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1.104

An Exploratory Study on How to define Seomin  

Song, Yoo-Jean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Seomin has been used frequently in mass media and political discussion. However, who is Seomin, how to define Seomin, and whether Seomin and middle class are different has been rarely discussed. This study conducted both national level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and explored how to define Seomin and who respondents think as Seomi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consider themselves as Seomin and that monthly incom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define Seomin. Seomin was considered as those who have high school education and 200~300(million won) monthly income, live in a rented house, and work as a small-scale self-employer, skilled laborer, and low level of white collar workers. Also, Seomin is a precarious group which can achieve upward or downward mobility and is located between low and middle class. Those who have Seomin identity tend to have pride in their social status and hope for upward mobility rather than depreciate their social status or envy the middle class. In order for Seomin to be able to achieve upward mobility and to maintain pride in current status, diverse social policies are needed. Further analyses on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policy needs of Seomin are needed.
Keywords
Seomin; Ordinary People; Middle Class; Pride; Definition; Insecu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신욱, 이현주, 박수진, 서민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휴먼뉴딜 협동연구 총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2 이건범, "금융포용과 서민금융정책 개선 방안," 경제와사회, 제96권, pp.141-177, 2012.
3 백종화, "중산 서민층의 시장소득 변화: 시계열 분석," 보건복지포럼, 제11권, pp.5-18, 2003.
4 남찬섭, 김수정, 송유진, 장세훈, 최영준, "서민의 집합적 의미와 시대적 변화에 관한 탐색적 고찰," 비판사회정책, 제39권, pp.44-82, 2013.
5 김승권, 이태진, "한국인의 서민 인식과 친서민정책의 과제," 보건복지 Issue and Focus, 제52권, pp.1-8, 2010.
6 양춘, "한국사회 계층연구 동향과 전망," 한국사회학, 제36권, 제1호, pp.1-21, 2002.
7 신광영, "2000년대 계급/계층 연구의 현황과 과제," 경제와 사회, 제100권, pp.114-137, 2013.
8 구해근, "세계화 시대의 한국 계급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경제와 사회, 제76권, pp.255-289, 2007.
9 장세훈, "서민의 사회학적 해부: 서민, 중산층의 분화인가 분해인가?,"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5.
10 장세훈, "주택 소유의 관점에 입각한 중산층의 재해석," 경제와 사회, 제74권, pp.199-227, 2007.
11 한완상, 권태환,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한국일보사, 1987.
12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13 홍두승, 김병조, "한국의 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 사회통합을 위한 중산층 육성," 기로에 선중산층: 현실진단과 복원의 과제, 한국사회학회편, 2008.
14 박민진, 정우성, "한계중산층 형성요 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6권, 제1호, pp.163-185, 2014.
15 남준우,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규모 및 소득 변화의 추이," 노동정책연구, 제7권, 제4호, pp.1-24, 2007.
16 박소현, 안영민, 정규승, 중산층 측정 및 추이분석: 소득 중심으로, 통계개발원 연구보고서, 2014.
17 최효미, "중산층의 사회계층 소속감에 대한 분석: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한 사례," 노동리뷰, 제46권, pp.73-84, 2008.
18 조동기,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 제29권, 제3호, pp.89-109, 2006.
19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4권, 제4호, pp.126-161, 2010.
20 루비 페인, 계층이동의 사다리, 김우열 옮김, 황금사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