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인시스템

Search Result 1,84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the Intelligent Control Architecture for Unmanned Autonomous Vehicles (무인자율항체를 위한 지능제어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창민;김용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249-255
    • /
    • 2001
  • 무인자율항체는 자동차, 선박, 잠수함과 같이 인간에 의해 직접 조종되는 유인항체에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능시스템을 배치하여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무인화한 이동체를 말한다. 무인자율항체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인식, 사고, 행위와 같은 인간의 지적능력을 내포한 인공지능시스템이어야 한다. 자율무인잠수정,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는 무인항공기나 무인차량과 같이 빠른 판단과 제어가 요구되는 지능제어시스템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저속무인자율항체에서 가장 주목되는 특성은 주위 환경 변화속도와 운항속도에 따른 긴박감의 차이이다. 고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처리속도에, 저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신뢰성에 비중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의 특성과 기능별 독립성 보장, 반응형 및 인식형 인공지능 기법의 융화 극대화에 촛점을 맞춘 RVC(Reactive Layer - Virtual World - Considerative Layer) 지능시스템 모델을 소개한다.

  • PDF

The Study on Intelligent Control Architecture of Unmanned Autonomous Vehicle (저속무인자율항체 지증제어 아키넥처에 관한 고찰)

  • 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72-175
    • /
    • 2000
  • 무인자율항체는 자동차, 선박, 잠수함과 같이 인간에 의해 직접 조종되는 유인항체에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능시스템을 배치하여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무인화한 이동체를 말한다. 무인자율항체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인식, 사고, 행위와 같은 인간의 지적능력을 내포한 인공지능시스템이어야 한다. 자율무인잠수정,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는 무인항공기나 무인차량과 같이 빠른 판단과 제어가 요구되는 지능제어시스템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저속무인자율항체에서 가장 주목되는 특성은 주위 환경 변화속도와 운항속도에 따른 긴박감의 차이이다. 고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처리속도에, 저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신뢰성에 비중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의 특성과 기능별 독립성 보장, 반응형 및 인식형 인공지능 기법의 융화 극대화에 촛점을 맞춘 RVC(Reactive Layer-Virtual World-Congnitive Layer) 지능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 PDF

물류수송을 위한 무인 시스템 기술동향

  • Jo, Seong-Uk;Jeong, Yeon-Deuk;Sim, Hyeon-Cheol
    • ICROS
    • /
    • v.20 no.4
    • /
    • pp.27-36
    • /
    • 2014
  • 무인항공기 유도 및 제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군사용 목적을 넘어 민간분야에서의 활용과 관련된 연구 및 개발을 더욱 촉발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물류수송을 위한 상업용 무인항공기 기술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개발되고 있는 물류수송용 무인항공기에 대한 기술동향과 국내 실정에 적합한 무인시스템을 제안한다.

무선인터넷 기반의 소형무인선 개발

  • Kim, Hyo-Il;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
    • /
    • 2011
  • 최근 많은 분야에 무인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초기에는 산업분야에서 인간이 하기 힘들거나 위험한 작업을 대신하는 단순 반복적인 자동화기술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통신 기술발달에 힘입어 무인자동차, 무인항공기, 무인잠수정, 무인선박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자율형 소형무인선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인터넷기반의 무선통신제어, 동력 추진 조타 냉각시스템, GPS 영상 헤딩센서 등 센싱시스템, 자율운항을 위한 제어기설계, GUI 등을 연구하였다. 아울러, 해상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ROV Control System Real-time Component Design for Reconstruction (무인 수중 건설 로봇 재구성을 위한 관제 시스템 실시간 컴포넌트 설계)

  • Kim, Chang-Deok;Y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85-687
    • /
    • 2017
  • 최근 공중, 지상에 대해 무인 시스템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해양 분야에 대해서도 무인시스템이 발전함으로 인해 사람의 힘을 빌려 작업하기에는 많은 위험도와 각종 변수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건설, 케이블 매설, 해양 관측에 대해 무인 로봇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 시스템의 발전을 하드웨어는 빠르게 발전하여 컴포넌트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런 하드웨어의 발전에 맞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Portable GCS for UAV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통제 시스템 개발)

