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만족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 연구)

  • Kang So-Yeon;Cho Hyung-Hee;Hong Jong-Ill;Kim Eui-June;Park Sung-Eu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8 no.2
    • /
    • pp.24-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learner'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BL 2)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PBL preferences 3) the effects of decreasing communication apprehension through PB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PBL and perceived positively on PBL 2) the students with high participative or cooperative learning styles were satisfied with PBL and perceived more positively on PBL, but those who had avoidant or dependent learning styles didn't perceive positively on PBL 3) the degree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meeting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e expect this research to be foundation in instructional design of PBL with individual differences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Experiment of Connected Initiative Program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 Focus on Information Technology Media Studies (고교와 대학 연계 프로그램 경험 연구 : 정보통신미디어계열 학과를 중심으로)

  • Heo, Sumi;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211-2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미디어계열 학과로서 서울 소재 고등학교 2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1 차와 2 차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1 차에서는 이론특강과 실습을 통해 최신이론을 학습하고, 기초적인 실습을 하였으며, 2 차에서는 심화실습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발전가능성을 가늠해보았다. 1 차에서 학생들은 이론과 실습을 흥미로워 하였으나 난이도에 대한 체감이 달랐고, 2 차에서는 협업하여 결과물을 도출하였고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직접 하는 실습을 선호하였고, 진로와 전공 탐색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으며, 관련 분야로의 학습 의욕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이러한 연계프로그램에서 만족하는 것과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대학생 창업교육 수업유형에 따른 창업의지 영향요인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Gwon, Gi-I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71-75
    • /
    • 2018
  • 최근 대학교 내 창업친화적 학사제도의 활성화 등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업교과목 신설 및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일반적인 정보전달 위주의 창업교육보다 실제 창업가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과 문제해결 능력 등을 체득할 수 있는 체험형 창업강좌가 교육의 효과에 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은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창업교육의 대표적 학자인 Michael H. Morris(2014)에 의하면 창업교육은 학생들의 역량 개발을 기준으로 설계되고 평가되어야 하며, 기업가에게 필요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모의 창업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과제, 협업활동, 체험학습 요소 등을 접목시킨 몰입적 참여형 체험학습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야만 기업가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창업교육 유형을 실전형, 혼합형, 특강형으로 구분하여 창업교육 수업유형에 따른 창업의지 영향요인인 교육 만족도, 자기효능감, 기회인식, 창의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수업유형이 교육 수강 후 창업의지 영향요인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이 지향해야 체험중심의 창업교육 표준모델의 제안하고, 창업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ppli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e-PBL (e-Project-based Learning) to University Forest Education (대학 산림교육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e-PBL) 적용 사례와 학습성과)

  • Lee, Songhee;Lee, Jaeeun;Kang, Hoduck;Yoon, Tae K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2
    • /
    • pp.266-279
    • /
    • 2021
  • This study applied the e-PBL (e-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Urban Forest Management"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at S University to progress in university forest education. e-PBL effectively motivates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ers' responsibility by enabling them to choose, design, and perform their projec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learners were encouraged to use online media to carry out projects and submit presentations for the campus forest. Learners' educational effects were subsequently investigated through a five-point Likert scale. This study discovere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motivation and interest (4.17) throug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e-PBL also helped thei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subject (4.17).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the e-PBL method was helpful in problem-solving (4.25), communication (4.33), and decision-making skills (4.21). According to learners' responses, there are positive indications that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e-PBL. Learners responded that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with team members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ence, there is scope for improving an efficient and successful e-PBL model suitable for university forest education by providing more efficient instructional time management, e-PBL method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suppor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Dewey's "One Experience" and Jill Deleuze's "Learning": From Teaching to Learning (듀이의 '하나의 경험'과 들뢰즈의 '배움'의 의미 관계 탐구: 가르침 중심에서 배움 중심으로)

