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합부 누출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5초

A형 대동맥박리의 대동맥 이식편 치환술 후 봉합선 열개의 혈관내 치료: 2건의 증례 보고 (Endovascular Treatment of Aortic Dissection due to Suture Line Dehiscence after Aortic Graft Replacement for Type A Aortic Dissection: A Report of Two Cases)

  • 심우진;김영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68-675
    • /
    • 2024
  • 대동맥 문합부 누출은 급성 대동맥 박리의 치료인 상행 대동맥 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합병증이다. 대동맥 문합부 누출의 치료로는 재수술이 전통적인 치료 방법으로 추천되나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인다. 최근에는 몇 건의 증례 보고에서 중재 시술이 대안적인 접근방식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A형 대동맥박리의 치료인 대동맥 이식편치환술 후 봉합선 열개에 의한 대동맥 문합부 누출을 코일과 N-butyl cyanoacrylate로 색전술을 시행한 증례와 혈관마개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식도암 절제술시 식도 위 문합 위치에 따른 조기 합병증의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Cervical and Thoracic Esophagogastrostomy After Resection of Esophageal Cancer)

  • 박상철;조중구;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56-161
    • /
    • 2001
  • 배경: 식도암의 절제술에 있어 식도 위 문합술은 중대한 합병증, 즉 문합부 누출, 양성협착, 종양의 재발 등을 유발한다. 수술 후 재원기간동안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과 합병증이 식도와 위장관의 문합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로간에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겠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식도암 근치술로 식도 위 문합술을 시행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문합위치에 따라 경부문합한 23명의 환자와 흉부문합을 한 32명의 환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절제술 후 AJCC분류에 따라 I기 5명, II기 27명, III기 23명으로 판정되었으며, 종양이 상흉부에 위치한 경우 3명, 중흉부 34명, 하흉부 18명이었다. 조직학적으로 55명의 환자 2명의 선암을 제외하고 53명이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55명 전원이 남자였으며 평균연령은 경부문합의 경우 59세였고, 흉부문합은 55세였다. 경부 문합의 경우 1명의 staple봉합을 제외하고 나머지 22명이 수봉합을 하였으며, 흉부문합술의 경우는 9명이 수봉합, 23명이 staple봉합을 하였다. 결과: 수술 후 사망자는 경부문합 1명, 흉부문합 2명이었다. 경부 문합환자의 경우 23명 중 15명에서 호흡기, 소화기등의 합병증 46례가 발생하였고, 흉부 문합환자의 경우 32명중 13명에서 합병증 37례가 발생하였다. 경부문합환자는 중등도 혹은 심한 연하곤란을 나타내는 경우가 11명에서 있었으며, 흉부문합환자는 2명에서 나타났다. 또한 수술 후 20일 이후까지 재원한 경우는 경부문합환자 18명, 흉부문합환자는 13명이었다. 결론: 식도암에서 식도 위 문합술의 경우 호흡기, 소화기, 감염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이 높았다. 문합부 누출은 staple봉합보다 수봉합에서, 흉부문합보다 경부문합에서 빈도가 높았다. 경부문합의 경우 문합부 누출률이 높고, 연하곤란을 많이 호소하며 재원기간이 의미있게 길었다.

  • PDF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 후 발생한 문합부 협착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astomotic Stricture after EEA Stapled Esophagogastrostomy)

  • 전도환;조성래;천수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17-1221
    • /
    • 1998
  • 배경:식도-위 문합술시 EEA stapler가 도입됨으로써 문합부 누출의 발생을 줄여 술후 사망률의 감소에 기여하게 되었으나 문합부 협착의 발생이 수기봉합에 비해 높은 단점이 있다. EEA stapler를 이용한 식도-위 문합술시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이고, 또 문합부 협착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1996년 12월 까지 약 11년간 고신대학교 의학부 흉부외과에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195명의 환자 중 술후 조기에 사망한 10명를 제외한 185명를 대상으로 문합부 협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문합부 협착은 185명의 환자 중 39명에서 발생하여 21%의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발생시기는 술후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에 25례(64.1%)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 사이에 연령의 차이는 없었으며 문합의 위치에 따른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은 흉곽 입구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서 기관분기 하부에서 문합한 환자군에 비해 조금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문합시 사용된 cartridge의 크기와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의 비교에서 작은 cartridge를 사용한 예에서 문합부 협착의 발생율이 높게 나타났다(p=0.04). 결론: 이상의 결과로 EEA stapler를 이용하여 식도-위 문합술시 가능한 큰 cartridge를 사용함으로써 문합부 협착의 발생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문합부 협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1∼2회의 풍선확장술의 시행이 안전하고 확실한 치료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식도암 수술후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 경부문합과 흉부문합 간의 비교- (A Study on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 A Comparison of Neck and Chest Anastomosis)

