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초수량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6초

질소시비 수준 및 재생기간이 톨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 and Regrowth Period on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all fescue and Bermudagrass)

  • 박형수;황경준;박남건;김영준;정하연;조남철;고문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0
    • /
    • 2009
  • 본 시험은 질소시비 수준과 재생기간이 툴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 조성과 버뮤다 그라스의 사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제주출장소 시험포장에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톨페스큐의 식물체내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C16:0),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이 총지방산의 87(N-0), 88(N-50), 88(N-100)%를 차지하였으며 질소시비수준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리놀렌산(C18:3)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리놀산(C18:2)은 다른 지방산과 달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의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팔미틱산(C16:0)이 톨페스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은 톨페스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리놀산(C18:2)과 리놀렌산(C18:3)은 톨페스큐와 달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뮤다그라스는 질소시비수준이 높고 재생기간이 증가할수록 건물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조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재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료가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톨페스큐와 버뮤다그라스의 지방산 함량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확 후 재생기간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남으로서 초지를 활용한 CLA 증진축산물을 생산시 가급적 수확 후 재생기간이 짧은 어린 목초를 이용할 수 있는 초종별 적정 예취시기와 방목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각 초종별 계절 및 생육단계가 목초 내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척지(干拓地) 초지조성(草地造成)을 위(爲)한 도입호주품종(導入濠洲品種)의 적응성(適應性) 조사(調査)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Studies on the Adatability of Introduced Species from Australia for Grassland Establishment on Saline Land(Part I))

  • 권순기;이인호;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67-75
    • /
    • 1976
  • 이 시험(試驗)은 간척지(干拓地) 초지조성(草地造成)을 위(爲)해서 내염성(耐鹽性)이 강(强) 목초(牧草)의 품종(品種)을 선택(選擇)코져 1975년(年) 5월(月)부터 1976년(年) 3월(月)까지 호주(濠洲)에서 도입(導入)한 몇가지 품종(品種)을 우리나라 해안지대(海岸地帶)에서 재배(栽培)하여 적응성(適應性)을 조사(調査)한 것이며 그 성적(成績)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의 발아시험(發芽試驗)에 있어서 0.5% 염분함량(鹽分含量)에서는 발아(發芽)에 지장(支障)이 없었으나 1%의 염분함량(鹽分含量)에서는 발아일수(發芽日數)가 연장(延長)되었고 발아율(發芽率)도 떨어졌다. 2. 간척지(干拓地) 재배(栽培)의 결과(結果)는 0.5% 염분함량(鹽分含量)에서 전연(全然) 생육(生育)이 안되었고 0.05% 염분함량(鹽分含量)에서도 생육(生育)에 지장(支障)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結果)는 간척지(干拓地)의 Mg. K ion 등(等)이 상호작용(相乘作用)을 하는 것 같다. 3. 청예수량(靑刈收量)은 무염구(無鹽區)에 비(比)해서 0.05% 염분함량구(鹽分含量區)가 대단(大端)히 떨어지는데 Kikuyu는 30%, Strawberry clover는 60%, Reed canary는 68%, Orchard grass는 86%가 감소(減少)되었다. 4. Kikuyu는 우리나라에서 전연(全然) 월동(越冬)이 불가능(不可能)하며 기타(其他) 품종(品種)은 월동(越冬)에 지장(支障)이 없다. 5. 우리나라 간척지대(干拓地帶)의 야초중(野草中)에서 0.5% 염분함량(鹽分含量)에서도 생육(生育)이 되는 갯겨이삭이 있으며 화본료사료(禾本料飼料)로서 성분(成分)도 우수(優秀)하다고 생각(生覺)되나 생육기간(生育期間)이 5월중순(月中句)부터 9월중순(月中句)까지 4개월간(個月間)이므로 크게 기대(期待)할수 없다. 6. 내염성(耐鹽性)이 강(强)한 목초(牧草)를 선택(選擇)하여 간척지(干拓地) 초지(草地) 조성(造成)을 하기 위해서는 Saltgrass, Saltbush, Shad Scale과 같은 것이나 기타 몇가지 품종(品種)을 계속(繼續) 도입(導入)하여 더욱 연구(硏究)할 필요(必要)가 있다고 생각(生覺)된다.

