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가온재배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overing system of thermal tunnels in non-heating plastic film greenhouse (무가온 비닐온실의 터널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개발)

  • 이기명;박규식;최원환;남상헌;안상화;양희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26-331
    • /
    • 1999
  • 1997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시설재배면적은 47,264㏊이며 이 중 85%인 40,000㏊ 정도가 무가온 단동비닐온실이다. 이런 단동온실은 난방을 하지 않고 그림 1과 같이 보온덮개를 사용하는 무가온 재배를 하고 있으며, 온실내에 보온덮개를 덮기 위한 터널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터널의 설치에 사용되는 골조는 강선 또는 FRP재로 길이는 1.8-2.4m이고, 터널폭은 0.9-l.2m 정도로 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 of Different Cultivar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 in Jeju Island (제주지역에서 오크라 무가온 재배에 따른 품종별 특성)

  • Kim, Chun-Hwan;Ahn, Yul-Kyun;Seong, Ki-Cheol;Lee, Jin-Su;Song, Uen-Young;Kim, Seong-Cheong;Moon, Doo-Kyo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1
    • /
    • pp.40-4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ethod of producing okra in the plastic house and the 11 cultivar of okra were planted in plastic house for selecting proper cultivar in Korea. As result of observing growth, commercial cultivar germinated better than wild collected. The germination rate in 'No 1', 'No 4' and 'No 5' were better than in 'No 2' and 'No 3'. The plant height of 'No. 4', which is one of wild collected, showed biggest plant height moreover 'Greensode'. The numbers of node, which could indicate to set fruit, showed 4.2~6.5 per plant in most cultivar and 'No 2' and 'No 5' could yield more than others. 'Greensode' was planted in plastic house for finding out suitable planting method. The seeds were soaked could germinate 100% and those were taken 8 days for germinating but control seeds needed 15 days to germinate. The yield of 'Greensode' which was planted in $45{\times}75cm$ with planted 3 and 4 per hill could best produce in plastic house.

Effect of Soil Heating on Lateral Shooting in White Spined Cucumber. (지중가온이 백침계 오이의 측지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상규;성기철;김광용;고관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04b
    • /
    • pp.71-72
    • /
    • 2001
  • 최근 수출오이의 재배 면적이 계속증가 추세에 있어 '99년 현재 143ha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오이는 국내 오이와 재배방법이 상당히 달라 국내 오이는 주지착과형이지만 수출오이는 측지착과형으로 측지의 발생여부에 따라 수확량의 차이가 심하다. 따라서 수출오이의 성공여부는 측지발생을 어느정도 시키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수출오이의 재배시기는 우리나라에서 재배환경이 가장 불량한 겨울철(10-2월)로, 저온 및 투광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측지발생율이 매우 저조하다. 따라서 본 시험은 수출오이의 측지 발생율을 높이고자 지중가온기 설치 여부에 따른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육(Table 1)은 접수의 줄기 직경이 지중가온 처리시 10.22mm로, 무가온의 8.64mm보다 굵었고, 엽장과 엽폭에 있어서도 지중가온 처리가 무가온 처리보다 좋았다. 곡과 발생수에 있어서도 지중가온 처리는 주당 0.73개가 발생하였으나, 무가온은 1.26개가 발생되어 지중가온 처리시 무가온에 비해서 생육이 좋아지고, 곡과 발생이 적었다. 주당 측지발생수(Table 2)는 지중가온구가 13.7개였고, 무가온구는 11.7개로 지중가온을 하면 측지발생수가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상품수확과수에 있어서도 지중가온구는 주당 45개인데 반해 지중무가온구는 38개였으며 따라서 전체적인 수량이 10a당 8,100kg으로, 무가온구의 6,840kg보다 18%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수출오이재배시 지중가온을 하면, 측지발생수가 증가하고 특히 장측지(Fig. 1)가 다수 발생하여 측지 수확과수가 증가하며, 곡과 등 기형과 발생이 감소하여 상품수량이 증가되므로써 기존 지중 무가온 재배에 비해 14% 소득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시 생장이 둔화되었다. 밀폐시킨 삼각플라스크에서 자라는 Cell은 상태도 좋지 않고 전반적인 증식량도 적었다. Cell은 환기정도에 민감한 것으로 판단되며 삼각플라스크에서 약 35일 정도의 생장 주기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배양 3주까지는 플라스틱 뚜껑으로 밀폐시킨 bottle에서 가장 많은 체세포배를 얻었다. Air filter를 달아 2일 마다 신선한 공기를 넣어 주었을 때는 배의 발달이 많이 늦어져 배양 3주째에 다른 처리보다 배의 수가 훨씬 적었다. 체세포배가 발달하는 동안에는 산소를 많이 요구하지 않으나 성숙하는 동안에는 산소를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곡선형은 물론 직선형에서도 열교환 튜브의 배치밀도, 튜브 길이 및 두께 등의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에서 제공된 API는 객체기반 제작/편집 도구에 응용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사용되었다.x factorization (NMF), generative topographic mapping (GTM)의 구조와 학습 및 추론알고리즘을소개하고 이를 DNA칩 데이터 분석 평가 대회인 CAMDA-2000과 CAMDA-2001에서 사용된cancer diagnosis 문제와 gene-drug dependency analysis 문제에 적용한 결과를 살펴본다.0$\mu$M이 적당하며, 초기배발달을 유기할 때의 효과적인 cysteamine의 농도는 25~50$\mu$M인 것으로 판단된다.N)A(N)/N을 제시하였다(A(N)=N에 대한 A값). 위의 실험식을 사용하여 헝가리산 Zempleni 시료(15%$S_{XRD}$)의 기본입자분포로부터 %$S_{XRD}