  • 이형렬;김진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9-805
    • /
    • 1999
  • 배경: 식도 및 분문부암에서 식도절제를 시행한 후 문합부에 생길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 양성 협착, 그리고 종양재발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술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그 문합의 위치가 경부 또는 흉부 어디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합의 위치에 따른 합병증을 서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식도암 근치술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절개에 의한 식도절제 후 그 문합 위치에 따라 경부 문합군(NA군, 20명) 및 흉부 문합군(C군, 16명)으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식도암환자의 병기는 2A기 13명, 2B기 7명, 3기 16명으로 술후 각각 판정되었고, 종양의 위치별로는 중흉부에 22명, 하흉부 및 분문부에 14명이 각각 위치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사망률은 8.3%(경부 문합군 5%, 흉부 문합군 12.5%)였다. 문합부 누출율은 경부 문합군 15.0%, 흉부 문합군 12.5%으로 문합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문합 방법상 수봉합(27.3%)과 staple봉합(8.0%)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p<0.05). 종양으로부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9.6 cm(경부문합군) 및 5.8 cm(흉부문합군)였고, 문합부 종양 재발율은 5.3%(경부문합군) 및 28.6%(흉부문합군) (p<0.05)였다. 양성 협착률-중등도 이상의 연하장해로 정의함-은 흉부문합군(21.4%)에 비해 경부문합군 (36.8%)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staple봉합법에 의한 문합시에는 staple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착의 빈도는 높았다(25-mm staple에서 41.7%, 28-mm에서 9.1%) (p<0.05). 결론: 근위부 절제연을 크게 할수록 문합부의 종양 재발율을 줄일 수 있었고 staple봉합의 도입후 문합부 누출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양성 협착률은 경부 문합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작은(25-mm) sstaple이 사용과 술후 문합부 누출의 합병이 중등도 이상의 협착의 더욱 큰 위험 요소라고 사료된다.

  • PDF

Monofilament Polypropylene사를 이용한 단속단층 식도문합술 (Interrupted Single-layer Suture Technique in Esophageal Anastomosis Using Monofilament Polypropylene Suture)

  • 성시찬;편승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711-717
    • /
    • 1998
  • 배경: 식도 문합술은 여러가지 문합방법과 문합재료를 사용해오고 있지만 문합부 누출과 협착이 다른 장문합에 비해 빈번하고 발생하면 중한 결과를 초래한다. 최근 저자들은 식도문합술 거의 대부분에서 polypropylene사를 이용한 단속단층 문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이에 본 동아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0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시행한 식도문합술 90례의 임상결과를 분석하여 이 문합방법의 효용성을 알아 보기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문합부 누출은 모두 5례(5.6%)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례가 사망하였다. 결과: 문합부 협착은 수술 생존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모두 15례(17.4%)에서 발생하였다. 이 협착은 식도-위 문합술에서 가장 높은 빈도(22%)로 나타났고, 식도-대장문합술에서 가장 낮은 빈도(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여러학자들의 자동 문합기에 의한 문합방법을 포함한 다른 문합방법들의 결과들과 비교할만한 결과였다. 결론: 저자들은 식도문합에 있어 이 문합방법은 식도폐쇄증 교정을 포함한 여러 식도문합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로 계속 사용되어 질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 PDF

위암의 정규 위절제술 후 발생한 문합부 누출의 치료 결과 (The Result of Treatment of Anastomotic Leakage after an Elective Gastrectomy for an Adenocarcinoma)

