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공간

검색결과 2,396건 처리시간 0.036초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 활성화 방안 (Study of the Reactivation for Art & Culture Content Space Centering to Local Area, Yeongwol)

  • 박기복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163-173
    • /
    • 2009
  • 강원도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여야 하며 이는 대내외적 변화에 상응하는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말한다. 기존의 천혜의 환경적 속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략과 더불어 지속 가능 모델로 자리매김을 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작금의 경제적 불황과 기후 변화의 영향은 성공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서 더 이상의 선택적 요소가 아니다. 또한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 경제와 사회문화적 파급력을 집성하려면 공간의 다양성과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절대적으로 병행하여야만 한다. 지리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영월은 많은 문화예술콘텐츠 공간들을 이미 갖추었고 다른 지역과 다르게 발전적 전략구성을 집행하고 있다.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중요성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판단되어지며 본인은 연구의 범위를 영월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영월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진단하고 발전을 위한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영월지역 뿐만 아니라 기타 지역의 경제적 고용창출과 소득증대,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창출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현대화와 이미지 개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등을 형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방법적으로 세계화를 지향함과 동시에 지역의 문화 예술적 토대를 근거로 하여 영월의 '지붕없는 박물관도시, 영월' 프로젝트 방향을 세방화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 즉 거시적인 세계화 지향의 발전 모델을 수립하기 이전에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특화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은 도 시민에게 삶의 장소로서 직결되기 때문이다.

  • PDF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on the Intention to Revisit)

  • 고영선;허철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57-71
    • /
    • 2020
  •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지역중심으로 주민들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이 계발 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여, 복합문화공간이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복합문화공간을 이용하는 고객의 고객가치와 재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는 지자체나 기업에게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할 때 어떤 기능에 중점을 둘 것인가 하는 운영전략 도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문화공간 관련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Ver. 22.0과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고객가치와 재방문의도에 일부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기능들이 이용고객의 고객가치와 재방문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결과는 기업이나 지자체 운영자에게 적용 가능한 운영전략과 경영방향을 세우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고, 향후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라는 보다 거시적인 복합문화 공간의 역할을 연구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기여할 것이다.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on the Use factor of Complex Cultural Space in Library)

  • 노지윤;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11-537
    • /
    • 2019
  • 최근 공공도서관에서 복합문화공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복합문화공간 이용 차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어떤 요소에 더 중점을 두고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41개의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요인 중 5개 항목에서만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특정 부문이 아닌 우선적인 개선 부분을 중점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자들은 혼자(42%) 또는 가족(18.2%)과 함께 주로 이용하며 주말 오전과 오후를 포함한 이용자 수(35%)보다 평일 오후에 이용하는 사람(50.5%)이 더 많다는 점 등의 방문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간과 관련한 5개의 이용요인 중 '컴퓨터/장비 사용의 구비성'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1사분면 또는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4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공간의 다양화 및 복합화를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IPA분석을 적용한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호모 루덴스와 호모 파베르의 융화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미래 (An Essay on the Future of Metaverse as the Harmony Space Both of Homo Ludens and Homo Fabre)

  • 오민정;김종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27-136
    • /
    • 2021
  • 본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문화철학적 이해와 접근을 통하여 이 공간이 향후 인간의 문화적 공간으로 전개될 수 있을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메타버스 공간에 대한 이해 및 접근 방식의 변화 필요성 및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현실과 가상이라는 이분법적 공간 이해가 갖는 위험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을 통한 인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였다. 또한 이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래 메타버스 공간이 문화적 공간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한 조건과 이를 위해 그 공간은 제작(Homo Fabre)과 유희(Homo Ludens)라는 인간의 가장 핵심적인 문화적 활동 모두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 이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41-352
    • /
    • 2019
  • 최근 지역적으로 문화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소재하는 F196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식, 브랜드 품질에 대한 자각, 충성도 4가지 브랜드 자산 요인이 고객의 만족도와 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이용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용객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얻은 만족감은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효과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지역사회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의 다양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화를 할 필요가 있다.

부산 중죽도를 활용한 해양문화공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8-200
    • /
    • 2014
  • 부산 강서구 천성동에 소재한 중죽도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거가대교의 지상부분으로 연결되는 장소에 있는 중죽도와 대죽도는 거가대교를 건설하면서 육지와 침매 해저터널로 연결된 무인도이다. 이러한 시설을 조성하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방파제와 매립지는 중죽도와 인접한 까닭에 육지에서 자동차로 접근이 가능한 공간이다. 때문에 무인도라는 섬을 자동차로 갈 수 있다는 장점뿐 아니라 육지의 전기가 공급된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대형차량을 위한 주차시설과 거가대교 홍보관이 있는 가덕해양파크 휴게소에서 차량을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므로 이 시설과 연계한 관광상품도 개발이 가능한 현실이다. 국내 유일의 이러한 환경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각종 시설을 계획한다면 매우 매력적인 해양문화공간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죽도와 연결된 매립지을 활용하여 해양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유휴공간을 활용한 마을문화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Village Culture Space based on the utilization of unused spaces - Focused on Gimcheon -)

  • 박경식;문재영;이은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207-209
    • /
    • 2020
  • 최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발전과 수익, 지자체의 활성화를 위해 "마을문화공간 활용"에 대한 이슈가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유휴공간을 활용한 활동들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지자체와 지역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업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se Study of Space Marketing for improving the Corporate Image)

  • 김신형;안세윤;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33
    • /
    • 2008
  • 현대 소비사회에서는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활용하는 문화 마케팅을 통하여 기업은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새로운 문화 경영의 패러다임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에게 문화 공간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예술 체험이 가능한 갤러리 공간은 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한 공간 마케팅의 주요한 대상으로서 기업과 예술인, 소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예술의 사회적 공헌 및 발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도시 인접 섬마을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 창원시 실리도를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7
    • /
    • 2021
  •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섬마을과는 차별화된 해양문화콘텐츠가 필요하나, 섬마을 내 농어업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생업 형태는 대부분 유사한 실정임.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의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리도만의 특색있는 해양문화콘텐츠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