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 유산 산업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Role for the Culture-Creative Industries (문화창의산업에서 문화유산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 Jang, Ho-s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2
    • /
    • pp.82-95
    • /
    • 2015
  • Cultural heritage contains traditional values and we have to conserve its intrinsic value. But in the other hands it is argued that it's no need to preserve heritage for its own sake, and nowadays we appreciate that active use of heritage is enhancing its value and making position secure in its society. It will need not only to protect heritage, but also to ensure its use, and its economic value are harnessed to the benefit of local communities. We are going to enter upon experience economy through information society and to have a creative economy policy discourse. The effects of globalisation on societies are manifested in the attrition of their values, identities of vernacular heritage. Therefor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heritage must be examined. In this article I suggest the methodologies of vitalizing cultural heritage based creative industries, especially through making the creative ecosystem and optimising the performance of the cultural heritage based cluster.

The proposal for improvement of cultural heritage industry (문화유산산업의 발전에 대한 제언)

  • Kim, Sea Wo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99-104
    • /
    • 2018
  • This research focus on suggesting productive proposal for Culture heritage industry improvement plan. we survey various other countries' policy for culture heritage industr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collect ideas from other countries' cases then expand and adapt to our country's industry. Detailed proposal for Cultural heritage is suggested, Such as, young Cultural helper to increase the 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Three factors are stated, first cultural man power creation, digitalizing cultural asset data, and cultural asset story making.

Design of a mobile AR-based history exploration game for improving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tour - Focused on Buyeo (문화유산 관광 경험 향상을 위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역사탐방 게임 플랫폼 설계 - 부여를 중심으로)

  • Kwon, Oh-Ya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79-380
    • /
    • 2019
  • 문화유산이 많은 지역의 경우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가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관광객 유도를 위해 문화유산을 활용한 체험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관광 경험을 향상할 필요가 있어 모바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역사탐방 게임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고대 백제의 왕도였던 부여를 배경으로 증강현실로 구현된 역사 속 인물과 만나며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의 게임 플랫폼으로, 관광객에게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여 문화유산의 가치 재발견과 지역관광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of Hotel Industry in Modern Cultural Heritage (근대문화유산의 호텔산업 활용방안 연구)

  • Shim, Ho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3-294
    • /
    • 2019
  • 본 연구는 근대호텔에 대한 지금까지의 문헌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립하고, 전문가의견조사와 관광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근대호텔의 관광산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첫째, 근대문화유산과 근대호텔사에 대한 기본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근대호텔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통해 한국호텔산업발전과 관광산업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자체의 호텔산업과 관광산업발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the System Framework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4D Recording Methods based on Gyro Sensor (Focusing on Sewing Hand Movement) (자이로센서 기반 무형문화유산 4D 기록 방법 시스템 프레임워크 설계(바느질 손동작 중심으로))

  • Kim, Ki-Ho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15-417
    • /
    • 2020
  • 무형문화유산의 전수 방식은 장인과 이수자의 직접적인 교육으로만 이루어져 왔으며 또한 전수는 긴 시간 동안 이루어지고 전수 방식을 따로 기록하는 경우가 드물며 동작이나 구전으로만 전해지기 때문에 표준화된 전수는 이루어질 수 없었다. 현재 국제 유네스코와 국내문화재청에서는 유무형문화재에 대한 전수와 기록의 중요성을 알고 다양한 디지털 기록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무형유산 기록화 기술은 보유자의 기 예능 장인 공법을 기록하는 부분으로 영상기록 및 사진기록 도서 음원 등 아직까지 기존 아날로그 기술 방법으로 기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5G 상용화와 함께 디지털 4차 산업 혁명시대와 발맞춰 무형유산 정보관리 기관에서도 무형유산 ICT 기반 기술 지원을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숙련도 높은 기술공법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무형문화재 장인들의 기술 중에서 손을 사용하는 바느질 중심으로 자이로센서 기반으로 정확한 손동작 정보를 획득하고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 및 연구개발을 통하여 ICT 기반 장인 공법 4D 기록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기술로 무형문화유산의 새로운 4D 기록 방법으로 정확하게 기록하고 보존하여 무형문화유산 전승과 교육을 할 수 있고 문화유산의 유형에 맞는 교육·산업·홍보 등 다양한 사용 목적에 맞는 형태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A Proposal of VST-HMD based XR Experience Framework for Immersive Cultural Heritage Site Education (몰입형 문화유산 현장 교육을 위한 VST-HMD 기반 XR 체험 프레임워크 제안)

