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해 기술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 (Literacy learner's satisfaction revel and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73-180
    • /
    • 2018
  • 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울산광역시의 문해교육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하위변인으로 살펴보면 학습환경에서 가장 높았고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내용과 학습결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이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별은 차이가 없었으나, 70세 이상의 연령에서 학습지속의 높은 의사표시를 나타냈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내용,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환경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문해교육 학습자는 나이가 많고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경우 학습지속이 높았으며, 문해교육 학습자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 내용임이 분석되었다.

성인 문해 정보화 교육의 전략 탐색을 위한 성과 분석 연구 (Exploring Strategies for Literacy-Computer Education for the Illiterate)

  • 변종임;이경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29
    • /
    • 2006
  • 본 연구는 정보사회에서의 성인 비문해자 컴퓨터 교육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하기 위해 성인 문해 정보화 교육의 당위성을 탐색하며, 현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지원하고 있는 문해 정보화 교육의 성과 및 그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교육기관 변인, 교육과정 변인, 학습자 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 기관 설립주체나 목적 및 역사, 교육방식 및 강사유형,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지식 및 기술 영역, 태도 및 정서감 영역의 성과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성인 비문해자를 위한 문해 정보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준별 다양화, 적정인원의 학습자 집단 구성, 전문 교강사 채용 및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Coaching methods)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61-268
    • /
    • 2021
  • 본 연구는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문해학습자에게 적용한 후 학습성취도 향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U시의 노인복지관 문해교육학습자 13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관찰일지, 학습자료를 토대로 분석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은 마음열기, 긍정성 도입, 학습역량 강화 및 조력, 자신감 및 지속성 강화의 4단계 과정으로 구성된 프로세스중심 모델로 연구결과는 첫째, 1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확장되었고, 둘째, 2단계에서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형성하여 자기주도학습력이 강화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3단계 균형 문해교수법과 상호작용교수법을 활용한 결과 읽고 쓰는 것에 자신감을 획득하여 자기효능감 상승효과로 이어졌다. 넷째, 4단계는 적극적인 칭찬과 지속적인 격려로 학습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고 상급과정에 대한 희망을 내포하게 하는 학습성취도 향상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코칭기법을 활용한 문해교육프로그램은 문해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를 위한 교육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Field Experience Program Based on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 박태숙;박주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16-119
    • /
    • 2011
  • 본 연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유아의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한 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유아 수용어휘능력 및 표현어휘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상상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 전략인 것으로 해석된다.

  • PDF

2세 영아 학급에서의 글쓰기와 문해의 발현 과정 :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y of Emergent Writing and Literacy of Two-year-old Toddlers in Classroom)

  • 김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67-285
    • /
    • 2005
  • This ethnography explored, the emergent writing and literacy of two-year-old children in classroom.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focuses on toddler's text appropriation from text environment and on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oddlers. The result showed that toddlers appropriated writing signs or words from their own text-environment and used it as the instrument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pecifically, they initiated social interaction by giving messages of their appropriated signs to adults as teachers, who were easily capable of communication. This led to all toddlers' involvement in message exchange in the classroom. Toddlers' marks of scribbles were also consisted of different kinds of lines and circles. Those marks have different meaning and. symbolic systems: drawing and writing graphics. Even though drawing and writing graphics developed as different symbol systems in toddlers' marks, each system helped to extend each other.