  • PDF

Technical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Good Quality and Standardization of Overwintering Cauliflower and Broccoli in Subtropical Cheju (난지 월동 꽃양배추 밑 녹색꽃양배추의 고품질 규격품 생산 기술 개발)

  • 박용봉;지성한;안동혁;장전익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7 no.3
    • /
    • pp.191-205
    • /
    • 1998
  • Among cauliflower, ‘Snow king’ and ‘Snow crown’, which are early maturing cultivars, showed active early vegetative growth. However, ‘Snow dress’ showed good curd characteristics and in marketability, ‘Green beauty’was superior and can also be grown in Cheju. All the cauliflower and broccoli Plots transplanted on Sep. 3 and on Sep. 17 had fewer number of days from the planting date to the harvesting date than did the plots transplanted on Oct. 1. h the case of broccoli, those transplanted on Oct. 1 had the highest marketability. In the case of cauliflower cultivars, ‘Snow dress’a late maturing cultivar, demonstrated the greatest reduction in growing stage when cultivated in an unheated plastic film houses and broccoli, growing stage is similar between those grown in an open field and those grown in unheated plastic film houses. For all the cauliflower and broccoli, the contents of vitamin A and 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grown in an open field and those grown in unheated plastic film houses.

  • PDF

Effect on fruit coloration for double harvesting by flowering period of passionfruit(Passiflora edulis) in non-heating plastic house cultivation (패션프루트 무가온하우스 재배의 후기 수분시기가 착색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ok;Lee, Somi;Cho, Kyung-chul;Kim, Byung-sam;Hwang, In-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78-78
    • /
    • 2018
  •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는 브라질이 원산지이며 아열대와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상록덩굴식물로 시계꽃과(Passifloraceae) 시계꽃속(Passiflora)에 속한다. 전 세계적으로 500여종이 분포하고 그 중 10여종은 식용, 나머지는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전남지역 재배에 적합한 대체 아열대과수 개발이 필요하다. 패션프루트는 겨울 최저온도가 $3^{\circ}C$이상 조건에서 재배 가능하여 남부 지역는 무가온 하우스재배를 하고 있지만 시설내 6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35^{\circ}C$ 이상 고온이 지속되어 과실을 볼 수 없다. 8월 하순부터 피는 꽃은 인공수분으로 착과되어 11월부터 수확이 가능하지만 이후에 낮은 온도($10^{\circ}C$이하)로 착색이 진행되지 않아서 동해피해로 수확을 포기해야 한다. 어느 시기까지 인공수분을 해야 당년에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고자 패션프루트의 후기(2차) 개화시기 중에서 8월 30일, 9월 10일, 9월 20일, 9월 30일에 인공수분 하여 11월 하순에 착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처리를 조사한 결과 8월 30일 처리구만 11월 21일 착색이 되었다. 미착색과에서 내용물이 진노랑색으로 진행되면 후숙하여 상품과로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노랑색에 도달한 시기를 조사하였다. 조사에서 9월 10일까지 인공수분 처리한 과실은 후숙하여 상품과로 판매가 가능하였다.

