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항 추측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객관식 선다형문항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uessing on the Correct Answer in a Multiple Choice)

  • 권보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6
    • /
    • 2020
  • 학생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항들이 평가도구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 선다형 문항은 채점에 있어서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지만 추측의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선다형 문항을 질문지와 선택지 사이의 관계에 따라 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하나는 선택지 k개에 대해 추측의 확률이 1/k인 기존의 고전검사이론에서 사용하는 유형이며 다른 하나는 부분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유형이다, 제안한 유형에서 부분적 지식의 개수가 i일 때 추측의 확률을 (i+1)/k인 유형이다. 기존 이론에서의 문항 추측도를 기초하여 제안된 유형에 대한 문항 추측도를 유도하였다. 이를 기존의 유형과 제안된 유형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분석하였다. 이는 제안된 유형이 기존의 유형보다 문항 추측도가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신경망을 이용한 효율적인 학업 성취도 측정 시스템 모델 (A Model of Efficient Estimation System for Learning Accomplishment Using Neural Network)

  • 김명순;정환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1-26
    • /
    • 2000
  • 인간의 잠재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많은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사를 위하여 양질의 문항 제작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문항 제작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단시간에 쉽게 제작된 문항들을 쓰고 폐기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양지르이 문항 제작을 위하여 문항 내용 분석, 문항 응답 자료 분석,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문항 추측도, 오답의 능률도를 이용하여 자료분석에 유용한 효과를 보이는 신경망을 이용한 학업 성취도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한 학습자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er Testing System with Item Response Theory)

  • 송은하;박복자;하태령;정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
    • /
    • 2003
  • 기존의 학습자 평가 시스템은 교수자의 주관적인 관점과 견해에 의해 각 문항의 난이도가 결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개별 능력 평가가 가능하고 개인별 학습 수준에 적합한 문항을 난이도, 변별도 및 추측도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별 문항 평가가 가능한 학습자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습자 평가 시스템은 CAT 기법의 문항 반응 이론 중 3-모수 로지스틱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한다.

  • PDF

개인 맞춤형 운전면허 학습시스템 설계 (VA Design of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for the Driver's License Test in Korea)

  • 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5-106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운전면허 학과시험 학습시스템을 설계한다. 문항반응이론에 의거하여 학습자 능력모수를 정확히 측정하고, 측정된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최적의 평가문제와 학습콘텐츠를 동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합격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이러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학습시스템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념 단위 오브젝트 형태의 운전면허 학과시험용 학습콘텐츠들과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전면허 학과시험용 평가문제들을 연계하여, 학습자의 문항반응에 따라 최적의 문항과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각 문항들은 난이도, 변별도, 추측도의 문항모수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는 학습자들의 상태정보, 운전면허 학과시험용 평가문제들에 대한 피험자들의 문항반응을 유지 관리하고, 피험자들의 문항반응을 기초로 학습자 능력모수를 저장한다.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콘텐츠 문항선택 & 피드백 에이전트 및 오프라인 추정기로 구성된 동작구조에 의하여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형태의 동적 맞춤형 학습방식을 제공하여 최적의 학습과정을 제공한다.

  • PDF

문제분석을 이용한 웹 기반 평가시스템 (A Web-based Evaluation System with Query Analysis.)

  • 허은주;한현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09-612
    • /
    • 2007
  • 정보사회와 컴퓨딩환경의 발전으로 언어, 학력, 인지도 등의 평가도구로서 컴퓨터기반의 평가환경이 보편화되었다. 특히 컴퓨터기반의 학력평가 환경을 위해서는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등 문항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문항분석은 컴퓨터기반의 평가를 위한 양질의 문제은행 구성 및 문항과 수험자 능력의 정확한 추정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를 위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평가이론의 문제분석을 적용한 문제은행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수험결과를 분석하여 각 문제의 곤란도나 변별도, 문항분포도를 통하여 문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험자가 각 문제를 푸는데 걸린 시간을 기록하여, 수험자의 문제에 이해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수험자의 추측, 랜덤 선택 등으로 인한 정답을 맞힐 가능성과 한 문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 이유에 대해서도 추정하였다. 문제분석 및 수험결과의 평가 및 분석으로 교사들은 문항의 양호도를 높일 수 있고 문제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문항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양질의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선다형 적성검사에서의 선택지 위치, 선택지 지문 길이와 문항 진술 유형에 따른 문항 특성 차이 검증 (A study on the item characteristics differences of response position, response length, and question types of multiple-choice aptitude tests)