  • 심요섭;김찬영;양두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3호
    • /
    • pp.164-168
    • /
    • 2004
  • Purpose: The most feared complication of gastrointestinal tract operations is anastomotic leakage, not only because of the presumed individual surgeon's culpability but also because of the assumption that this event is often fatal. We have experienced 32 cases of anastomotic leakage after elective gastric resection during 8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ir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records of 1335 patients who had undergone elective gastric resection for an adenocarcinoma of stomach from January 1995 to October 2003 and conducted a retrospective,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f the 1335 patients, 32 ($2.4\%$) sustained an anastomotic leakage. Anastomotic leakages usually developed on mean postoperative day $9.1\pm3.2$ (range:$1\∼18$ days).Overall, $31.3\%$ (10/32) of patients who sustained an anastomotic leakage died. The anastomotic leakages were identifed by radiological study or by operative finding at the site of the duodenal stump (20 patients), the esophagojejunostomy (7), the gastroduodenostomy (4), and the gastrojejunostomy (1). Fourteen patients ($43.8\%$) underwent a relaparotomy, a drainage procedure in the main, and 18 patients ($56.3\%$) were treated conservatively. The mortality rates were $42.9\%$ (6/14) and $22.2\%$ (4/18), respectively,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cox's proportional hazard analysis showed that a body-mass Index < 24 kg/m2 (odds ratio 5.55, $95\%$ CI: $0.69\∼44.82$) and non-enteral feeding (odds ratio 18.27, $95\%$ CI 2.22.150.69) were independent factors of mortality due to anastomotic leakage. Conclusion: Our observations show that anastomotic leakage after an elective gastric resection has a high risk of being fatal. Moreover, for a patient with a body-mass index lower than $24\;kg/m^{2}$ and/or non-enteral feeding, an anastomotic leakage after an elective gastric resection has a higher risk of being fatal.

  • PDF

흉부식도암 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군과 유리공장이식술군간의 조기 합병증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Complications Between Esophagogastrostomy and Jejunal Free Transfer After Resection of Thoracic Esophageal Cancer)

  • 신호승;이재진;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43-847
    • /
    • 2001
  • 배경: 식도질환의 수술 후 식도재건술은 아직도 식도수술에 관여하는 외과의사에게 해결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1996년 1월부터 1999년 12월가지 흉부식도암환자 27명에서 흉부식도절제술 후 15예의 식도-위 문합술과 12예의 유리총장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문합부위의 협착, 역류성식도염, 수술시간, 호흡기 합병증 등을 양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식적 우회술 또는 식도인공삽입술, 인두식도와 식도 위 결합부위의 암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우측 개흉술로 식도를 절제하였고,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여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다. 유리공장이식술의 경우 근위부의 식도는 6예에서 자동봉합기를 사용하였으며, 6예의 근위부와 12예의 원위부는 수기통합하였다. 모든 식도 재건술은 후종격동을 경유하였다. 결과: 3예의 수술사망을 포함하여 3예의 문합부 누출, 2예의 이식공장괴사 등 중한 합병증과 11예의 역류성 식도염, 5예의 문합부 협착이 발생되었다. 식도-위 문합술의 평균 수술시간은 300$\pm$160분, 유리공장이식술은 550$\pm$280분이었다. 결론: 역류성 식도염은 식도-위 문합군에서 더 많았고, 수술시간은 유리공장이식군에서 더 길었다(p<0.05).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장시간의 수술에 따르는 술 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면, 식도재건수술후의 역류식도염을 감소시키는 수술로 유리공장이식술이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 PDF

위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의 합병증 (Esophagogastirc Anastomosis: Analysis of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 신화균;이두연;강정신;윤용한;김도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73-578
    • /
    • 1999
  • 배경: 식도절제술후 식도대용장기로 위장이 가장 흔히 사용되어지는데 위장은 다른 장기에 비해 다루기가 비교적 간편하며 합병증이 적게 발생된다고 한다. 위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에서 발생한 합병증을 분석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세의대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식도질환으로 식도절제술후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술후 합병증이 70.5%이었고 수술 사망률이 6.8%이었다, 가장 흔히 발생되었된 합병증은 문합부협착이 13.6%, 폐렴 11.4%, 창상 감염이 9.1% 이었다. 술후 사망원인은 전부가 폐합병증과 패혈증이였다. 결론: 문합부 누출 및 협착 등의 기술적인 문제는 많은 발전을 보였으나 술후 충분한 영양공급, 폐감염 방지 , 적극적인 물리치료 등이 폐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하다.

