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못

검색결과 7,737건 처리시간 0.029초

자연복원하천구간에 있어서 못의 일중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urnal Change of Water Quality in the Pool Managed by the Nature-Friendly River Work (1))

  • 강상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4호
    • /
    • pp.281-287
    • /
    • 2002
  • 자연친화적 하천사업에 있어서 못은 하천환경을 구성하는데 기본단위이나 수환경상의 기능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못의 수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 자료를 토대로 한 일중 수질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못의 하천환경에 대하여 물리적, 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못에 있어서 일중 수질은 혼합의 정도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이러한 모의실험 결과는 향후 못의 조성에 따른 자료수집이나 일차 생산력을 이해하는데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무못 유지력에 나무못의 건조가 미치는 영향 (The Withdrawal Loads on The Effect of Dried Wooden Dowel)

  • 차재경;김범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13-621
    • /
    • 2017
  • 본 연구는 건조된 나무못이 유지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실험블록은 두께가 15 mm인 소나무와 잣나무 목재 및 파티클보드로 제작했다. 직경이 6, 8 및 10 mm인 나무못은 밤나무, 잣나무 및 백합나무 목재로 각각 제작한 다음 전건시켜 사용했다. 연구결과 나무못 직경이 증가하면 유지력은 증가했지만, 유지력 강도는 감소했다. 건조된 나무못의 유지력은 일반적인 조건의 나무못의 유지력보다 잣나무목재 실험블록에 직경이 10 mm인 백합나무 목재로 만든 나무못을 제외하고 10% 이상 증가를 보였다. 유지력 강도는 모든 수종의 나무못 직경과 실험블록에서 10% 이상 증가를 보였다. 파티클보드 실험블록에 건조된 나무못의 유지력과 유지력 강도는 각각 6~14.2%와 6.2%~18.2% 증가를 보였다.

나선형 철선못 접합부의 항복내력 및 강성 예측 (Estimation of Yield strength and Slip Modulus for Helically Threaded Nail Connection)

  • 황권환;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24-530
    • /
    • 2009
  • 기둥-보 구조와 경골목구조가 혼합된 공법은 경골목구조가 심벽 또는 평벽 요소로써 구조내력성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경골목구조의 수평전단내력성능은 면재에 대한 못접합부의 전단성능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으며, 못접합부는 못의 휨내력성능을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못접합에 의한 내력벽의 항복내력과 벽체 강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못의 휨내력성능을 이용한 못접합부의 항복내력 및 접합계수(초기강성)를 검토하였다. 못접합부 내력성능 예측에는 각각의 주부재에 대해 일반 지압내력 및 지압강성을 이용하고, 파스너인 나선형 철선못의 휨시험에 의한 휨항복내력성능을 이용하였다. 홈가공부의 지름에 의한 항복내력은 예측 정밀성이 우수하였으나, 접합계수는 낮게 예측되었다. 그 원인으로 주부재에서는 비중의 영향, 측면부재에서는 못머리지름에 의한 인발, 접합부에서는 못머리부의 지압 및 모멘트저항 등이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차후 검토가 요구된다.

오에스비에 대한 각종 부재의 못전단성능 (Nail Shear Performance of Structural Members with OSB)

  • 황권환;박문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66-76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급격히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낙엽송과 북미산 SPF(spruce-pine-fir) 규격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이용에 있어서 가장 간단하면서 많이 이용되는 파스너(fastener)인 못을 이용한 접합에 대해 그 전단성능을 검토하였다. 못접합은 특히 경골목구조(light frame construction)에서는 최적의 시공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북미와 일본을 중심으로 못접합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현재 국내의 경골목구조와 기둥-보 공법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구조부재(축재와 면재)의 못을 이용한 못접합부에 대해 그 전단성능의 기초적인 검토를 행하였다. 못접합부는 면재를 개입한 상태에서 주부재와 측면부재의 방향성에 따라 구분하여 주부재의 방향, 측면부재의 방향, 못의 종류에 따라 전단시험을 행하여 각각의 방향에 따른 못접합부의 전단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SPF 스터드재에 있어서는 낙엽송 집성재나 낙엽송 소재에 비해 못의 종류, 주부재와 면재의 방향성에 따른 전단성능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복내력 및 최대내력과 접합계수와의 관계는 부재간의 배치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국산재에 대한 나무못 직경과 천공 여척이 나무못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ameter and Prehole Clearance for Wooden Dowel on The Withdrawal Loads of Domestic Wood)

  • 차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36-742
    • /
    • 2016
  • 나무못은 다양한 구조물의 목재부재들을 연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국산재의 나무못 유지력에 대한 자료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나무못의 직경과 천공여척이 유지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실험 블록은 두께 15 mm인 소나무와 잣나무 목재로 제작했다. 6, 8 및 10 mm 직경인 나무못은 밤나무, 잣나무 및 백합나무 목재로 각각 제작했다. 연구결과 나무못 직경이 증가하면 유지력은 선형으로 증가했지만 유지력 강도는 감소했다. 본 연구는 또한 천공여척이 작아질수록 유지력과 유지력 강도도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제주도 동백동산에 성립된 습지의 유형과 식생 (Type and vegetation of the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a southern island of Korea)

