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

Search Result 23,013,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 Self-leadership and Locus of Control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공대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유형별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

  • Ahn, Jeong-Ho;Lim, Jee-Young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122-12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elf-leadership strategies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the problem-solving styles in the Kore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tyl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s indicated the main effects of problem-solving styles; each problem-solving style had uniqu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self-leadership strategies and locus of control. There were neither main effects of sex nor interaction effects of problem-solving styles and sex. It would be useful to provide the engineering students with the specialized self-leadership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problem-solving styles.

  • PDF

Study on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종횡비교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의 문제해결에 대한 검토)

  • Chang, Hye-W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9 no.2
    • /
    • pp.207-23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problem solving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o do this, we considered the meaning of problem and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nalyzed the mathematics curricula in the longitudinal-latitudinal dimensions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one consists in examining and comparing the all-tim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Meanwhile the latitudinal one consists in examining and comparing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France. As a result of analysis, we selected ten sieves for analysing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By the analysis, we conclude that we teach problem solving quite positively in school mathematics relative to an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we have to reconsider some issues including dealing problem solving as a independent content not a process integrated in other contents.

  • PD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on Conditional Probability (수학 영재 학생들의 조건부 확률 문제해결 방법)

  • Na, Gwi-Soo;Lee, Kyung-Hwa;Han, Dae-Hee;Song, Sang-Hun
    • School Mathematics
    • /
    • v.9 no.3
    • /
    • pp.397-408
    • /
    • 2007
  • This research intends to look into how mathematically gifted 6th graders (age12) who have not learned conditional probability before solve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In this research, 9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were given to 3 gifted students, and their problem solving approaches were analys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interviews. The approaches the gifted students made in solving conditional probability problems were categorized, and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ir approaches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approaches depend on the context included in the problem.

  • PDF

A Study of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s for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에 관한 연구)

  • Kim, Il-Man;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9-325
    • /
    • 2010
  •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정보화 사회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 정보교과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소프트웨어 활용 중심의 내용을 대폭 축소하고 컴퓨터 과학의 원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력을 키우기 위하여 개정된 ICT 운영지침의 컴퓨터 과학 원리에 대한 교육 내용 분석을 통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을 초등 수학과에 접목시켜 다양한 학습 문제해결 실습을 통하여 알고리즘적 사고 신장의 적합성을 검증 하고자 한다.

  • PDF

중등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의 선호도와 논리적 문제의 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 Pak, Hong-Kyung;Lee, W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1-106
    • /
    • 2009
  • 수학적 사고의 입장에서 중등학생들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수학교육에서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과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중등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러한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중등영재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에 대한 선호도와 논리적 문제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다.

  • PDF

An Analysis on Elementary Students' Error Types of Word Problem Solving Strategy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에 따른 오류 유형 분석)

  • Kim, Young A;Kim, Sung Jo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1
    • /
    • pp.113-13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about cause of failures when students solve word problems by analyzing what errors students made in solving word problems and types of error and features of error according to problem solv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th}$ grade students preferred the expressions, estimate and verify, finding rules in order when solving word problems. But the majority of students couldn't use simplifying. Second, the types of error encountered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on problem based learning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expression', the most common error when using expression was the error of question understanding. The second most common was the error of concept principle, followed by the error of solving procedure. In 'estimate and verify' strategy, there was a low proportion of errors and students understood estimate and verify well. When students use 'drawing diagram', they made errors because they misunderstood the problems, made mistakes in calculations and in transforming key-words of data into expressions. In 'making table' strategy, there were a lot of errors in question understanding because students mis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Finally, we suggest that problem solving abi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error types according to the problem strategy and a correct teaching about these error types.

  • PDF

한국통신의 2000년 문제대응

  • 김재영;박용기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6 no.3
    • /
    • pp.29-36
    • /
    • 1999
  • 한국통신은 1997년초부터 전체 장비를 통시시스템 분야, 정보시스템 분야, 비정보시스템 분야로 분류하여 2000년 문제(이하 Y2K문제)에 대한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고, 현재 전체적으로는 변환을 완료하고 검증단계를 진행중에 있다. Y2K문제 인식과 해결 방법론은 Y2K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기틀을 제공하므로 해당 기관의 조직과 대상시스템의 특성 그리고 구성 형태에 따라 적절한 내용과 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한국통신은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축적된 운용기술을 통하여 2000년 문제에 대응함으로써 1999년 6월말까지 문제해결을 완료하고 고객들에게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기반을 확보할 예정이다. 한국통신의 2000년 문제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해결 방법론과 그 동안의 추진경과를 설명함으로써 다른 통신사업자 및 관련 기업체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Solving the Generalized Vehicle Routing Proble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 기반의 차량 경로 문제 일반화 방안 연구)

  • Jung, Chul-Hwan;Kim, Kwang-Su;Kim, Han-S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705-70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차량 경로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의 범위를 확장시켜 일반화된 차량 경로문제(Generalized Vehicle Routing Problem)를 제시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화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차량 경로 문제는 depot에서 각 node(또는 각 node에서 depot)의 단방향만 존재해 제한된 문제만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depot을 제외한 모든 node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일반화된 차량 경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차량 경로 문제는 NP-hard 문제로 최근에는 강화학습을 이용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모델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정의한 일반화된 차량 경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강화학습 모델을 제안한다.

  • PDF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한 효과적인 문장제 지도방안 -고등학교 중심-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09-229
    • /
    • 1999
  • 보통 문장제(거리 ${\cdot}$ 속도 문제, 시계 문제, 농도 문제, 개수 세기, 측도 영역)는 초등학교부터 반복하면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는 외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문장으로 나타난다. 문장제를 해결하는데는 사고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문장제는 난해하므로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입시위주의 교육 등 여러 여건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라도 문장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제의 해결의 저해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으로서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하며, 실험반과 비교반의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문장제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ming on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using Dolittle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창의성,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Su;Lee, Min-H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53-59
    • /
    • 2009
  •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인지사고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아동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동의 프로그래밍 활동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되, 교사가 문제해결 과정에 따라 학습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켜주는 안내된 발견식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과정에 필요한 인지적 요구사항을 토론이나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하여 반드시 거치도록 안내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두리틀을 이용하여 안내된 발견식 수업모형을 적용 한 결과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