  • PDF

식도 천공의 외과적 치료

  • 이재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08-108
    • /
    • 2003
  • 식도 천공의 치료는 최근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난해한 문제이다. 이 환자들은 천공의 원인이나 위치, 심한 정도가 다양한 이질적인 군이며, 반수 이상이 이미 식도에 기존의 질환을 가지고 있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절대적이고 획일적인 치료방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총 8명의 환자가 식도 천공으로 동아대학교병원 흥부외과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원인별로는 의인성(iatrogenic) 손상이 6례, 자발성(spontaneous) 손상이 2례였고 부위별로는 경부가 3례, 흥부가 5례였다. 의인성 손상에는 내시경 검사중 정상 경부 식도에 발생한 1례, 부식성 식도협착 환자의 풍선 확장술과 스텐트 삽입시 흉부 식도에 발생한 경우가 각각 1례씩, 외상성 경추손상의 수술시 정상 경부 식도에 발생한 경우가 2례, 선천성 식도폐쇄증(esophageal atresia)의 술후 문합부 누출이 생긴 경우가 1례 있었으며, 자발성 손상에는 하부식도에 발생한 기압성(barogenic) 손상 1례와 상흉부 식도암 천공 1례가 있었다. 경부 식도 천공 3례는 모두 경부 배액(drainage)과 식이용 장루술(feeding jejunostomy)을 시행하였고, 부식성 식도협착이 있던 환자 2례는 식도절제술과 흉부내 식도-위 문합을 시행하였으며, Boerhaave씨 증후군 환자는 1차 봉합술, 술후 문합부 유출이 있었던 환자와 식도암 천공이 있었던 환자는 식도절제 및 경부 식도루(esophagostomy), 배액용 위루(gastrostomy), 식이용 장루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패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의 진행 없이 회복되었다. 현재 위장관의 연속성이 유지 혹은 복원된 환자는 경구식이 중이며 그 외의 환자들은 장루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며 식도재건술을 기다리고 있다. 식도 천공은 최근 항생제의 사용, 과영양요법(hyperalimentation), 술후 환자관리의 개선 등으로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치료 방침에 있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으며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난제로 남아있다. 비록 일반적인 지침이 도움이 되겠지만, 치료 방침은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하며, 임상경과에 따라 언제라도 방침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함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PDF

위 전절제술 후 식도 공장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Clinical Evaluation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s of Esophagojejunal Anastomotic Site after Total Gastrectomy)

  • 박기호;정순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2호
    • /
    • pp.121-125
    • /
    • 2004
  • Purpose: Esophagojejunal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a total gastrectomy include leakage, stenosis, bleeding, and abscess formation. Especially, the mortality rate for esophagojejunal anastomotic leakage is $80\%$. Although these complications hare been reduced by the usage of the EEA stapler, they are still serious and depend on various factors: the surgeon's experience, the stage of disease, the extent of surgical intervention, the method of operation, and the patient. Some local factors, such as vascularization of the graft, traction on the anastomosis suture line, and local infections, have been implicated as contributing to thes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he period $1995\∼2003$, of the 850 gastrectomies for gastric carcinomas, 171 were intra-abdominal total gastrectomies. All of these 171 operations were performed by one surgeon using a routine D2 lymph-node dissection and a 25-mm EEA stapler on an antecolic end-to-side esophagojejunostomy. In the 77 cases a seromuscular reinforced suture at the esophagojejunostomy site was performed, and in 94 cases, a whole layer reinforced suture with absorbible materials was used. We evaluate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age, sex, stage of patients, and combined resection. Also, we compared the incidences of complications for seromuscular and whole layer reinforced sutures. Results: The complications are major leaks ($2.9\%$), minor leaks ($3.5\%$), stenosis, bleeding ($1.8\%$), and abscess formation formation ($1.8\%$). In the five cases of major leaks, there were four mortalities with operative methods. The other patients with stenosis, bleeding, and abscess formation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success. The incidences of complications were not related with age, sex, stages, and combined resection. The incidences of complications for the whole layer reinforced suture group ($2.9\%$) were less than those for the seromuscular reinforced group ($8.8\%$, P=0.04). Conclusion: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 of esophagojejunal anastomosis is major leakage with an $80\%$ mortality. The other complications are stenosis, bleeding, and abscess formation, for which no mortalities occurred during this study. Whole layer suture of the esophagojejunal anastomotic site is an important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