  • Eom, hye-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2
    • /
    • 2018
  • 의미 있는 '하나의 경험'은 성장을 가져온다. 존 듀이는 '하나의 경험'을 하나의 예술작품이 만족스럽게 완결에 이르게 되고, 계속해서 고민하던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마침내 도출되는 것이라 말한다. 독서를 하거나 책을 쓰는 것 등도 언젠가는 종결에 이르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의 종결은 단순히 중지(cessation)가 아닌 하나의 과정의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하나의 통일체(a whole)이며 그것 자체의 개별화된 특질과 자급자족(self-sufficiency)을 갖추고 있다. 바로 이러한 특징을 갖는 경험을 '하나의 경험'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에서 '하나의 경험'이 되는 배움이란 교육적인 의미와 가치로서 인정되고 평생 기억에 남는 교육 경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 입장의 배움, 자발성에 근거한 들뢰즈의 '배움' 이론이 '하나의 경험'으로 기억되는 의미 있는 가치로의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 focused on Green Life of Clothing, Food, and Housing in Home Economics (가정교과내 의.식.주생활 영역의 주제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가족의 생활'과 '가정생활의 실제' 단원의 녹색생활요소를 중심으로 -)

  • Kim, SunSoon;Cho, Jea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6 no.1
    • /
    • pp.1-1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in home economics and to apply the developed process in classes for evalu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suitability in schools. The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 developed on the basis of textbooks consist four sub-themes; choosing($1^{st}$ and $2^{nd)$ lessons), using($3^{rd}$ lesson), processing ($4^{th}$ lesson), and alternatives($5^{th}$ and $6^{th}$ lessons) under the main theme of 'green family life'. The results from 20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showed that the students actively solved the problems when the presented cases were related to their own lives or experiences. The opportunity to implement green life through activities motivated students' willingness to proceed in real life. However, it is vital to assist integrated thinking through various examples before beginning due to students with difficulties connecting the issue from one area to the other during the problem-focused activity. The students' ability to solve the activity workbook had been improved as the lessons continued. From the survey questions on the theme-based integrated lessons, all items associated with integration of clothing, foods, and housing were positively responded. Also, questions regarding general understanding, suitability and satisfaction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marked positive. The conclusion could be that the integrated theme related to clothing, food, and housing in our life would be appropriate for green family life. The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occurrence of green family life in relation with clothing, food, and housing, identifying the practical ideas implementing green life in those areas, and improving the integrated ability to solve the green life related problems. However, this research has its weaknes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due to its limited survey respondents and post-evaluation being the only assessment conducted.

  • PD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PBL 부분통합 교과과정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

  • Kim, Soo-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7
    • /
    • pp.343-3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BL hybrid curriculum of nursing studen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25 nursing students of 4th grade after dividing into 4 groups. The analysis resulted in 6 major categories such as 1) inefficiency of PBL hybrid curriculum, 2) anxiety about learning, 3) dissatisfaction with PBL operation, 4) difficulty in group activity, 5) acceptance of PBL and 6) chang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inimize loss of learning contents in PBL, proportion of course evaluation should be increased to follow original intention of PBL evaluation, and detailed tuto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by PBL specialist and professional department.

The educational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competency ontology (역량 온톨로지 기반 교육 콘텐츠 검색 시스템)

  • Lee, Yoon-Soo;Chang, Byoung-Chol;Kang, Hyun-Sang;Cha, Jae-Hyu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4
    • /
    • pp.487-494
    • /
    • 2010
  • One of the major issues in the field of corporate training and formal education is the support of personalized learning. Successful personalized learning needs the availability of the relevant learning contents at just-in-time for learners each. The competency is on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 competency-based learning is one of the methods that fulfill the above need. Successful competency-based learning needs the method that recommends the relevant contents for the user's deficient competency based on the user's current competency and objectives. We assume that there exists a student information system that provides each user's competences and objectives as fields of a LIP/ePortfolio-compliant student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an ontology-based system that, given the user's competences and objectives from the above student informaton system, recommends the relevant contents among a large number of educational contents using competency ontology and domain ontology. The advantage of this system can easily handle the change of competency map and terms related with competences in student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ents.

A Study on the Usability of Real-Time Remote Lecture Platform for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Focused on ZOOM UI design layout- (효과적인 학습경험을 위한 실시간 원격강의 플랫폼 사용성 연구 -ZOOM UI디자인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 Chung, Seung-Jae;Lee, Younj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0
    • /
    • pp.395-401
    • /
    • 2021
  • In the digital era, Korean universities are using real-time remote lecture platforms as a tool for learning. However, it is confusing due to low usage experience problems, and usability studie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alyze, and propose gaze track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UI design layout of ZOOM. A total of 30 subjects were selected to conduct eye tracking and survey when learning. The experiment showed that grid layouts have a higher emotional realism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other layouts. Furthermore, it turns out that participants focused the most attention on grid layouts. Therefore, for high learning experience, grid layouts and layouts that visually highlight participants and induce communication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