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커뮤니케이션

Search Result 48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바이링걸의 재일 코리안 인지증 고령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개인 회상법에 의한 양국 언어의 회화 분석을 통해-

  • Kim, Chun-Nam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4a
    • /
    • pp.422-425
    • /
    • 2008
  • 바이링걸의 인지증고령자와의 보다 유효한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의 검토를 목적으로, 이문화를 배려한 모국어에 의한 개인 회상법을 이용한 회화를 실시했다. 회화는, 재일 코리안의 문화를 배려한 특별 양호 노인홈에 입주중이며 중도의 인지증 바이링걸 고령자 4명(모두 여성, 평균 88세)의 협력하에 실시했다. 모국어와 일본어의 장면에서, 개인 회상법에 의한 회화 내용과 감정 표출에 차이가 발생하는가의 관점에서 양 회화장면의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중증의 인지증고령자라고해도 바이링걸의 특징인 자연스러운 코드 스위칭(Code-Switching;CS)가 관찰되었다. 즉, 과거의 학습이나 경험에 의해 축적된 모국의 언어 형식을 사용하는 기능이 잔존 능력으로서 잠재하고있는 것이 밝혀졌다. 덧붙여 ERiC 감정 반응 평가 척도를 이용해 관찰한 결과, 일본어의 장면보다 모국어의 장면에 대해 긍정적 감정의 풍부함이 관찰되었다. 이상으로, 바이링걸의 재일 코리안 인지증고령자 1세와 모국어를 이용한 회상법에 의한 회화는, 바이링걸의 특징을 기초로한 하나의 유효한 어프로치라고 생각된다.

  • PDF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Disease Prevalence of Multi-cultural Family (성별에 따른 다문화 가족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및 질병이환)

  • Kim, Eungyeong;Wee, Hwee
    • Health Communication
    • /
    • v.13 no.2
    • /
    • pp.103-108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disease prevalence of multi-cultural family in order to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of them. Methods: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KCHS) which was performed in 2015. Among them, 3,045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Chi-squar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According to gender,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were different in health status. High risk drinking, hypertension, dyslipidemia, arthritis, and obesity prevalence rate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significantly(p<.001).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 health care program to improve health and welfare of multi-cultural families.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Metaverse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연구)

  • Lee, Dong-H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57-58
    • /
    • 2022
  •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이다. 메타버스는 기본적으로 가상의 세계이다. 그러나 향후 현실과 메타버스가 공존한 세상에서 태어나 성장할 아이들에겐 메타버스 자체가 현실의 일부이고 메타버스를 통한 소통과 사회활동이 일상이 될 것이다. 메타버스 안에서 학습, 놀이, 휴식, 경제활동 등 일상의 모든 현실과 연속성을 띠고 소통하면서 가상세계의 나와 현실의 내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세상이 될 것이다. 이 기술들을 인간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인간에 대한 많은 고민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Time and Acculturation Str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유학생의 SNS 이용시간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Meijun Ding;Inyong Na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201-208
    • /
    • 2023
  • This study is a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time and acculturation stress for Chines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12, 2022 on 239 Chinese students from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using Wenjuanxing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Baron and Kenn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6.0,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SNS us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e acculturation stres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NS use tim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SNS us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time and acculturation stress.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SNS can be used to develop the projec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enhance their cultural adaptative ability and thus alleviate the acculturation stress. This study can serve as the foundational and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follow-up study of SNS and acculturation stress.

Analysis of Visual Culture Contents -Focusing on the Analytic Methodology for Visual Fun (시각 문화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시각적 재미의 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 Park, Young-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170-181
    • /
    • 2012
  • The study on the analytical and productive methodolgy of visual culture contents is meaningful because cultural contents are regarded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The fundamental notion of cultural cont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notion of visual culture, and important factors of the fun are analyzed as a creative motive of visual culture contents. So this paper provides anaytical methodologies for the fun in visual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semiotic theories of Charles Morris, Roland Barthes and Roman Jakobson. These analytical matrix can be references for the study of the mechanism of fun and the basic theory for using fun effects in the visual culture contents.

The Korean Wave in Southeast Asia: The Case of Singapore (동남아시아의 한류: 싱가포르의 경우를 중심으로)

