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2-부탄올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4초

담쟁이덩굴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s)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99-4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추출물이 항산화, 항당뇨 및 항염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담쟁이덩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61.5 mg TAE/g과 122.1 mg TAE/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 mg/ml에서 95%와 92%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비타민 C와 유사한 항산화력을 보였다. SOD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 1 mg/ml 농도에서 91%, 97%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산화 활성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열수추출물과 비교할 때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담쟁이덩굴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과 핵산 및 부탄올 분획층에서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항당뇨 약물로 사용된 것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1 mg/ml 농도의 담쟁이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NO 합성이 약 40%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담쟁이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항당뇨, 항염 효과를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천연 항당뇨 기능성 소재로서 담쟁이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느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glutamate 유래 PC12 세포독성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Extracts on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PC 12 Cells)

  • 최원희;오영상;김성란;안지윤;하태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79-483
    • /
    • 2005
  • 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각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과 L-glutamate에 의하여 유도된 PC 12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을 측정하였다. 느릅나무 수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과 근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은 흰쥐 뇌조직에서 $FeSO_{4}-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강한 fir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glutamate에 의하여 PC 12 세포의 생존율이 억제되었고 세포내 ROS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ROS의 증가는 근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획분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따라서 느릅나무 근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획분은 PC 1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도된 세포내 ROS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독성을 보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과 아가리쿠스버벗 (Agaricus blazei Murii) 추출물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Antigenotoxic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s)

  • 지정환;김미남;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13-517
    • /
    • 2000
  • 상황(Phellinus linteus) 및 아가리쿠스(Agaricus blazei Murill) 버섯으로부터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과 이들 용매분획물에 대하여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 실험을 행하여 MNNG에 대한 유전독성 억제효과를 실험 하였다. 상황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MNNG에 의한 소핵생성에 대하여 10.6~75.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분획물의 경우 80mg/kg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케르, 부탄올, 클로로포름 그리고 물층이 각각 81.3,78.1,75.6,72.4 그리고 63.4%의 유전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유전 독성 억제효과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80mg/kg 투여시 86.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디엘티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그리고 물층 분획물의 경우 80mg/kg 투여시 86.2,81.3,78.1,69.9 및 61.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상황버섯과 아가리쿠스버섯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높은 유전독성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서 건강식품으로서의 개발과 고부가가치의 의약품으로서 개발가능성을 가진 대단히 유용한 버섯임을 알 수 있었고, 다음 단계의 실험으로 이러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부분만을 분리, 정제하여 추가적인 검색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알코올-물 혼합용액을 이용하는 Solvothermal 법에 의한 나노크기의 TiO2 제조 (Solvothermal Preparation of Nanocrystalline TiO2 Using Alcohol-water Mixed Solvent)

  • 이상근;박성수;홍성수;박종명;이승호;김대성;이근대
    • 공업화학
    • /
    • 제22권6호
    • /
    • pp.685-6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TiCl_4$ 출발물질 및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이용한 solvothermal 법을 통하여 나노 크기의 $TiO_2$를 제조하였다. 이 때 혼합용액 중의 알코올의 종류 및 그 조성이 생성되는 $TiO_2$ 입자들의 결정상 혹은 응집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생성물들의 물성은 X-선 회절법과 투과 및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부탄올/물의 부피 비가 각각 다른 혼합용매(1-부탄올/물; 100/0, 75/25, 50/50, 25/75, 0/100)를 이용한 solvothermal 법에 있어서 얻어진 루틸상의 $TiO_2$ 입자들의 응집상태는 1-부탄올/물의 비에 따라 변하였으며, 1-부탄올/물의 75/25 부피 비에서 잘 분산된 $TiO_2$ 나노 입자가 얻어졌다. 알코올과 물의 비를 75/25로 고정시킨 혼합 용매를 이용한 solvothermal 법에 있어서 알코올의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TiO_2$ 입자들의 결정상이 변함을 확인하였다. 즉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아나타제상의 입자가 얻어지며 1-부탄올 혼합용액을 사용하면 루틸상의 $TiO_2$ 입자가 생성되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출발물질로는 $TiCl_4$를 그리고 반응용매로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이용하며 더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solvothermal 법에 있어서는, 단순히 혼합용액의 조성 또는 알코올의 종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생성되는 $TiO_2$ 입자들의 분산성 향상 및 결정상 조절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카오(Theobroma cacao L.)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olvent Fraction from Theobroma cacao L. Extract)

  • 김영선;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30-1338
    • /
    • 2012
  • 본 연구는 카카오를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아세톤 추출물을 이용하여 클로로포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의 극성별로 분획을 실시하였다. 카카오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100 ${\mu}g/ml$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76.2%, 부탄올 분획물이 53.9%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이 50 ${\mu}g/ml$에서 각각 76.09%, 51.4%의 소거능이 나타났고, $Fe^{2+}$, $Cu^{2+}$의 첨가에 따른 지방산패 억제능에서 $Fe^{2+}$를 첨가한 군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mu}g/ml$에서 64%로 $Cu^{2+}$를 첨가한 군보다 저해능이 높았다. 항염증 효과 측정으로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 100 ${\mu}g/ml$에서 53.04%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lipoxyge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10 ${\mu}g/ml$에서 51.3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카카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NO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식세포 내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mu}g/ml$ 농도에서 iNOS, COX-2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였다.