  • PDF

영년초지에서 돈분뇨의 시용형태가 목초생산, 토양성분 및 용탈수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wine Manure on The Production of Forage, Soi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ching Water in Mixed Grassland)

  • 최기춘;육완방;윤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1-34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돈분뇨의 처리형태가 초지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의 용탈량을 조사하여 친환경적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 진흥연구소내의 초지시험포의 영년초지에서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돈분뇨의 처리형태별로 화학비료 표준구, 돈분액비 100%+N 50%구 및 돈분퇴비 100%+N 50%구로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의 시용에 따른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조단백질, NDF, ADF 및 TDN 함량은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 화학비료구간에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별 토양성분 변화는 돈분퇴비 및 돈분액비구에서 화학비료구보다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 Ca 함량 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영년초지에서 화학비료, 돈분액비 및 돈분퇴비의 시용에 의한 용탈수중 $NO_3$-N 및 $NH_4$-N의 농도는 돈분뇨와 화학비료 시용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NO_3$-N 및 $NH_4$-N 용탈량은 5 ppm 미만으로 변이가 크지 않았다.

톨 페스큐의 종자생산에 관한 연구. II. 휴폭 및 파종량이 톨 페스큐 ( Festuca arundinacea S. ) 의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Seed Production of Festuca arundinacea Schreb II. Effect of ridge and seedin rate on the seed production of Festuca arundinacea S.)

  • 양종성;박근제;권두종;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6-110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톨 페스큐의 채종재배(採種栽培)를 위(爲)한 적당(適當)한 휴폭(畦幅)과 파종량(播種量)을 구명(究明)코자 휴폭(畦幅) 3 수준(水準)(12, 18 및 24cm), 파종량(播種量) 4 방법(方法)(10, 15, 20 및 25kg/ha)으로 분할구(分割區) 4반복(反覆)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79년(年) 9월(月)부터 1981년(年) 10월(月)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1. 톨 페스큐의 출수기(出穗期)는 5월12일이며 개화기(開花期)는 6월 2일경이었고 출수기(出穗期)로부터 채종일(採種日)까지는 약(約) 43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2. $1m^2$당(當) 평균(平均) 이삭수(數)는 휴폭(畦幅) 18cm에 파종량(播種量) 15kg/ha로 한 것이 157개(個)/$m^2$로서 가장 많았으며 채종(採種)된 종자(種子)의 1000립중(粒重)은 10kg/ha의 종자(種子)를 12cm로 조파(條播)한 것이 2,79g로서 가장 무거웠다. 3 2년간(年間)의 평균(平均) 채종량(採種量)은 681kg/ha였으며, 25kg/ha의 종자(種子)를 휴폭(畦幅) 18cm로 조파(條播)한 것은 831kg/ha 로서 가장 많았다. 4 수확(收穫)된 종자(種子)의 평균(平均) 발아율(發芽率)은 90.7% 였으며 이같은 발아율(發芽率)은 파종량(播種量)이 적을수록 높았다. 5. 채종후(採種後) 2회(回) 예취(刈取)한 재생목초(再生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전체(全體) 평균(平均) 6715kg/ha였으며 파종량(播種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또 휴폭(畦幅)이 좀을수록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은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 PDF

쌀겨 펠렛을 이용한 친환경 논 잡초 방제 (Evaluation of Rice Bran Pellet for Environment-sound Weed Control in Paddy Fields)

  • 서영호;문윤기;최준근;강안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9-145
    • /
    • 2009
  •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잡초 방제는 친환경적으로 벼를 재배하는 데 있어 어려운 점이다. 쌀겨 펠렛을 10a당 100${\sim}$300kg을 처리하면 잡초 방제가는 46${\sim}$69%로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논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쌀겨 펠렛을 10a당 200kg이상 시용할 때 쌀의 단백질 함량이 높아 식미치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밑거름을 50% 절감 사용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막아 식미치를 높이되 수량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쌀겨에 비해 목초액과 현미식초는 잡초 방제 효과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초제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기준량인 10a당 butachlor 150g의 25${\sim}$50%를 줄여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쌀겨를 같이 처리하면 잡초 방제가가 높아졌다. 즉, 제초제를 기준량의 반만 사용하였을 경우에 쌀겨를 10a당 100kg 병용처리하면, 잡초 방제가는 63%에서 75%로 높아졌다.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I. 예취높이가 주요 Reed Canarygrass 목초의 재생과 수량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I.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grass regrowth , dry

