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 교육

검색결과 5,028건 처리시간 0.039초

유년기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문화예술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hildren's experience with culture and arts education on their adult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 구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44-546
    • /
    • 2011
  • 본 연구는 유년기에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이 성인이 된 후 문화예술참여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어린 시절 문화예술(미술, 음악, 연극 등의 예술교육, 공연관람 및 참여 등)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현재 문화예술 활동(예술관련 취미활동, 관람, 학습활동 등)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예술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현재와 미래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어린 시절부터 문화예술 관련 활동이나 교육을 받았던 경험이 현재에도 문화예술 취미활동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현재의 삶의 질과 미래의 삶의 질 모두에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 PDF

한국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교육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art & culture education using short animations of Korea)

  • 김재웅;고민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15-29
    • /
    • 2010
  • 문화예술교육은 전 국민의 문화예술향유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서, 지금까지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그 범위가 확산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로 학교수업을 통해 진행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표면적이고 기능적인 교육에 그치는 등 수업 내용과 방식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고 학교 안에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양적인 성장에 더하여 질적 심화의 측면을 고려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 이 논문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와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한국단편애니메이션을 활용해서 기존 교과와 문화예술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문화예술통합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단편애니메이션은 감독 개개인의 세계관과 개성, 개인의 삶과 사회적 관계 및 역사적 성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독창적인 미학으로 표현해내고 있어, 풍부한 미적 경험과 더불어 주제중심통합교육을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오늘이>(2003)는 제주도의 원천강 본풀이라는 신화적 소재와 민화라는 전통적 소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국어(언어지능)와 도덕(대인/자성지능)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자신의 생각을 글, 만화, 그림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언어지능과 공간지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통합교육 모델을 통해 개별교과 로 이루어지는 분과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여 정규 교과의 경계를 확장해서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한다.

  • PDF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Homes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전미경;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6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과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99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과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및 교사연수 유무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없는 교사가 약간 많았다. 대학교 재학시절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은 드물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인종의 존중, 다문화의 안정, 다문화에 대한 신념, 다문화 지식 수용 태도는 매우 긍정적안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감과 관심, 그들과의 소통에서는 유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위해 상호 이해와 배려를 강조해야 한다는 배려중심 관점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 강조 관점, 사회적 행동 강조 관정, 동화주의 관점 순이었다. 넷째,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가정과 교사는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정교과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는 배려 중심 관점을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은 모든 교과의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교과에서 실시된다면 기술가정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여겼다.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의 다문화가족애 대한 이해와 인식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활용 자료는 시청각 자료, 연수 방법으로는 교사 직무 연수와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를 선호하였다.

  • PDF

몰입형 문화유산 현장 교육을 위한 VST-HMD 기반 XR 체험 프레임워크 제안 (A Proposal of VST-HMD based XR Experience Framework for Immersive Cultural Heritage Site Education)

  • 권오양;유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의 몰입형 교육을 위한 VST(Video See-through) 방식의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XR(eXtended Reality)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문화유산 현장의 경우 실물이 남아있지 않아 교육 및 체험 측면에서 흥미로운 정보 전달이 어렵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인 확산에 따라 이를 이용해 문화유산 현장에 소실된 문화유산을 AR(Augmented Reality)로 복원 및 시각화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OST(Optical See-through) 방식의 안경형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례들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몰입감과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였으며, 단순히 소실된 문화유산의 복원된 모습을 정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에 그쳐 문화유산 현장에 내재된 동적인 역사 스토리를 재현한다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 VST-HMD를 이용하여 AR 기반의 정적 문화유산 시각화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동적 역사 스토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XR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만족스러운 문화유산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 PDF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The Value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eachers and its Development Plan)

  • 권영임;차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01-617
    • /
    • 2015
  •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위한 연구의 기초적 도움이 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강사풀 제도에서 현재 문화예술교육사로 발전해 온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연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선행연구 및 자료를 중심으로 경제적 사회적 교육적 가치, 현황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교육과정 및 연수교육의 발전방안, 자격 취득 및 취업관련 발전방안, 현장에서의 발전 방안, 근로조건 및 강사 처우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Regional Development)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9-360
    • /
    • 2004
  • 일반적으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고, 지역간 교육 및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 그리고 지역 문화컨텐츠의 중심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들을 확대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산하의 전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문화 및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관련 프로그램들을 조사$\cdot$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AI교육을 위한 초등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K-12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I Edcuation)

  • 신수범;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49-455
    • /
    • 2022
  • 디지털 문화 영역은 인공지능교육의 분야 중 인공지능 소양 영역의 한 분야로서 정보윤리와도 일부 겹치는 부분으로서, 이 연구는 인공지능교육의 세부 영역인 초등 중심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먼저 디지털 문화 분야의 선도적인 해외 사례로서 미국의 K12CS 프레임워크와 영국의 컴퓨팅 교육과정의 해당 영역 핵심 내용인 안전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국내 교육환경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디지털 기반 콘텐츠, 소통법, 저작권, 직업 탐구의 4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 학교급에 맞추어 교육목표를 진술하였으며 그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인공지능 전공 현장교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1학년 단계의 세부 목표의 일부를 제외하고 설정한 내용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초등 1학년의 세부 목표를 수정·보완해서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 양혜지;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8
  • 한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정보교육을 통한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을 강조하였다. 정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윤리 지식을 축적하여 윤리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정보문화소양을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문화소양을 육성할 수 있는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영국, 인도, 일본, 호주, 독일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문화소양이라는 용어는 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었다. 둘째, 각국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내용 요소는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저작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보사회와 진로, 인도의 부상 피하기, 독일의 건강 보호, 환경 보호는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에만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정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문화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 요소 구성 개선에 방향성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모델 개발연구 : 수학교육 현장 상황분석 기반 예비모델 탐색 (Development Research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Model: Exploring Preliminary Model Based on Situational Analysis)

  • 송륜진;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27-251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이 다문화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문화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모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 '실태'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국내외 다양한 문헌 고찰 및 상황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다문화 수학교사교육 원리'를 도출하고, '목표'를 선정한 이후 그에 따르는 '교육내용과 방법'을 조직하여 우리나라 교육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예비모델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사례를 구성하여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교육 현장의 상황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모델은 어떤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한 이후 모델 개발연구의 완성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