  • SHIM, Doob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3 no.1
    • /
    • pp.277-311
    • /
    • 2013
  • 한류에 대한 기존 언론보도 및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중국 일본 및 서구에서의 한류 현상에 대한 편중된 관심과 한류 분석틀로서 문화근접성 이론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류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과 경험적인 분석을 방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한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특히 싱가포르의 한류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다각화된 한류 연구를 모색한다.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문화적으로 동북아시아적 요소를 포괄하고 있는 싱가포르는 아시아 내 초국적 대중문화 교통을 연구하는 데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공간이다. 본 논문은 싱가포르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자들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류 형성의 이유 및 한류 팬덤이라는 문화적 실천이 갖는 의미를 탐구한다. 수용자에 대한 분석은 그가 배치된 싱가포르 미디어 구조에 대한 역사적, 기술적, 정치경제적 맥락화를 통해 보다 체계화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고 있는 "외래문화 수용의 진부화"(banalization of foreign cultural reception)라는 상황이 동남아시아 내 한류 전개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으며, 동남아시아 미디어산업의 저개발 상황이 한국 대중문화 수용에 우호적 조건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동아시아 내 문화교통의 연속성 (continuum of cultural traffic within East Asia) 안에 한류 연구를 배치할 것을 제시한다.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Product Opinion Leaders' Communication Activity on Facebook (페이스북에서 상품의견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비교문화연구)

  • Cho, Seung Ho;Cho, Sang-H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67-76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pinion leaders' communication activities on Facebook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Facebook between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As a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two different universities in US. Additionally, we utilized online survey data previously collected from Korean students. According to our analysis, we found that US male students had more active opinion leadership than Korean male students. Also, opinion leadership of Korean stud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active and passive communication patterns on Facebook whereas opinion leadership of US stud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ssive communication patterns.

Digital Animation As a New Medium Taking a View of Bolz Media Theory (미디어미학에서 바라 본 뉴미디어로써 디지털 애니메이션 - 노르베르트 볼츠의 매체미학을 중심으로 -)

  • 이종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225-232
    • /
    • 2003
  • A German philosopher, Herbert Bolz predicted that the human way of thinking would be fundamentally and completely changed because of digital media and the 'Gutenberg-Galaxis', named by M.McLuhan which was symbolized of modern reason was doomed to be over. He thought that the limit of reason-centered European culture would be overcome by the up-to-date multimedia to revive the communication life. On this theory, he emphasized the emotional perception, 'aisthesis' which is original meaning of aesthetics. That is to say, he insisted on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media to enable the five senses' amusement condition mentioned by Kant. This thesis asserts that the representative hypermedia digital animation may play a key role to rehabilitate human sensibility pressed by reason centered modernism. Digital animation has the unique worth of Art that is firstly to deal with time and space and enable unlimited expressions and can communicate effectively as a characteristic synthetic medium which consists of intensive computer techniques. Based on the background, this thesis analyzes the possibility of the digital animation as a new medium.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relations to the hypermedia theory of Norbert Bolz who is a media analyst and professor of a design college.

  • PDF

(<한국어 립씽크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연구>)

  • Shin, Dong-Sun;Chung, Jin-O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62-369
    • /
    • 2006
  • 3 차원 그래픽스에 적용하는 한국어 립씽크 합성 체계를 연구하여, 말소리에 대응하는 자연스러운 립씽크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디자인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였다. 페이셜애니메이션은 크게 나누어 감정 표현, 즉 표정의 애니메이션과 대화 시 입술 모양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는 대화 애니메이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정 애니메이션의 경우 약간의 문화적 차이를 제외한다면 거의 세계 공통의 보편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지는 반면 대화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언어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영어권 및 일본어 권에서 제안되는 음성에 따른 립싱크 합성방법을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하면 청각 정보와 시각 정보의 부조화로 인해 지각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기된 텍스트를 한국어 발음열로 변환, HMM 알고리듬을 이용한 입력 음성의 시분할, 한국어 음소에 따른 얼굴특징점의 3 차원 움직임을 정의하는 과정을 거쳐 텍스트와 음성를 통해 3 차원 대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한국어 립싱크합성 시스템을 개발 실제 캐릭터 디자인과정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즉시 적용이 가능한 3 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아바타를 활용한 동적 인터페이스의 요소기술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선행연구이기도 하다. 즉 3 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활용하는 영상디자인 분야와 HCI 에 적용할 수 있는 양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은 언어적 대화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적 표정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즉 페이셜애니메이션의 적용은 보다 인간적인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양상을 지니고 있다. 결국 인간적인 상호작용성이 강조되고, 보다 편한 인간적 대화 방식의 휴먼 인터페이스로 그 미래적 양상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 아바타를 활용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가상현실 분야에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Visual communication by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이 재현하는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

  • Nah, So-Mi;Lee, Young-J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507-512
    • /
    • 2016
  • As the characteristics, attributes, and accepted way of media have been changing with newly emerging media, human recognition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have also been changing. Media are not isolated from the others and emerge in the cultural context; With the drive to juxtapose the old and the new to be in diversified forms, the old media are utilized and improved. In this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 by the media, we attempt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communication and the media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does not create something out of nothing but renew the expression; Thus, it reforms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ce to look into theories of W.Benjamin, M.McLuhan, Norbert Bolz, and Jean Baudrillard who linked the past to the present in accordance with the new era of communication for us to find out the meaning of augmented reality in the current cultura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