  • Kwon, Oh-Ya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의 몰입형 교육을 위한 VST(Video See-through) 방식의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XR(eXtended Reality)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문화유산 현장의 경우 실물이 남아있지 않아 교육 및 체험 측면에서 흥미로운 정보 전달이 어렵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인 확산에 따라 이를 이용해 문화유산 현장에 소실된 문화유산을 AR(Augmented Reality)로 복원 및 시각화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OST(Optical See-through) 방식의 안경형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례들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몰입감과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였으며, 단순히 소실된 문화유산의 복원된 모습을 정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에 그쳐 문화유산 현장에 내재된 동적인 역사 스토리를 재현한다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 VST-HMD를 이용하여 AR 기반의 정적 문화유산 시각화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동적 역사 스토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XR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만족스러운 문화유산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 PDF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Augmenting Information of Relics on Cultural Products (문화상품을 활용한 유물 정보 증강현실 프레임워크 개발)

  • Kim, Ki-Hong;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3-365
    • /
    • 2019
  •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문화유산과 최첨단 ICT 기술을 이용한 연구로 문화유물에 대한 대상으로 제작된 문화상품을 증강현실 기술로 유물의 가치와 우수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맞춤형 기반 유물의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문화상품을 마커로 인식하는 마커리스 기술로 정보를 인식하여 장소와 상관없이 문화유물의 특성을 알리고 효과적으로 널리 알리는 기술적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증강현실 기술로 문화유물에 대한 가치를 전파하고 문화유산의 유형에 따른 콘텐츠의 특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교육용 산업용 홍보용 등 다양한 사용 목적에 맞게 대중화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Continuous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pplications via Gamification - Focused on Korean Ceramic History (Gamification을 통한 지속적인 문화재 교육 앱 디자인 - 한국 도자사를 중심으로)

  • Ham, Chorom;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9-411
    • /
    • 2020
  • 4차 산업 시대의 흐름에 따라 디지털 문화유산 컨텐츠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재의 위치와 해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문화재 사진을 보고 이름을 맞추며 간략한 정보를 얻는 등 학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작되고 있으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지속적 교육 컨텐츠의 개발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흥미를 동반하여 학습을 이어가기 위해 수집형 롤플레잉 게임 시스템을 응용하고 이를 크게 네 가지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속적 교육 컨텐츠 개발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PDF

Visual SLA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opography and Architectural Heritage Model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 활용 Visual-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 Yoo, Eunji;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1-4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 사용되는 전시 매체 중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을 활용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활용을 제안한다. 현재 박물관에서 다양한 디지털 전시가 도입되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도입된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의 ICT 기술 활용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여 3D 객체를 증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문화유산 모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작을 제안함으로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기존 모형의 활용도 및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인터랙션 설정으로 추가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Authenticity in the Digital Content of Built Heritage with HBIM (건축유산정보모델(HBIM)을 활용한 건축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의 진정성 표현 연구)

  • Kim, Bo-Ram;Lee, J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276-287
    • /
    • 2022
  • Since the 1990s,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of heritage, and this presents a new possibility of using cultural heritage as a way to utilize the original cultural data that was previously recorded and stored. Methods of interpreting cultural heritage have been particularly diversified due to various external circumstances such as COVID-19 and time constraints, and the use of contactless digital conten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uilt heritage that cannot be move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echnology is considered as a way to properly express the authenticity of built heritage, but simply creating built heritage content with BIM cannot express the authenticity of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ow the reliability of the process of content production through an authorized institution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members on the content.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digital heritage by suggesting ways to improve reliability and express authenticity in the production of built heritag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