 재현되어 있는지, 이러한 영화적 재현이 어떻게 해석 가능한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영상이미지에 나타난 재현과 현실과의 관계에 대한 규명이 예술적 '미메시스(Mimesis)'의 관점에서 재정립되었으며, 영화적 재현에 있어서 해석의 전(全)과정을 통하여 창작자와 독자 간의 소통에 관한 탐구가 시도되었다.

미메시스를 향한 테크네의 진보와 이미지 전략 (Advancement in Techne and strategy of image for Mimesis)

  • 최원호;이왕주;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73-384
    • /
    • 2014
  • 인간의 시각경험과 그 재현의 열망은 문명사의 시원에서 그 흔적을 남겨왔다. 당연히 이미지의 역사는 그러한 시간의 깊이에로 소급해야 한다. 그 기원에서 드러나는 이미지의 존재론적 위치는 시각경험의 리얼리티를 핍진적으로 재현하는 데 있었다. 이 열망이 결국 원본과 복제의 차이를 좁히려는 다양한 시도들로 장르화되었다. 핵심은 복제 즉 미메시스의 존재 자격을 원본성에로까지 고양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은 눈에 의한 시각경험의 산물인 인상에 어떤 방식으로 리얼리티를 부여하는가라는 기술적 과제로 남겨진다. 고대 그리스에서 테크네에 대한 성찰은 이러한 문제의식과 겹쳐진다. 본 연구가 플라톤의 원본 이데아와 그 복제 미메시스에 대한 논의를 출발의 단초로 삼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플라톤이 분류한 '미메시스'가 원본 이데아로부터의 원근에 의해 여러 층위가 나눠지듯이 미메시스를 구현하는 테크네 또한 다양한 위상을 갖춘다는 것이다. 결국 이미지, 혹은 미메시스의 역사는 플라톤 패러다임의 맥락에서 볼 때, '사상(似像)'과 '환상'을 향한 진보의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후대에 구현된 기술적 재현의 다양한 메커니즘은 이러한 성찰을 토대로 하여 이뤄진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패션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A Study of the Aesthetics of Mimesis in 2000s Fashion)

  • 양수미;권미정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38-50
    • /
    • 2009
  • Since Homeros in Greece, Mimesis was thought to be an art to imitate the nature, and it means an imitation of the nature classically. Mimetic theories were set to be a kind of art work in the era of Renaissance, and the terminology of mimesis was widely used to replace it with an originality in the 15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mimesis expressed in 2000s fashion.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theories of the mimesis, categorized the definition, then applied those categories for 2000s fashion. Documentary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aesthetics, fashion books and demonstrative studies were processed by analyzing photos from collection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site of internet.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e mimesis could be defined into three categories; the similarity and the representation mimesis, the symbol mimesis and the abstraction mimesis. In fashion, the representation mimesis included a natural and a folk, a period that of 1900s and ancient representation mimesis. The symbol mimesis included psychology and fear symbol mimesis. The abstraction mimesis included hard color, a geometric simplification and distortion mimesis. Analysis on the mimesis expressed in 2000s modern fashion may provide an excellent method for understanding human aesthetic in costume.

인터넷 온라인게임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A Study of the Mimesis in Internet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

  • 양수미;권미정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1-17
    • /
    • 2011
  • Ever since Homeros in Greece, Mimesis was thought to be an art that imitates nature, especially the classicism of nature. Mimetic theories were used in the artworks in the era of the Renaissance, and the terminology 'mimesis' replaced the idea of originality in the 15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mimesis expressed in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 For this purpose, I researched different theories of 'mimesis' and applied them to Online video game apparel desig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various books on aesthetics and fashion, and demonstrative studies were processed by analyzing photos from Internet video game websites.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e term mimesis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xternal, internal and multiple mimesis. External mimesis represented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in the design, which showed the beauty of the ancient times. Internal mimesis displayed the metaphorical symbols of religion, character, psychology, sexuality and fear. Multiple mimesis was the hybrid and the distortion of the different aspects of mimesis. Applying this research on mimesis and expressing them in Online video game design may be an excellent method for understanding human aesthetics in video game apparels.

예술 공간의 미메시스적 재구성: 황재형의 작품론을 쓰기 위한 기초 (The Mimetic Reconstruction of Artistic Space through Works of Hwang, Jai Hyoung)

  • 박구용
    • 철학연구
    • /
    • 제116호
    • /
    • pp.105-128
    • /
    • 2017
  • 이 글은 황재형의 작품세계를 예술공간의 미메시스적 재구성이라는 프레임으로 읽어보려고 시도한다. 나는 황재형의 작품이 품고 있는 세계가 그 자신의 주관적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작품 속의 공간은 황재형 작가가 음악적으로 사태에 동화되는 과정, 곧 미메시스를 통해 재구성한 세계로 읽힌다. 이런 읽기를 위해 나는 먼저 빛과 어둠의 교차로에서 그의 작품과 소통하는 길을 찾고자 한다(2). 이 길에서 미메시스적 반응으로 재구성된 황재형 작품의 예술 공간 안팎을 넘나들다가(3), 시간을 품은 공간을 통과해(4) 길 밖으로 나온다(5).