  • 정성희;임봉순;조용찬;김진석;이창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93
    • /
    • 2018
  • 동백동산 습지는 못과 한시적 못으로 구분되었다. 어리연꽃군락, 흑삼릉군락,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 송이고랭이군락, 물고추나물군락, 청비녀골풀군락, 진땅고추풀군락, 중대가리풀군락, 수궁초군락, 기장대풀군락 및 참느릅나무군락의 11개 식물군락이 성립해 있다. 어리연꽃 군락은 동백동산입구에 위치한 한 못에 성립해 있고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은 그 못의 가장자리에 성립해 있다. 흑삼릉군락은 수심이 비교적 낮은 인근의 못에 성립해 있고 그 못의 가장자리에도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이 성립해 있다. 한시적 못은 과거 식수원으로 사용되었고 일부에서는 가축의 물먹이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 송이고랭이군락은 그 못의 중심으로서 가장 습한 곳에 성립하고 청비녀골풀군락-진땅고추풀군락-물고추나물군락 및 수궁초군락이 그곳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동심원 구조로 성립해 있다. 참느릅나무군락은 상대적으로 더 건조한 한시적 못에 성립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한시적 못에 대해 처음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부분의 식생유형은 습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다른 새로운 유형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

백두산 천지 붕괴 가상 시나리오 별 천지못 유출수의 피해영향범위 예측 (Prediction of the Area Inundated by Lake Effluent According to Hypothetical Collapse Scenarios of Cheonji Ground at Mt. Baekdu)

  • 서장원;이희욱;김성민;박형동
    • 지질공학
    • /
    • 제23권4호
    • /
    • pp.409-4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 분화 전 지반 균열 및 거동에 의한 천지못 지반 붕괴 시나리오 별 천지못 유출수의 이동경로와 홍수 피해영향범위를 시계열로 예측하였다. 지형 지표 기상 환경 자료를 기반으로 다방향 흐름기법, 지표토양에 의한 흡수율과 초기저장량, 화구 및 분지 지형의 부피(저장공간)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수문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백두산 지역의 화산군 분포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4가지 경우의 천지못 지반 붕괴 지점을 가상으로 선정하고,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천지못 유출수의 확산패턴과 시간 변화에 따른 피해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시나리오 1과 2(천지못 전체/남쪽 경계 지반 붕괴)의 경우 천지못 유출 약 3시간 경과 후부터 중국쪽 마을에 홍수피해가 발생한 반면 북한 영토는 천지못 남동쪽에 위치한 산봉우리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나리오 2의 조건에 천지못 남동쪽 산봉우리를 붕괴시킨 시나리오 3과 4의 경우에는 천지못 유출 약 3시간 경과 후부터 중국뿐만 아니라 북한 영토쪽 마을에도 1,500만톤 이상의 홍수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자못 전설'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민속의 현대적 계승 (Modern Succession for Folk Lore through the Creation of Culture Contents of 'Jangjamot Legend')

  • 이규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20-231
    • /
    • 2010
  • 이 연구는 '장자못 전설'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콘텐츠 개발을 시도해 봄으로써 민속의 현대적 계승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민간에서 전승된 민속인 설화는 익명의 다중에 의해 향유된 이야기 콘텐츠이다. 특정 연못, 바위의 유래를 알려주는 '장자못 전설'의 원천서사와 문화요소들은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다. '장자못 전설'은 영상콘텐츠로 개발되거나 지역에 따라 축제나 동제의 기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설과 관련된 축제나 대회가 활성화되려면 민속 관광 분야에서 원천서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장자못 전설' 원천서사 보존은 전설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전설에 내재한 각종 문화요소들은 일관되고 효과적인 콘텐츠로 개발되고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설화 등 민속은 현대에도 보편성을 획득하여 계승될 수 있다.

KI-novation - 2009년은 KISA 직원의 전문성 강화의 해

  • 장혁기
    • 정보보호뉴스
    • /
    • 통권137호
    • /
    • pp.12-13
    • /
    • 2009
  •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은 배우자를 찾는데 투자하는 노력과 정성에 비해 그렇게 찾은 좋은 배우자를 유지, 관리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소홀하다고 한다. 조직의 경우도 똑같은 과오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훌륭한 인재를 구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채용절차를 거치지만, 막상 채용을 하고나면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에 무관심해 좋은 인재가 재능을 펼치지 못하고 무기력해지거나, 조직 내에서 비전을 찾지 못하고 이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조직은 무엇을 해야 할까?

  • PDF

OS-X버전 국내공급 차질

  • 이용우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4호
    • /
    • pp.126-129
    • /
    • 2002
  • UNIX 기반의 안정성과 웹과의 호환성이 대폭 향상된 애플코리아의 OS-X버전이 서체공급사와의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OS-X 버전이 CID폰트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CTP장비는 물론 국내 출력시장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시장 진입을 못하고 있어서 그 안타까움이 더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