Cetylpyridinium Chloride와 Triton X-100의 혼합 미셀화에 미치는 염 및 부탄올 이성질체들의 효과 (Effect of Salts and Isomeric Butanols on the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Cetylpyridinium Chloride with Triton X-100)

  • 정종재;이상학;김영철;이병환
    • 공업화학
    • /
    • 제9권7호
    • /
    • pp.968-973
    • /
    • 1998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etylpyridinium chloride(CPC)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TX-100)의 혼합계면활성제에 염(KCl과 $Na_2CO_3$)과 부탄올 이성질체(tert-부탄올, iso-부탄올과 n-부탄올)를 첨가하였을 때 변화되는 임계미셀농도값($CMC^*$)을 UV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CMC^*$값들로부터 여러 가지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유사상태분리모델(pseudo-phase separation model)을 이용한 식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값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염 및 부탄올 이성질체들을 첨가하였을 때 CPC/TX-100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는 순수 물에서의 경우보다 열역학적 함수값($X_1$, $\beta$, ${\gamma}i$, $ai^M$, $C_i$${\Delta}H_{mix}$)들이 큰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모두 비이상적 혼합미셀모델에 잘 일치하였으며 이상적 혼합미셀모델과는 음방향으로 크게 벗어남을 보였다.

  • PDF

술폰화된 polysulfone 비대칭막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물-부탄올 수용액의 탈수거동 (Dehydration Behavior of Water-butanol Solutions through Asymmetric Sulfonated Po.ysulfone Membrane)

  • 변인섭;백귀찬;차시환;권창오;서종원;김용욱
    • 멤브레인
    • /
    • 제9권3호
    • /
    • pp.170-177
    • /
    • 1999
  • Polysulfone을 술폰화하여 물-부탄올 용액의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용 비대칭막을 제조하였다. 술론화제로는 chlorosulfoneic acid-trimethyulchlorosilane을 반응시킨 후 이용하였다. FT-IR과 $^1H$-NMR을 이용하여 치환여부를 살펴보았고 술폰화정도는 역적정법과 $^1H$H-NMR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DSC와 TGA를 이용하여 열적특성변화를 알아보았다. 비대칭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N-methyl-2-pyrrolidone(NMP)rhkdiethyleneglycol dimethyl ether (DGD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단면과 skinlayer 의 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한 연구에서 제조한 비대칭막은 dense film에 비하여 물에 대한 선택도는 거의 변화가 없고 투과유량은 약 80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미셀화에 미치는 n-Butanol의 효과 (Effect of n-Butanol on the Mixed Micellar Properties of Sodium Dodecylsulfate(SDS) with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17
    • /
    • 1997
  • 순수 물 및 n-부탄올 수용액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계면활성제가 나타나는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들의 결합상수값(B)을 25℃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CMC* 및 B값들의 α1(SDS의 전체 몰분율조성)에 따른 변화로부터 비이상적 혼합 미셀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여러가지 열역학적 함수값들(Xi, γi, Ci, aiM, β, ΔHmix 및 ΔGm0)을 계산하였으며, 또한 SDS/DBS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미치는 n-부탄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부탄올의 농도(0.1 M, 0.2 M 및 0.3 M)에 따른 이들 열역학함수값들의 변화를 측정하여 순수 물에서의 값들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분석하였다.

  • PDF

두 종류의 특정상호작용을 갖는 이성분 용액의 부분 혼합도 (Partial Miscibilities in Binary Solutions with Two Kinds of Specific Interactions)

  • 정해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11-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이성분 격자 용액에서 용매-용질, 용질-용질 분자 사이에 특정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새로운 혼합자유에너지식을 유도하였다. 특정상호작용이 일어날 확률은 이항분포를 만족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혼합자유에너지식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부분혼합도에 대한 유형을 조사하였고 Ω-모양의 온도-조성 상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물-2-부탄올에 대한 Ω-모양의 온도-조성 상도를 계산하여 Hino등 5의 방법에 의한 계산값, 실험값과 비교하여 보았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eok Hasuo (Polygonum multiflorum Thunb.) and Baek Hasuo (Cynanchi wilfordii Radix) root extracts)

  • 최현경;장유이;오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32-437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각 하수오의 열수, 에탄올, 부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후, 항산화능에 대해서는 총 페놀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및 생육저해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부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은 각각 1,212.6 및 1,454.5 mg/g GAE로 다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89.0%), 부탄올 추출물(88.9%)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IC 측정 결과, 적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만이 0.8 mg/mL로 S. aureus와 P. acne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디스크 확산법 측정 결과, 모든 유기용매 추출물이 5 mg/disc 농도부터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육저해환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의 조사균주에 대한 생육저해완의 직경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8.9 및 9.2 mm를 나타내, 추출물 중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하수오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과 관련된 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여줌으로써, 하수오 추출물이 피부 건강을 위한 천연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