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양의 상징성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전통문양 식물문(食物紋)과 젠탱글 아트의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Plant Patterns and 'Zentangle Art')

  • 윤희선;김기범;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85-290
    • /
    • 2019
  • 본 연구는 아날로그 연필, 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사용하여 패턴을 그리는 젠탱글 아트(zentangle art) 제작 과정 중, 디지털 아트의 효과적인 융복합을 통해서 보다 창의적인 젠텡글 아트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디지털 아트의 저작도구를 활용한 제작 방식과 한국 전통문양의 형태별 분류인 식물문(食物紋)의 상징성(symbol)을 응용하여 전통문양과 젠탱글 아트가 융합된 디자인을 연구하고 기호학의 관점에서 연구 및 분석했으며 그에 따른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향후에는 제작자를 중심으로 젠탱글 아트 작품 제작 시 발생하는 특유의 몰입감과 심리적 현상을 연구할 예정이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젠텡글 아티스트 및 연구자들에게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확장성과 산업적 가치를 제시할 계획이다.

한국 전통 버선본집 자수문양 콘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of embroidery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Beoseonbongips)

  • 홍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705-725
    • /
    • 2015
  • A Beoseonbongip is a pouch that holds patterns for making Beoseon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esthetic and symbolic contents of the embroidery patterns by analyzing the kind, combination types,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patterns. In total, 140 Beoseonbongip artifacts, which were mostly made in the Joseon Dynasty,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bout 83% of the total had flower patterns. Various kinds of embroidery patterns used for Beoseonbongips were newly identified. About 73% of the total had different kinds of patterns. Pattern combination types were identified by the kinds of patterns, the number of paired patterns, and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s used. The patterns of Beoseonbongips were expressed schematically more than realistically or abstractly. Beoseonbongips with different patterns on the four triangle tips of the front face and Beoseonbongips with the same/similar patterns on two opposite tips of the front face were observed more than the other types. On the back face, the embroidery patterns were symmetrically arranged, showing various division structures. It was inferred that wishes (e.g., marital harmony, fertility, good health and longevity, happiness, and wealth and fame) were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patterns embroidered on the Beoseonbongips. In terms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e union with nature, the harmony of yin and yang, symmetric balance, and neatness were also emphasized as a esthetic characteristics of Beoseonbongips.

경복궁 자경전 꽃담에 나타난 화훼식물과 상징성 (Symbolism of the Plants Depicted in the Flower Wall of Jagyeongjeon at Gyeongbokgung)

  • 권민형;송인정;박천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75-82
    • /
    • 2012
  • 경복궁 자경전 서쪽 꽃담 도상에 나타난 주소재의 화훼종류와 상징성을 알아보기 위해 2010년 7월~2011년 3월까지 도상에 그려져 있는 식물을 원예학적인 식물 분류를 통하여 식물종류와 상징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상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번호를 붙여서 1부터 8까지 그림을 분석한 결과 도상 1은 매화, 2는 복숭아, 3은 모란, 4는 석류, 5와 6은 국화. 7은 진달래, 8은 대나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8종의 상징성은 장수 4회, 다산 3회, 지조와 절개 2개, 부귀, 화목 1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조 왕실의 단명을 장수의 꽃으로 표현하면서 손이 귀한 왕실의 현상에 비추어 다산의 의미를 주어 조선왕조의 영원함을 상징적으로 취한 표현으로 본다. 그러나 세속의 변화에도 지조가 있는 왕가를 원했던 상징성도 있다. 동반소재로는 새와 보름달 각 1회, 나비 가 5회로 나타났는데 여기서 새와 나비는 자유분방함과 화목을 의미하여 궁궐에 여인들이 자유롭게 사랑하면서도 화목한 나비 같은 왕실의 가족관계를 갖기를 원한 것으로 상징성을 볼 수가 있었다. 도상에 나타난 나무들은 양화소록에 근거해보면 모두 1-2등급의 식물이 그려져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대한제국 1900년(광무(光武)4) 문관대례복 제도와 무궁화 문양의 상징성 (The Institution of Court Costume in the Year 1900 (the 4th Year of Korean Empire Gwangmu) and the Symbolism of Mugunghwa, the Rose of Sharon Pattern)