  • 한영석;김명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09-361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선다형 적성검사에서의 선택지 위치, 선택지 지문 길이 및 문항 진술 유형에 따른 문항 특성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H대학의 적성평가 수시 전형 사전검사로 개발된 적성평가 80문항을 전국 80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교 3학년생 3120명(인문계열-1650명, 자연계열-1467명)에게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답이 외곽치(1, 4번 선택지)보다 중앙치(2, 3번 선택지)에 위치할 경우 추측도가 높았고, 옳은 것을 고르는 문항보다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항에서 변별도가 더 높았다. 또한 선택지의 길이가 길수록 선택지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택형 적성검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관련해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을 활용한 정보영재 판별도구의 개발 (A Development Discrimination Test for Information Gifted Students using the Concepts of Computational Thinking)

  • 김현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71-278
    • /
    • 2015
  • 본 연구에서 알고리즘 능력을 측정하여 정보 영재를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판별 도구는 Computational Thinking의 Concept을 재구성하여 해당 영역이 중점적으로 포함되어있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문항의 유형을 단일 속성 문항, 복합 동일 속성 문항, 복합 집중 속성 문항으로 나누어 세분화하였으며 문제 해결방식을 전체 스크립트 제작, 스크립트의 일부 수정, 스크립트의 결과 추측하기로 나누어 스크래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판별도구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에 대한 중${\cdot}$고등학교 급별 적합성 분석

  • 이강섭;황동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1-19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6년 전에 개발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 한국교육개발원(김흥원 외, 1997))에 대한 현시점의 적합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검사의 중학교 1-3학년용 A형 1부 검사와 고등학교 1-2학년용 A형 1부 검사를 해당 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도구의 양호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 ${\alpha}$)의 계수가 약간 떨어져 있지만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변별도는 점이연 상관 계수가 0에 가까운 문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문항이 학생들의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변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내적 타당도는 중학교의 경우 관대하게 본다면 수용할 만 하고, 고등학교의 경우 아직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즉, 중학교 문항 1과 문항 4는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였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5를 넘는 문항은 없었다. 고등학교의 문항 4는 문항의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2를 상회하지 않았다. 난이도 측면에서 볼 때, 이 검사의 계속 사용은 염려스러운 면이 있다. 즉, 중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쉬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것은 현재의 학생들이 이러한 유형의 문항을 많이 접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조금 더 어려워 졌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사항을 종합할 때,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에서 중학생용은 현재의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재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등학생용은 개발 당시의 신뢰도, 난이도, 변별도 등에서 유사하므로 당분간 계속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 PDF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살펴본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 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Problems in Statistics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the 3rd Grade in terms of Statistical Literacy)

  • 고상미;김미순;정재균;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31-7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수학교과서가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맥락의 4가지 유형과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토대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의 통계단원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맥락의 4가지 유형 중에 개인적 맥락의 유형에 해당하는 문항이 6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에서는 자료 분석 과정이 72.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맥락을 활용한 문항을 통해 통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부터 제시된 자료에서 합리적인 결론을 추측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통계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문항들이 더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수리논술 평가문항 개발과 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in a mathematical essay course)

  • 이동근;최상호;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41-5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수리논술과목을 통해 수학적 과정을 경험하고 평가문항 및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교육과정이 예비교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K대학교 수리논술 수업을 수강하는 4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리논술 문항개발측면과 그 문항에 대한 평가 기준 설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수리논술 문항은 수학적 과정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었고 특히, 그룹토의 및 중 고등학생의 응답을 보고 문항을 수정할 때는 문항의 난이도, 수학적인 추측을 통한 정당화와 문제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고려하여 수정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대부분 분석적 평가 기준표를 개발하였고, 문항의 평가 기준표를 만들고 학생의 반응을 통해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결과보다는 문제해결을 중시하고 학생의 예상치 못한 풀이방법을 고려하는 등 수학적 과정을 고려하는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교육에서 수학적 과정 평가 경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리논술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방법론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