  • Choe, Seong-Min;Park, Beom-Jin;Kim, Jung-U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47-49
    • /
    • 2015
  • 무인항공기는 일반 유인항공기와는 다르게 크기의 제한이 없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무인항공기는 적은 인원의 투입으로도 항공기 각 분야의 검증이 가능하므로 소형화된 무인기는 여러 회사 및 연구원 학교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항공기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 운영요원의 숫자 또한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운영이 가능한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통제 시스템의 요구가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주우연구원의 소형 무인기를 운영하기 위해 개발한 이동형 무인항공기 지상관제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 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Large Scale Information KIOSK System (대규모 무인안내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 Jung, Yung-Eun;Kim, Soon-Yong;Lee, Won-Chun;Jang,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377-1380
    • /
    • 2000
  • 컴퓨터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등의 발전으로 사람의 업무 영역을 컴퓨터가 대신하는 분야는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가 무인안내 시스템 (Information KIOSK System) 이다. 무인안내시스템은 사람을 대신해서 또는 사람이 할 수 없었던 정보의 전달을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손쉽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24 시간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새로운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고 운영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개발 초기에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아직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에 친숙하지 못함에도 활용하는 사례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전으로 더욱 빠른 속도로 유인안내소를 대치하고 있다. 무인안내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많은 연구논문과 기술문서 등이 존재하지만 무인안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에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이 많이 있으며 특히 대규모의 무인안내시스템의 경우에는 여러 분야에 관한 노하우(Know-how)가 필요하지만, 공학적인 측면의 일반적인 내용을 언급한 문서들만이 존재하며 운영에 필요한 현실적인 문서는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인 무인안내시스템의 운영을 위하여 대규모의 무인안내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살펴보았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dynamic positioning(DP) system and model testing for performance estimation on katamaran type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t open sea (무인쌍동선의 실해역 DP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모형시험 검증 기법 개발)

  • Hyung-Do Song;Seok-Kyu Cho;Nam-Su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88-188
    • /
    • 2022
  • 선박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무인 운용체계는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무인수상선과 무인수중체의(USV-AUV)의 복합 운용 분야는 그 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심해저 탐사 및 특수 임무 활용에 용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형태인 무인수상선이 모선이 되고 무인수중체가 결합하여 충전하고 다시 진수하여 원거리 및 심해저 조건에서 무인수중체가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USV-AUV의 docking을 위한 DP 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무인쌍동선과 추진 시스템을 활용하여 모형시험을 통해 검증한 D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성 제부도 앞바다에서 실선 D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 해역에서의 DP 시스템 테스트는 정확한 환경 조건의 계측 및 구현이 어려워 모형시험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정성적으로 DP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Methodology for Small Civil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based on Open System Architecture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처 기반의 소형 민간 무인항공기 시스템 개발 및 검증 방법)

  • Jo, Hyun-Chul;Park, Keunyou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8 no.2
    • /
    • pp.32-43
    • /
    • 2020
  • The Unmanned Aerial Vehicle(UAV) system has been mainly used for military domains, but it also widely applied to used in the civilian domains. In civilian domains, low-cost and small-sized UAV systems are mainly applied in various industries. The software that operates UAV systems has a lot of common functions. However, even though there are many common functionalities of the software, changing the devices may cause a problem requiring software modification. These problems degrade interoperability, modularity and portability in UAV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 Open System Architecture(OSA)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UAV system software architecture based on Future Airborne Capability Environment(FACE) standard. Our system can support UAV systems of various platforms in the civilian domains, which is supplied in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And it has the advantages of software consolidation and portability. Finally, We describe the development and conformant methodology of the software based on the FACE standard using open development tools.

  • PDF

Path planning in AUV Intelligent Control system using relative grid unit coordinate model (자율무인잠수정 지능제어시스템의 상대적 격자좌표 모형을 이용한 경로설정)

  • 민종수;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347-350
    • /
    • 1999
  • 자율무인잠수정은 자율운항을 위해서 자동화된 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제어시스템은 기능적 측면에서 임무계획단계(mission planning level), 임무제어단계(mission control level), 선체제어단계(vehicle control level)로 구분한다. 자율무인잠수정의 효과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임무제어단계의 운행 경로 설정과 제어가 중요하다. 자율무인잠수정은 잠수정의 주변환경을 추상화한 후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검색기법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추상화된 탐색모형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탐색모형으로는 3차원 격자절대좌표 모형(3-dimensional grid unit coordinate model)[1]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모형은 불필요한 동작의 반복, 이동 격자에 따른 비일관성과 같은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의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자유무인잠수정의 위치 기반 상대적 격자좌표 모형(relative grid unit coordinate model based on AUV state)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