  • 이경미
    • 복식
    • /
    • 제60권3호
    • /
    • pp.123-13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templating and substantiating Korean Empire's court costume through relics and photos. Additionally, the meaning of the pattern of Mugunghwa as the national symbol in the court costume is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a phased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court costume was executed through Ulmi Reformation in 1895 and Court Costume Rule in 1900. U1mi Reformation was characterized by transitional reformation because newly introduced system and traditional costume consolidated in costume. Under Court Costume Rule, however, by accepting western-style on contemporary costume, modernized style was settled in every respect of form and matter. The court costume comprised bicorn, coat, vest, pantaloon, sword, sword belt, white collar and white gloves at audience with the Emperor. Second, by examination of the relics of Chigimgwan and Juimgwa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rt costume was manufactured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Russia on the basis of order. It was also identified by pictures that court costume was worn by diplomats dispatched. Third, the pattern of Mugunghwa in court costume was featured by embroidery of 6 petal pattern. And the pattern of Mugunghwa, as national symbol, has important meaning in view of history and national affection, while Japanese and European adopted the crest of the royal household. In summary, Korean Empire proclaimed modernized court costume institution to handle international relationship driven by West. It was uneasy reformation in adopting western court costume imported from overseas because its textile and style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ostume. However, the willingness of Korean Empire should be reevaluated in the history of Korean costume, in that Korean Empire established court costume proclaimed its sovereignty domestically and overseas, and that the pattern chosen as national symbol was that of Mugunghwa which is current national flower.

다뉴경(多鈕鏡) 문양의 기하학적 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A study on textile design utilizing geometric elements of Danyugyung)

  • 이의정;강경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1-96
    • /
    • 2019
  • The study intends to seek the creative idea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individual consumers by rediscovering the modern meaning and the artistic value of geometric ornaments engraved on the backside of Danyugyung,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pattern. In terms of the study method, the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anyugyung were determined, and the form of its pattern and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Photoshop and illustrations were used to apply the shapes of Danyugyung and internal patterns to the textile design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Danyugyung was associated with the bronze mirror, which was us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and was the product of artistic activities and an object and acted as a shamanistic and authoritative symbol of the ruling parties, which were responsible for the acts related to the spiritual world.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forms of Danyugyung were classified into Jomungyung and Semungyung in accordance with Forms of Danyugyung (造飾), and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geometric ornaments that were engraved in great detail on the backside could be found in the images which chang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inner patterns. Thirdly,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designs utilizing the shape and inner patterns of Danyugyung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it was could discover that the simple shape of Danyugyung presented a value which can be applied as a unique design factor delivering a visual rhythm by attempting to create various harmonies overlapping lines engraved on the inner patterns and the shapes of Danyugyun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outcomes,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at Danyugyung can be used as a novel motif and as a standard unit of patterns for textile design. With future studies, I would like to utilize the unique and diverse images as pattern motif for textile design.

전통주술문양의 시각적 분석을 통한 한국적 캐릭터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Korean style character design through the visual analysis on traditional magic pattern)

  • 신승택;이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35-144
    • /
    • 2001
  • 우리의 전통문화 유산에서 새롭게 디자인 모티브를 발굴하고 시각적으로 상징화하는 연구는 과거의 것과 현대의 것을 융합시키므로써 형태와 미학의 조화 속에 새로운 한국적 디자인을 창조하는 일이며, 미래의 가치를 찾는 작업이고, 새로운 전통 문화를 만드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 전통상징문양과 12지신 캐릭터에서 디자인 모티브를 발굴하고, 전통과 현대의 이미지를 접목하여 참신하고 세련된 감각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캐릭터에 대한 표현연구를 통해 독특한 한국적 캐릭터를 개발하여 이를 현대 디자인에 다양하고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는 전통상징문양의 시각적인 효과와 캐릭터 개발만이 아닌,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요소로 정체성과 독창성을 표현하여 외래문화 속에서 우리의 한국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찾고 한국적 디자인으로 미래의 세계시장에서 새로운 국가경쟁력을 갖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 PDF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테이블웨어 디자인개발 연구 (A Study on the Tableware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 유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75-480
    • /
    • 2014
  • 대상을 상징하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은 조형표현에 있어서 20세기 이후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패턴의 단순하고 간결한 형태는 외형뿐만 아니라 문양 장식을 통하여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출하고 있다. 기하학적 패턴의 문양장식은 단순화되고, 이성적이며 현대적인 세련미와 잘 어울린다. 이렇듯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문양은 팔각형, 반원, 삼각형,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도형들을 이용하여 단순한 미로 현대인에게 만족감을 준다. 또한, 기하학적 패턴은 규칙적이고 단순명료하여 시각적으로 강렬한 효과를 유도하며 운동감과 속도감이 주는 역동성으로 3차원적 공간감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주목성이라는 특성이 나타나는데 테이블웨어에서도 이러한 기학학적 패턴을 이용한 디자인은 강한 주목성으로 시각적인 즐거움을 준다. 또한 이는 우연성의 요소에 근거해서 만들어지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객관화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반복구성은 테이블웨어를 만드는 많은 디자이너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테이블웨어 디자인을 더욱 더 고급화하여 도자 산업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텍스타일 캐드를 이용한 직물 디자인 -당초문양을 중심으로- (Fabric Pattern Designs utilizing CAD Textile -focus on vine pattern-)

