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n Succession for Folk Lore through the Creation of Culture Contents of 'Jangjamot Legend'

'장자못 전설'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민속의 현대적 계승

  • 이규훈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09.26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the modern succession of folklore by attempting the creation culture contents and looking into the aspects of using 'Jangjamot Legend'. Folk tale which has been handed down among people for many years is that story contents that are enjoyed by anonymous many people. The original narration and the cultural elements of 'Jangjamot Legend' which show the origin of a certain pond and rock can be used for creation of culture contents. The legend has been created the video contents or used the origin of the village ritual and festival in different areas. If the festival and the contest related to the legend is activated, more contents of the original narration will be created by the folklore or tourism.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narration will be easily accessed by the mass about 'Jangjamot Legend'. The cultural elements which are inherent in the legend shall cause the creation of consistent and effective contents. Through these contents creation, folklore will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with the obtain of universality in the modern times.

이 연구는 '장자못 전설'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콘텐츠 개발을 시도해 봄으로써 민속의 현대적 계승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민간에서 전승된 민속인 설화는 익명의 다중에 의해 향유된 이야기 콘텐츠이다. 특정 연못, 바위의 유래를 알려주는 '장자못 전설'의 원천서사와 문화요소들은 문화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다. '장자못 전설'은 영상콘텐츠로 개발되거나 지역에 따라 축제나 동제의 기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전설과 관련된 축제나 대회가 활성화되려면 민속 관광 분야에서 원천서사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장자못 전설' 원천서사 보존은 전설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전설에 내재한 각종 문화요소들은 일관되고 효과적인 콘텐츠로 개발되고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설화 등 민속은 현대에도 보편성을 획득하여 계승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재해, “민속문화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의 논리”, 실천민속학회논문지, 제1집, p.13, 1999.
  2. 신동흔, “민속과 문화원형, 그리고 콘텐츠”, 한국민속학회논문지, 제43집, p.263, 2006.
  3. 황동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논문지, 제14집, p.46, 2003.
  4. 강명희,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및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수업 모형”, 우리문학회 논문지, 제21집, p.19, 2007.
  5. 데이코 D&S, 한국축제연감 2007, 데이코 D&S, p.522, 2008.
  6. http://tour.taebaek.go.kr
  7. http://www.buan.go.kr/02tour/index.jsp
  8. 김형관, “부안지역 당산제의 전승과 전개”, 한국역사민속학회 학술발표문, 2010(2).
  9. Ketelaar, Eric., “Being Digital in People's Archives", Archives and Manuscripts, Vol.31, No.2, p.8, 2003.
  10. 이인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13, 2003.
  11. Rihtman - Augustin, D., Traditional culture, Folklore, and Mass culture in contemporary Yugoslavia, Dorson, ed, p.168, 1978.
  12. 백승국,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p.88, 2006.
  13. 김세천, “문화관광의 개념과 영향”, 문화로 보는 관광학, 소화, p.26, 2002.
  14. 김의숙, “강릉단오제의 근원설화 고찰", 강원민속학회 논문지, 제16집, p.64, 2002.
  15. 대한민국 정책포털 홈페이지.http://korea.kr/newsWeb/pages/brief/partNews2/view.do?dataId=155439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