  • PDF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 이정연;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39-59
    • /
    • 2005
  •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을 설계함과 동시에 대학생들의 현재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여 정보활용능력 개발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정보활용능력 웹 평가사이트를 설계하여 학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구성영역을 통계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자원 영역, 정보요구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분석 영역, 정보기술 및 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임을 밝혀내었고, 기초환경 요인, 자가진단 요인, 영역별 요인, 정보활용능력 총점 요인 및 문항분석을 통해 평가설계 요소와 평가절차, 영역별, 수준별 교육 및 평가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정보활용능력의 통합적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유아의 단어읽기 능력 예측변수 : 연령 집단별, 단어 유형별 분석 (Predictors of Preschoolers' Reading Skills : Analysis by Age Groups and Reading Tasks)

  • 최나야;이순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4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concerning preschoolers' ability to read words, in terms of their sub-skills of alphabet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Fourteen literacy sub-tests and three types of reading tasks were administered to 289 kindergartners aged 4 to 6 in Busa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ub-skills that predicted reading ability varied with children's age. Irrespective of children's age groups,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and digit naming speed commonly explained the reading of real words. In contrast, skills of syllable deletion and phoneme substitution and knowledge of alphabet composition principles were related to only 4-year-olds' reading skills. Exclusively included was digit memory in predicting 5-year-olds' reading abilities, and knowledge of vowel sounds in 6-year-olds' reading skills. The type of reading task also influenced reading ability. A few common variables such as knowledge of consonant names and vowel sounds, digit naming speed, and phoneme substitution skill explained all types of word reading. Syllable counting skills, however, had predictive value only for the reading of real words. Phoneme insertion skills and digit memory had predictive value for the reading of pseudo words and low frequency letters. Likewise, knowledge of consonant sounds and vowel stroke-adding principles were significant only for the reading of low frequency letters.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거주 어머니의 신념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thers' beliefs on early English education between ESL and EFL contexts)

  • 송승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49-760
    • /
    • 2005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한국 어머니들의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을 분석하며, EFL 환경과 ESL 환경에 있는 어머니들의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함으로써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이 환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자 한다.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영어권 나라에 거주하는 한국 어머니와 한국에 거주하는 어머니의 신념을 비교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에서 인구학적 배경이 비슷한 16명의 어머니를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이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각기 다른 환경에 거주하고 있는 두 그룹의 어머니들이 가지고 있는 영어조기교육에 관한 신념을 영어교육에 대한 동기, 교육방법, 제2외국어 습득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체로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거주 지역에 상관없이 영어조기교육에 대해 긍정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교육시기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의견을 보였고, 영어교육의 목적은 학업적인 성취보다는 세계화된 시대를 살기위한 기본적이 의사소통 기술의 습득이라는 신념을 보였다. 반면, 한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은 미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에 비해서 가정에서 직접 자녀에게 영어를 가르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고, 미국에 거주하는 어머니들은 한국 거주 어머니들에 비해 문해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실제적인 지도를 많이 행하고 있었다.

  • PDF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AHP 분석 (An Analysis of the AHP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ix Classification Scheme)

  • 한상훈;박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95-1005
    • /
    • 2015
  • 본 연구는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기초문해교육', '직업능력교육',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 '문화예술교육' 순으로 나타났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문자해득, 기초생활기술, 현직직무역량, 시민참여활동, 시민리더역량, 초등학력보완, 문화예술향상, 생활문화예술, 자격인증역량, 중등학력보완 프로그램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사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평생교육 실천현장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현실감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K-MOOC 시대 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Library in the Era of K-MOOC)

  • 문방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93-21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시대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문헌 및 사례를 조사하여 도서관의 역할을 도출한 뒤, 이러한 새로운 역할들의 국내 교육환경 도입 시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조사는 K-MOOC 강좌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 30명으로 구성된 패널과 K-MOOC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사서들 30명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전문가 패널은 공통적으로 저작권 청산, 정보이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 등 정보제공자로서의 도서관의 고유 역할에 대하여는 동의하는 반면, 촬영 및 녹음, 홈페이지 운영, 오픈액세스 제공 등의 기술적인 영역은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전담하고 있으므로 도서관의 역할로서 적절치 못하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교수자들은 기술발달속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문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으며, 사서들은 부가가치 창출, 여러 교육기관 및 기술협력체와의 긴밀한 관계 구축, 도서관 조직유연성 확보 등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는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