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Yang, HyeJi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학과)
Kim, JaMee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Lee, WonGyu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1, no.1, 2018 , pp. 1-1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orea shifted the focus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nd emphasized train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hrough informatics education. The informatics education curriculum included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as a core competence so that the learners can gain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based information ethics and make ethical judgment and practice ethics.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the informatics curriculums of the US, the UK, India, Japan, Australia and German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elements that can foster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term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was included only in the infor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Second, the elements common to all countries ar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formation security and copyright. Third, Korea's information society and career, India's avoidance of injuries, Germany's protection of health and environment were found only in the curriculums of respective countr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the orientation of improving the elements for fostering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Keywords
Informatics curriculum;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formation ethics; Information protection competency;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K-12 Computer Science - Framework Steering Committee(2016).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2 Luciano Floridi(2002). Information ehtic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mputer ethics.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1), 37-56.
3 DfE.(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frame work for key stage 1 to 4, (www.education.gov.uk)
4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Mumbai(2013). CMC: A Model Computer Science Curriculum for K-12 Schools.
5 김자미, 이원규(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 교육과정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59-69.
6 김자미,이원규(2017).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1-14.
7 文部科學省(2016). 次期學習指導要領等に向けたこれまでの審議のまとめ補足資料, 文部科學省.
8 문부과학성(2011). 신 학습지도 요령. 살아가는 힘. 출처:http://www.mext.go.jp/a_menu/shotou/new-cs/index.htm
9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교육과학기술부.
10 acara(autralian currculum, assesement and reporting authr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y learning continuum.
11 https://www.schulentwicklung.nrw.de/lehrplaene/lehrplannavigator-s-ii/gymnasiale-oberstufe/informatik/informatik-klp/kompetenzen/index.html
12 류지민, 김길모, 조성환, 김성식(2010).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수업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14(3), 329-339.
13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의 부칙개정). 교육부
14 소경희(2013).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모델의 가능성 탐색 : 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3(3), 153-175.
15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0. 교육부.
16 김자미, 이원규(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3-63.
17 양혜지, 김자미(2016).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23-34.
18 양혜지, 김자미(2016).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에서 정보윤리에 대한 출제 경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19 손연기(1997). 정보문화지수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36(-), 183-208.
20 장우권(2004). 정보문화 창조과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295-314.
21 송희준(2010). 정보문화가 민주적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 역할.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1), 25-48.
22 고영민(2011). 10대 청소년의 인터넷.휴대폰 중독 관점에서의 정보문화지수에 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3), 13-23.
23 배예선, 전우천(2016). 학력과 정보문화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7(4), 127-133.
24 고영민(2010). 중등학생들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문화지수에 관한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동계학술발표 논문지, 14(1), 73-77.
25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0. 교육인적자원부.
26 김상연(2010). 중등 교과수업에 적용 가능한 정보문화교육 모델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 논문지, 14(1), 19-22.
27 김문조(2010). 한국 정보문화의 특성과 현황. 사회와 이론, 16(-), 117-144.
28 ACM IEEE-CS(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US: ACM IEEE Computer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