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6.170

Analysis of Visual Culture Contents -Focusing on the Analytic Methodology for Visual Fun  

Park, Young-Won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study on the analytical and productive methodolgy of visual culture contents is meaningful because cultural contents are regarded as a national growth industry. The fundamental notion of cultural contents is researched based on the notion of visual culture, and important factors of the fun are analyzed as a creative motive of visual culture contents. So this paper provides anaytical methodologies for the fun in visual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semiotic theories of Charles Morris, Roland Barthes and Roman Jakobson. These analytical matrix can be references for the study of the mechanism of fun and the basic theory for using fun effects in the visual culture contents.
Keywords
Fun; Visual Culture Contents; Semiotics; Charles Morris; Roland Barthes; Roman Jakobs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조관연,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문화콘텐츠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2 박영원, 시각적 유머의 생산과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87-95, 2001.
3 조관연,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문화콘텐츠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문화콘텐츠 입문, 북코리아, 2006., pp.310-312.
4 박영원, 광고디자인기호학, 범우사, pp.185-186, 2006.
5 J. R. Cashill, "Packaging Pop Mythology," in New Languages, ed. T.H. Ohlgren and L.M. Berk (New Jersey: Prentice-Hall, 1977), p.79. (재인용, 정성호, 광고메시지 분석을 위한 기호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광고홍보연구소, 광고홍보연구 제3호, p.53. 1996. )
6 R. Barthes, Mythologies, London: Granada, p.109, 1981.
7 J. Fiske,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ondon: Methuen, 1982.
8 Umberto Eco, "The Influence of Roman Jakobson on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in D. Amstrong and C. H. Van Schooneveld(eds.), Roman Jakobson(Lisse: The Peter de Ridder Press, 1977), p.45.
9 R. Jakobson, "Linguistics and Poetics," in Krystyna Pomorska and Stephen Rudy(eds.), Roman Jakobson: Language and Literature(Cambridg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pp.62-94, (박정순, op.cit., p.83에서 재인용.)
10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18, 2008.
11 Izard, E. Carroll, The Psychology of Emotion, New York: Plenum Press. (재인용, 이재록․구혜경, "재미(Fun) 광고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3호, p.223, 2007.)
12 고동우, "여가 경험의 변화 과정: 재미진화모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p.466, 2002.
13 J. F. Herbart, General theory of pedagogy, derived from the purpose of education. In J. F. Herbart(Ed.), Writing on education, 2, pp.9-155. 참조
14 J. Dewey,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NY: Houghton Mifflin Company참조
15 M. Csikszentmihalyi,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Y: Harper Collins, 1996.
16 윤홍미, 안신호, 이승혜, "우리를 즐겁게 하는 것들: 재미 유발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96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심리학회, p.492. 1996.
17 D. E. Berlyne, "Novelty and curiosity as determinants of exploratory behaviorm,"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41, 1950, pp.68-80. 재인용, ibid., p.495.
18 D. E. Berlyne, "Novelty and curiosity as determinants of exploratory behaviorm,"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41, 1950, pp.68-80. 재인용, ibid., p.494.
19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19, 2008.
20 조은예, 최인수,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p.120, 2008.
21 김은영, "감정동사 유의어의 의미연구-즐겁다, 무섭다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Vol.14, pp.121-147, 2004.
22 엄묘섭, "시각문화의 발전과 루키즘", 문화와 사회 통권 5권, p.76-77, 2008,
23 W. Kintsch, "Learning from Text Levels of Comprehension, or: Why Would Read a Story Anyway," Poetics, Vol.9, No.1, 1980, pp.7-98. 재인용, 이재록, 구혜경, op.cit., p.224.
24 W. Kintsch, "Learning from Text Levels of Comprehension, or: Why Would Read a Story Anyway," Poetics, Vol.9, No.1, 1980, pp.7-98. 재인용, 이재록, 구혜경, op.cit., p.225.
25 Bryson, H. Norman, A. Michael, and K. Moxey, Visual Culture: Image and Interpretations, Hanover and London: Wesleyan University Press. 1994. (엄묘섭, "시각문화의 발전과 루키 즘", 문화와 사회 통권 5권, p.76, 2008, 재인용.)
26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76.
27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87.
28 최수영, "시각문화 속 미적 체험에 관한 매체적 고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Vol.23, p.279.
29 정창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북코리아, p.17, 2009.
30 김기덕, 신광철, "문화․콘텐츠․인문학", 문화콘텐츠 입문, 인문콘텐츠 학회, 북코리아, p.24, 2006.
31 정창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북코리아, p.24, 2009.
32 한글학회, 우리말 큰 사전, 1991.
33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