  • 한상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213-223
    • /
    • 2000
  • 현대산업의 주 구성요소인 컴퓨터 자동화는 섬유디자인 분야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패턴을 디자인할 때 수작업에만 의존해 왔던 디자이너들은 디자인과 색채의 다양성과 제작시간의 단축하기 위해 CAD를 디자인 도구로 하여 패턴을 창조하고 그것을 구매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등 컴퓨터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당초무늬는 어느 특정식물을 소재로 패턴화 시킨 것이 아니라 이집트에서 발견된 인동문을 모체로 하여 발전된 공상적인 식물덩굴무늬로서 세계적인 무늬이다. 당초무늬는 줄기를 기준으로 꽃이나 잎이 서로 얽히어 연결됨으로서 아름답고 유연한 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같은 선은 단순하면서도 장식적인 요소가 잘 표현되어 있다. 한국에서 당초문양은 장수와 다남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문양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 사용했으며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당초문양을 패턴의 모티브로 하여 CAD를 이용하여 패턴 디자인함으로써 디자인 개발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 보자기의 장식성 연구 (Korean Wrapping Cloths as a Decorative Art)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83-1896
    • /
    • 2009
  • 이 논문은 조선후기 보자기에 적용된 다양한 장식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음식을 덮는 등 일차적으로는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보자기 제작은 전래된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현세적 기원의 행위이기도 했으며, 또한 조선의 엄격한 유교 윤리 하에서 여성의 창작 욕구가 자유롭게 발현된 생활 속 여흥의 일부이기도 했다. 한국의 보자기에는 조각 잇기, 자수, 회염, 인염, 오려내기 세공 등 다양한 장식 기법이 활용되었다. 조각 잇기 기법이 활용된 조각보에서는 조선 여인들의 절약습관이 돋보이는데 이는 특히 자원의 재활용을 중시하는 오늘날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자수가 놓인 수보에서는 상징적 문양의 표현을 통한 여인들의 소박한 바램이 읽혀진다. 한국 보자기는 회염이나 인염으로 장식되기도 했는데, 이들은 한국 복식 유물에서는 보기 어려운 장식 기법들이다. 농담을 조절한 다양한 색채의 당채 기법이나 단일색의 먹물 채색, 여러 종류의 도안이 새겨진 목판을 이용한 인염 기법 등이 이용되었다. 음식물이 묻지 않게 하기 위해 때로는 기름 종이로 보자기를 만들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지보에는 오려내기 세공이 장식 기법으로 활용되었다. 오려내기 기법의 원리는 스텐실 염색과 비슷하여 이를 또한 섬유제품 디자인에 활용할 수도 있다.

삼국시대 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연구 (백제장신구를 중심으로)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Ornaments in the Three Kingdom Period (Focused on Baekje's ornaments))

  • 신미영;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03-612
    • /
    • 2012
  • 한나라의 전통적 사상은 그 나라의 지리적 환경, 종교사상 등에서 그들의 의식구조를 알 수 있고 유적과 유물의 특성에서 그 나라의 문화 양상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문화역사는 5000년을 자랑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제시대의 문화는 우리역사상 매우 뛰어난 유물들을 창출 하였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고구려, 신라시대의 장신구와보다 백제 특유의 문양과 세공기술에 있어 부드럽고 풍만한 아름다운 곡선미를 추구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제시대의 장신구중 관, 관식, 귀걸이, 목걸이, 뒤꽂이 등을 중심으로 장신구의 조형적 특징과 문양에 나타난 상징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의 장신구를 비교하여 백제장신구를 부각시키기 위해 백제장신구에 대한 자료 수집과 국립부여박물관, 공주박물관, 국내외 전문 서적과 국내 참고문헌 등을 고찰 하였고 논문 등을 통하여 백제 금속공예품의 문양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연구 하였다. 백제시대의 역사는 화려하고 찬란한 예술적 문화를 지니고 있었지만, 후대에 오르면서 역사적 자료나 그 내용을 뒷받침해줄 유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백제문화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백제시대의 장신구는 단순한 장신구로써 만의 기능이 아닌 백제인의 정서와 다양하고 창조적인 정신세계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 속에 문화컨텐츠라는 요소가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백제문화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백제시대 문양을 더욱 연구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조형적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백제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