책의 존재와 사물의 존재(6)-글쓰기와 미메시스

  • 김상환
    • 출판저널
    • /
    • 통권154호
    • /
    • pp.6-7
    • /
    • 1994
  • 소크라테스는 진리를 언어 밖에서 찾으라고 말했다. 플라톤은 언어를 어떤 모방의 형식이라고 생각했다. 미메시스 개념에 기초한 언어관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에 의하면, 책이란 진리의 시체 통조림이자 영혼을 망쳐놓는 흉물에 불과하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은 언어를 상징의 형식으로 이해하면서 책을 진리의 잔치마당으로 여긴다.

  • PDF

오토포이에시스, 어포던스, 미메시스: 환경과 인간의 인지적 상호작용의 복잡성 해명을 위한 밑그림 (Autopoiesis, Affordance, and Mimesis: Layout for Explication of Complexity of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 심광현
    • 인지과학
    • /
    • 제25권4호
    • /
    • pp.343-384
    • /
    • 2014
  • 마음의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오늘날 인지과학은 과거의 컴퓨터 모델이나 신경망 모델이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뇌와 상호작용하는 신체와 상호작용하는 환경이라는 넓은 틀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로 등장한 <확장된 마음>이나 <체화된 마음> 혹은 <발제적 마음>의 이론들은 마음에서 환경으로 나아가는 길을 개척하는 데에 주력한 반면, 마음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복잡한 과정 자체를 해명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문제는 1960~70년대에 마음의 문제를 뇌와 신체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선구적으로 해명하려 했던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에게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깁슨이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 방점을 찍었다면, 마투라나와 바렐라는 생명체의 자기생산의 자율성에 방점을 찍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이 제공하는 어포던스에는 불변적 요소가 존재하고 생명체 역시 고유한 자율성을 가지면서, 어포던스의 가변적 요소와 환경에 대해 열려 있는 생명체가 함께 구조적 짝패를 이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럴 경우 깁슨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대립점은 해소될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벤야민의 미메시스 이론이 양자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려 한다.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에는 어포던스적 요소들을 체화함과 동시에 환경에 새로운 어포던스를 발제하는 측면이 함께 어우려져 하나의 성좌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과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체화와 발제 개념은 벤야민의 미메시스 개념을 매개로 할 경우 원활하게 연결되어 순환할 수 있다.

문래동 예술촌의 공공예술 실천에 대한 연구: 아도르노의 미메시스(Mimesis)와 벤야민의 '적극적 동반자'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New Genre of Public Art in Mullae Art Village: Focus on Adorno's Mimesis and Benjamin's Active Companion)

  • 정나리;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6권
    • /
    • pp.87-10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도르노의 미메시스와 벤야민의 '적극적 동반자' 개념을 통해 문래동 예술촌의 공공예술 실천에 대해 분석하고, 새로운 장르의 공공예술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과 문화산업 비판론, 벤야민의 미학을 중심으로 이론적 논의를 행하고 공공예술의 개념과 현실 맥락적 특징들을 성찰적으로 검토했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그리고 철공소 노동자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공공예술의 실현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들의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를 통한 새로운 공공예술 실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문래동으로 상징되는 공공예술 영역에서 각각의 관계 맺기가 공공예술 실천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 분석하고, 나아가 새로운 장르의 공공예술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 PDF

건축디자인의 메타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부정미학적 해석 - 개념발생의 미메시스적 계기를 중심으로 - (Adorno's Negative Aesthetic Interpretation of Meta-phenomena in Architectural Design - With a Focus on Mimetic Moments in Generation of Concepts -)

  • 박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85-96
    • /
    • 2013
  • This study relates to meta-phenomena in architectural design. Among other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and demonstrate the cognitive thoughts and methodological systems in 'autonomy and instrumentality' presented in works of art by positivist architects focusing on diagrams after the second modernity in addition to earlier formal experiments by John Hejduk, Peter Eisenman, Bernard Tschumi, and Daniel Libeskind.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approached the mimetic concepts developed by Walter Benjamin and Theodor Adorno. Especially, meta-phenomena in the methods of architectural design were connected to productivity in Adorno's mimetic concepts. Also, in terms of formation and creation of works of art, the mimetic backgrounds of Adorno's theories on aesthetics were identified from features of concepts on the part of formal experiments. The results were systemized methodologically based on meta-phenomena appearing in pure arts and overall architectural design. These were presented as a framework to interpret 'autonomy and instrumentality' that exist in the working of negativity and mimesis. In this way, logics and intuition in architectural design as well as methodological systemization of convergent creativity were proved valid. In conclusion, Adorno's mimetic concepts systemized based on negativity and critical awareness may lead to new concepts. It has been proved that it is valid for security of meta-phenomena of architectural design as a production of autonomous spaces for differences and cr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