  • PDF

Selection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for N on-Heated Cultivation in Jeju Island (제주지역에서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에 적합한 아티초크 품종 선발)

  • Seong, Ki-Cheol;Kim, Chun-Hwan;Lee, Jin-Su;Um, Young-Cheol;Kang, Kyong-He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7 no.4
    • /
    • pp.293-296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to select artichoke (Cynara scolymus L.) varieties that can be cultivated in non-heated greenhouse during winter in Jeju Island in Korea. Artichoke varieties namely, 'Purple Romagna' (Neseed Co.), 'Imperial Star' (Keithley Williams Seed Co.), 'Green Globe' (Park Seed Co.), 'Emerald' (Ferry-morse Seed Co.), 'Italian' (Unknown), and 'Carciofo Di Romagna' (Lortolano), were raised in a plug tray with 72 cells for two months and transplanted in a non-heated greenhouse on October 5, 2004. The first harvesting of 'Emerald' and 'Imperial Star' were the earliest and April 26 and 27, 2005 respectively. Most of the varieties were harvested from early May to June 2005. The number of head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Green Globe' with more than five heads and the lowest were recorded in 'Italian' with one head or less. The weight of heads per plant was more than 228 g in 'Purple Romagna', 'Imperial Star' and 'Green Globe'. The highest yield was in 'Green Globe' with 2,172 kg/10a, followed by 'Imperial Star' with 1,947 kg/10a.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Green Globe' and 'Imperial Star' are adequate for the high-yield cultivation in non-heated greenhouse in Jeju Island. They can be harvested from the April to June when cultivated from the early October of the previous year.

Effects of Irrigation Point and Amount of Water Applied on Yield and Quality in Oriental Mel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관수개시점과 관수량이 시설재배 참외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박동금;권준국;이재한;엄영철;김회태;박권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6.10a
    • /
    • pp.60-63
    • /
    • 1996
  • 참외의 시설재배는 초기에 소형 턴넬재배로 부터 시작하여 '95년 현재 전체 재배면적 11,999㏊ 가운데 시설재배가 81.2%인 9,745㏊에 달하여 시설재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그 재배시설은 대부분 단동하우스내에서 소형턴넬을 이용하는 무가온 보은재배형태이기 때문에 환경관리가 부적절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고당도 신품종보급과 함께 연중 생산ㆍ소비추세의 영향으로 (중략)

  • PDF

Effect of Lavor-saving Opening and Shutting of Thermal Screen on Growth of Tomato in Greenhouse (보온커튼의 성력개폐가 토마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조삼증;조일환;허노열;권영삼;김성봉;김진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5.10a
    • /
    • pp.52-53
    • /
    • 1995
  • 우리나라에서 원예생산시설의 형태는 아취형과 터널형이 '94년에 전체 시설면적 37,800ha중 98%를 차지하고 있고, 난방방법에 있어서는 무가온재배가 83%이고 가온재배가 16%로서 아직도 거의가 환경관리에 많은 인력을 요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농가인구에 있어서는 매년 감소하여 현재는 11%로 양적으로 줄었고 질적으로도 노동연령의 고령화로 점차 열악해지고 있으며 반면에 소비자의 수요욕구는 고급화하며 외국의 수입개방 압력은 높아져서 시설재배시 기계화와 정밀한 환경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Effect of the Covering Method of Simple Ventilating Cover Material on Growth and Development, Yield, Quality in the Leaf Lettuce during Low Temperature (통기성 간이피복재의 피복방법이 저온기에 잎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안종길;빈기효홍;최영환;손병구;강점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96-101
    • /
    • 2001
  • 동계의 노지 및 무가온 시설재배시에 상추와 시금치 등의 엽채류 재배는 생육이 거의 정지되는 온도에서 재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온기의 불량환경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어 저온성 엽채류에 직접 피복할 수 있는 통기성 피복자재가 개발되어 생육촉진이나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나 피복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중략)

  • PDF

Bush Growth and Yield of Highbush Blueberry 'Duke' as Influenced by Different Pruning Times in Unheated Plastic House (블루베리 '듀크' 품종의 무가온 시설재배시 전정시기가 수체생장과 과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 Cheon, Mi Geon;Lee, Seo Hyoun;Park, Kyung Mi;Choi, Seong-Tae;Hwang, Yeon Hyeon;Chang, Young Ho;Kim, Jin Goo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0 no.3
    • /
    • pp.212-217
    • /
    • 202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effects of summer pruning at different times and dormant pruning on shoot growth and yield of northern highbush blueberry. Using 7 (2018) to 9 (2020) years old 'Duke' bushes grown in 180 L containers, summer pruning was treated on June 20 (around 30 days after harvest), July 20, and August 20 consecutively in both 2018 and 2019 removing 30% of the total woods, while dormant pruning (conventional) was on January 20 in both 2019 and 2020. Summer pruning reduced shoot growth the following year, especially when treated in late summer. Total shoot length per bush decreased to 47%, 37%, and 33% on October 15, 2020 in June, July, and August prunin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dormant pruning. Summer pruning at different times in 2018 and 2019 did not affect berry characteristic in the following year. Yield per bush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2019, but it decreased by 21 to 38% in 2020 in the summer pruning treatments compared with 2.9 kg of the dormant pruning. It was concluded that consecutive summer pruning in 'Duke' under unheated plastic house could weaken the shoot growth with reducing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