  • 서성;김재규;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1-287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3cn1, 6cm, and lOcm of cutting height at harvest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DM) yield, and weeds development in reed canarygrass(Phu1uris umndinacea L.) pasttire. The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used in this study were Palaton. Veuture and Frontier(contro1). and the grass was harvested four times at soiling stage in 1992. The plant height at first harvest was 84, 96 and 94cm in Palaton, Venture and Frontier, respectively. The average regrowth height was same as 59cm in three cultivars. However, the regrowth height by cutting height was 61 -65cm in 6 and IOcm, and 51 -53cm in 3cm of low cutting height. Annual DM yield was not different in three cultivars of Palaton(l2.58lkg), Venture(l2,752kg), and Frontier (12,243kgIha). The yield at first harvmt wa5 significantly high in 3cm of height, however, the forage yields at second, third and fourth harvest were greatly high in 6cm of stubble height(P<0.05). Total yields by 3, 6 and lOcm of cutting height were 12.306. 14,094 and 11,342kg in Palaton, 12,794, 14,155 and 11,307kg in Venture, and 12,258, 12,940, and 11.535kglhg in Frontier,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was achieved in 6cm of stubble heigth(P<0.05). Daily DM production during grass regrowth was not affected by cultivars, and the best regrowth was observed by 6cm of cutting height. Development of weeds was high in 3cm of low stubble height, regradless of cultivar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hemicellulose were not affected by cultivar and cutting heigh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6cm of cutting height is the most effective for grass regrowth, forage production, and weed control in reed canarygrass pasture. regradless of cultivm of Palaton, Venture and Frontier.

  • PDF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적응성 평가 III.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 (Evaluaton of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in Korea III. Forage performance of corn hybrids)

  • 김동암;최기춘;신정남;김종덕;한건준;김원호;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322
    • /
    • 1997
  • Sixteen cultivars of corn(Zea mays L.) hybrids have been recommended as the government recommended corn hybrids since 1984, however, their forage performances have been mostly tested at two locations, such as Suweon and Sunghwan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retest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eleven of sixteen government recommended corn hybrids at five scattered locations, such as Icheon, Suweon, Sunghwan, Keonpan and Kwangju in 1993 and 1995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recommendations to dairy farmers. Among the corn hybrids tested, 'Suweon 19' was susceptible to foliar diseases and poor stay green at all locations in 1993 and 1995. Generally, all hybrids have less lodging and infection rate of rice black streaked dwarf virus(RBSDV) varied by location but mostly not exceed 10%. Infection rate at Sunghwan and Kwangju among locations was the highest as 13.5 and 15.3% respectively. Among the corn hybrids tested, 'Suweon 19' was the highest RBSDV infection rate, but that of 'Kwanganok' and '3282' was lower than other hybrids. At all locations, '3352' and '3394' were the earliest in growth stage, but 'Kwanganok', '3282', 'DK729', 'G4624' and 'DK713' were the latest among the corn hybrids. Ear percentage in total DM of '3352', '3394' and 'G4624' was higher than other hybrids, but that of 'DK713' was the lowest among the corn hybrids. '3352' and '3394' showed the most suitable DM content for silage production at harvest. Among the corn hybrids tested, 'Suweon 19' and '3282' were the lowest DM yield at all locations in 1993 and 1995, but the highest DM yield varied by location. At Icheon, '3144W' and 'G4743', at Suweon, '3352' and '3144W, at Sunghwan, 'DK729' and '3144W', at Keongsan, '3352' and 'DK729', and at Kwangju, '3352' and 'DK689' were the highest DM yield in 1993 and 1995, respectively. Then, '3394' was higher than other hybrids at all locations in 1995. The government recommended corn hybrids tested were generally adapted across the country. However, in forage production situations where wrn should be harvested before the rainy season in late summer, earlymedium maturing corn hybrids, '3352' and '3394' might be preferred.

  • PDF

교량의 조망점에 따른 휘도분포 특성분석 (Luminance distribution of Illuminated Bridges by View Point)

