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래불안감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Face-to-face non-face-to-face convergenc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to alleviate anxiety of the elderly suffering from COVID-19 pandemic anxiety)

  • 김인숙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1-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불안과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P시 소재 K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70세 이상의 노인들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 참가자들의 심리불안 점수 평균은 3.02(SD 0.25)였고, 참여 후 평균은 2.79(SD 0.15)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로 심리불안 점수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Z=4.245, P=.004).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불안을 겪는 노인들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융합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확대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2000년대 초반 로맨틱스타일 디자인 연구

  • 유은옥;정삼호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36-36
    • /
    • 2004
  • 21세기는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와 빠르게 변화하는 현재에 대한 소외감,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등이 혼재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합리적 사고와 기계적 삶을 강요당할수록 사람들은 지나간 과거의 향수 어린 추억 속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한다. (중략)

  • PDF

Health Zone_부모 카운슬링 - 우울증 어른의 것 아니야 아이도 우울하다 소아청소년 우울증

  • 양재원
    • 건강소식
    • /
    • 제36권6호
    • /
    • pp.30-31
    • /
    • 2012
  • 최근 청소년들의 잇따른 자살 때문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 왕따 현상 등이 청소년들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어른과 마찬가지로 청소년들에게도 좌절, 실망감, 상실감이 크면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고, 그 빈도는 성인에서만큼 흔하다. 만약 일시적인 증상이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정확한 평가와 빠른 치료가 필수다.

  • PDF

가꾸는삶 - 병을 이기는 건강요가 - 편두통을 다스리는 요가 -

  • 정유경
    • 건강소식
    • /
    • 제33권12호
    • /
    • pp.30-31
    • /
    • 2009
  • 최근 극심한 불황으로 두통이나 편두통이 발생하여 병원을 찾는 사람이 2006년에 비해서 2008년에는 19.5%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편두통은 생활의 불안정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의해 스트레스가 극대화되고, 운동부족과 좋지 않은 자세 습관으로 근육과 혈관이 수축됨으로 인해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면서 유발된다. 증상에 대한 회복을 위해서는 마음가짐을 편안히 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꾸준한 운동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 PDF

직장인의 직무수행능력, 노후준비도, 미래불안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퇴직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ffice Workers' Job Performance Ability, Retirement Readiness, and Future Anxiety on Entrepreneurship Wil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nother Success Expectation on Life after Retirement)

  • 박국근;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167-187
    • /
    • 2020
  • 현재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직장인은 주된 일자리에서 평균 49.5세에 퇴직하며, 국민연금은 현재 62세에서 2034년까지 65세로 늦춰지는 상황에서 직장인의 퇴직 이후 고령화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함. 전국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퇴직이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퇴직이후 삶에 대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퇴직이후 100세까지 지속가능한 직업, 즉 직장생활 속 지혜와 경험을 살린 창업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개인의 태도변화와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직무수행능력인 목표수행능력, 노후준비도인 경제적 준비, 외적관계준비 및 미래불안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수행능력인 신기술활용능력, 노후준비도인 신체적준비, 내적관계준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관계준비와 창업의지, 미래불안감과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 또 다른 성공기대감은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경제적준비와 창업의지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퇴직이후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또 다른 성공기대감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잠재적 창업자인 직장인이 재직하는 동안 초고령화에 따른 정부의 재정적 부담도 줄이고 직원교육을 통한 기업의 성장도 이룰 수 있도록 정부지원의 교육시스템을 회사 내에 도입, 직장인의 인생 3모작을 위한 기업가정신 및 목표수행능력 향상프로그램을 도입, 개인과 기업의 성장 및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해결책이 될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인공 지능의 직업 대체 불안감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Job Anxiety of Replacement by Artifici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Satisfac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Uncertainty)

  • 이태식;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9
    • /
    • 2021
  •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되면서 급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가 인공지능이다. 특히 인공지능은 인간의 삶을 보다 풍요롭고 편하게 만들어 주어 대부분 긍정적인 측면들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의 기술 발전과 같은 변화는 항상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낸다고 볼 수 없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 할 가능성이 높고 이와 관련된 가치들을 대체 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으로 인해 자신의 직업이 대체 된다고 높게 인지하는 근로자일수록 인공지능이 주는 위협이나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따라 초래되는 불안감을 인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직무 불확실성을 더 높게 인지하는 구성원일수록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기 때문에 직무만족이 더 낮아 질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4차 산업시대의 변화에 따른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측면과 달리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성과를 통해 그 역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실무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홈 트레이닝 앱 사용이 언택트 시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ing Home Training App on Quality of Life in the Untact Era)

  • 진추영;이상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55-163
    • /
    • 2022
  • 코로나-19의 전염을 피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실외 활동이 줄어지고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그 결과 신체 활동이 저하되면서 지루함과 불안감 및 면역저하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실내 생활이 장기화하면서 집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홈 트레이닝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생긴 코로나 블루(지루함 및 사회적 불안감)가 홈 트레이닝 앱의 사용을 통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중국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를 사용하여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3개의 적정 자료를 SPSS24.0와 AMOS 24.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홈 트레이닝을 실제 사용한 경험이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언택트 시대에 대한 사용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불안감이 높을수록 홈 트레이닝 앱에 대한 상호작용성과 운동만족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홈 트레이닝 앱은 소비자의 지루하다는 심리를 해소하는 결과를 넘어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인 운동만족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기에,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의 통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트레스

  • 한창수;전현두
    • 건강소식
    • /
    • 제30권10호통권335호
    • /
    • pp.6-11
    • /
    • 2006
  •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불안한 미래와 과다한 업무, 가족 간의 불화, 각종 사회적 위험요소가 팽배한 현실에서 현대인들이 받은 스트레스는 회피할 수도, 저항할 수도 없는 삶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다. 심한 스트레스는 우리의 정신적인 안정을 깨뜨리고 불안감과 긴장감을 유발한다.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을 해치는 주범이 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스트레스가 모두 다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스트레스는 어려움을 극복하게 하고, 목표를 성취하도록 힘을 주며, 동기를 유발시키고 삶의 활력을 불어넣기도 한다. 따라서 건설적일 수도 있고, 파괴적일 수도 있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우리의 건강과 행복을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번 10월호에서는 고디 안산병원 한창수 교수와 한국 심리적성센터 전현두 원장의 도움말로 스트레스에 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서민의 정의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How to define Seomin)

  • 송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04-114
    • /
    • 2015
  • 서민이라는 용어는 언론이나 정치적 논의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서민이 누구인지, 서민을 어떤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는지, 서민과 중산층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 논문은 전국 규모의 설문조사와 2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서민에 대한 정의와 인식을 탐색적인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대다수의 조사응답자들은 스스로를 서민으로 인식하며, 서민을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경제적 소득이라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서민은 고등학교 졸업, 월평균 200~300만원의 수입, 20평 전셋집에 거주하는 영세자영업자나 숙련노동자, 낮은 직급의 화이트칼라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로 정의하였다. 또한 서민은 계층상승의 가능성도 있지만 계층하락의 불안감도 지니는, 빈민과 중산층 사이에 끼어 있으면서 일부는 중첩된 집단으로 인식하였다. 스스로를 서민으로 규정하는 사람들은 중산층을 부러워하거나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폄하하기 보다는 자신의 계층적 지위에 대하여 자긍심을 가지면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민 스스로의 자긍심과 희망이 유지,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서민을 정의하고 서민의 구체적인 특성과 정책욕구를 파악하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감정치유 연구동향 분석 -2005년~2020년 학술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Emotional Healing Research Trends - Focused on academic papers from 2005 to 2020)

  • 박해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23-229
    • /
    • 2021
  •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많은 문제적 상황이 개인감정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고, 이러한 현상이 개인과 사회의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개인과 사회의 불안감을 해결하기 위해 감정치유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된 감정과 관련되는 치유 논문 270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감정치유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치유 논문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적극적인 치유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특정 학회를 통한 독서와 글쓰기 치유가 주를 이루었다. 이론적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정서적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양한 주제로 치유의 방법이 확대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안으로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개인의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확대되어 안정된 미래사회를 구현하는 방안이 제시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