  • 최윤석;김정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한강에 위치한 교량을 대상으로 다양한 조망점에 따른 경관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연구대상에 대하여 조망점이 달라졌을 때 나타나는 물리적 변화를 통해 경관조명분야의 물리량평가방법론의 새로운 접근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의 선정은 교량구조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경관조명이 설치된 교량 17개소 중 다양한 조망점과 현장측정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광진교(거더교), 올림픽대교(사장교), 동작대교(트러스교), 동작대교(아치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망점은 한강둔치를 이용하는 방문객들이 바라보는 투시뷰, 교량주변 건축물에서 바라보는 건물뷰 그리고 교량 위를 이동하면서 바라보는 주행뷰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도출된 결과는 동일한 경관조명연출을 토대로 교량별 조망점에 따른 휘도측정 및 분석에서 측정되는 각도, 거리, 방향에 따라 정형화된 비율은 아니지만 휘도값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투시뷰와 건물뷰는 동일한 교량 구성요소를 갖고 있어 상호간 비교 분석이 가능하고 경관조명평가 요소로서 그 기능을 담당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주행뷰는 교량형식과 가로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평가요소로써 조망점을 활용하기에는 조금 더 깊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관조명을 평가함에 있어 다양하게 바라보는 조망점은 조명연출로 인한 시각적 인식에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어 경관조명을 평가할 때 다양한 조망점의 설정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idinium의 분포는 chlorophyll-a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담수적조의 현존량은 상류지역에서 $8.5\;{\times}\;10^3\;cell\;mL^L{-1}$로서 많았고, 댐부근의 하류지역($4.4\;{\times}\;10^2\;cell\;mL^L{-1}$)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담수적조의 원인종으로 규조류 Synedra acus와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도 소량관찰되었다. 저수지의 수질 부영양화 현상은 기존 경사사면형 농경지를 기반으로 조성되었으므로 저층으로부터 풍부한 영양환경을 내재하고 있었고, 담수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유입수량의 부족과 현재 수질개선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수중폭기시설등의 물리적인 영향도 직 ${\cdot}$ 간접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 PDF

Reed Canarygrass 초지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III. 수확시기가 주요 Reed Canarygrass 목초의 수량과 사료가치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III.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dry matter yeild, nutritive value, and weed development in four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pasture)

  • 서성;이종경;신동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117
    • /
    • 1995
  • A field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rvest time (grazing, soiling and hay stage)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nutritive value, and weed development i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pasture. The cultivars of reed canarygrass used in this study were Palaton, Venture, Castor, and Frontier (control). The grass was harvested 3 times at hay stage, 4 times at soiling stage, and 6 times at grazing stage in 1992. The average plant height was 31-41cm at grazing, 47-59cm at soiling, and 76-86cm at hay stage. Similar DM yield was observed in Palaton(12,567 kglha), Venture(l2,435kg), and Frontier(12,762kg), and the yields of 3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astor(ll,025kg) (P<0.05). Total yields affected by harvest time were lO,O6 1, 1 1,832, and 14,699 kg/ha at grazing, soiling, and hay stage, respectively(P<0.05).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CP contents by harvest time were 21.6% at grazing, 19.3% at soiling, and 18.8% at hay stage, regardless of cultivm(P<0.05).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similar among cultivars and harvest time. However, slightly higher NDF and ADF contents were found in Frontier. The contents of Ca, P, K, and Mg were not affected by cultivars and harvest time. The appearance of weeds was high in Castor, and low in Frontier. The weeds at grazing stage(33.3-60.0%)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soiling and hay astage (ca 10%).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3-4 times (soiling and hay stage) of harvest was recommended for grass production, nutritive value, and weed control in reed canarygrass pasture, regradless of cultivars of Palation, Venture and Frontier, except Castor.

  • PDF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III. 예취시기가 갈대의 재생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Native Reed ( Phragmites communis Trinius ) III. Effect of cutting time on the regrowth and Feed composition of native reed)

  • 전우복;윤창;손문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8-8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시(開始)되는 시기(時期)는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영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2.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은 감소하였으나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차이(差異)는 없었다. 3. 월동후 1 차수량(次收量)은 예취회수(刈取回數)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에 따른 차이(差異)는 뚜렷하지 않았다. 4. 조단백질(粗蛋白質) 생산량(生産量)은 예취회수(刈取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많아졌으나 건물율(乾物率)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은 일정하지 않았다. 5. 건물수량(乾物收量)과 건물율(乾物率)($\gamma=0.78$) 및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82$)간(間)과 건물율(乾物率)과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83$)간(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p<0.01), 조단백질(粗蛋白質) 생산량(生産量)과 건물율(乾物率)($\gamma=-0.67$) 및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gamma=-0.68$)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었다(p<0.01).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건물생산(乾物生産)에 있어서는 년간(年間) 예취회수(刈取回數)는 3회(回)호 하고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은 9월(月) 30일(日)로 하는 것이 적당(適當)하다고 생각되며 조단백질(粗蛋白質) 수량(收量)을 고려한다면 4회(回) 예취(刈取)에 최종예취일(最終刈取日)은 9월(月) 30일(日)로 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