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조건축물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Feasibility Study on a Subsurface-Penetrating Radar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Wooden Architectures : FDTD Simulation and Laboratory Measurement (목조 건축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한 표면하부 탐사 레이더의 적용 가능성 검토 : FDTD 모의계산과 실험 측정)

  • 현승엽;김세윤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3 no.8
    • /
    • pp.790-796
    • /
    • 2002
  • In our country, historically beautiful and significant wooden architectures are preserved as the cultural properties. For a long time, however, the architectures are often exposed to roug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eathering, insect attack, etc. This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of the archite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ooden architectures in advanc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 subsurface-penetrating radar(SPR) fur non-destructive testing(NDT) of wooden architectures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time-domain(FDTD) simulation and actual laboratory measurement.

목조 건축물의 화재위험과 안전 대책

  • Seong, Si-Chang
    • 방재와보험
    • /
    • s.108
    • /
    • pp.18-23
    • /
    • 2005
  • 목조 건축물 문화재를 화재 등의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민족의 자부심이 되어온 귀중한 문화재의 가치를 보전해야 한다. 사찰, 궁궐 등 아름다운 목조 건축물을 보고 느끼는 즐거움을 유지하고 후세에 전하기 위해서는, 한치의 오차도 없는 화재예방을 염두에 두고 목재의 방화처리 및 목구조의 화재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Wooden Cultural Assets by Tree Species (종별 목조 문화재 주요 구조부 연소특성)

  • Lee, Ji-Hee;Kim,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6
    • /
    • 2012
  • 우리나라 목조 문화재 건축물은 재료특성상 화재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2005년 4월 4일 발생한 양양산불로 인해 낙산사의 주요 건축물과 동종 누각이 소실되었고 2008년 2월 10일 발생한 숭례문 화재로 인해 숭례문 목조구조물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목조 문화재 건축물 주요 구조재의 수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우리나라에 아직 갖춰져 있지 않고 있어 본 연구를 통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경주 양동마을의 목조 건축물에 대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둥과 보 부재 수종은 소나무 > 느티나무 > 상수리나무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리 부재는 소나무 > 느티나무 > 전나무 순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나무, 느티나무, 상수리나무, 전나무에 대해 열방출율, 총열방출량, 착화온도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수종에 따라 연소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연소특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산불로 인한 화재성상 및 목조 화재성상 예측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Seismic Capacity Evaluation of Wood Structure Using Soil-Wall Test (흙벽 실험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 Kim, Hye-Won;Yang, Won-Jik;Oh, Sang-Hoon;Lee, Jung-Han;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09-412
    • /
    • 2010
  • 본 연구는 목조 건축물 흙벽의 수평가력실험 결과를 이용한 내진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흙벽 실험시험체는 기둥과 보 결합방식에 따라 민도리, 초익공, 장여방식으로 분류되고 벽체 형태에 따라 창문, 문, 전면 벽체, 인방 부재수 등으로 계획을 하였다. 12개 흙벽 시험체의 가력결과, 전면 벽체 시험체는 변위각 1/30에서 가장 큰 강성 저하율을 보이며 중인방과 수직재가 있는 벽체는 에너지 소산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로부터 목조 건축물 항복점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등가탄소성 곡선으로 나타낸 전단내력은 민도리방식이 프레임과 전면 벽체일 경우 가장 크고, 전단응력은 벽체 개구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결과로부터 적용 대상 건축물의 X, Y방향 구조성능을 산출하고 구조내진지표와 역량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내진성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상 목조 건축물은 내진성이 있음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ungnyemun (숭례문의 진동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e-Won;Lee, Jung-Han;Park, Min-Kyu;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40-543
    • /
    • 2009
  • 본 연구는 숭례문의 진동측정을 통한 고유진동수와 감쇠, 진동모드 등의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목조 건축물의 진동측정방법은 건축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공학적인 데이터의 획득으로 숭례문의 시간, 환경에 따른 구조특성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숭례문에 대하여 상시미동측정과 인력가진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숭례문의 진동특성은 장변방향으로 2.12Hz, 단변방향으로 1.56Hz로 비슷한 규모와 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흥인지문, 수원 팔달문보다 높은 고유진동수값을 얻었고 감쇠값은 장변방향으로 1.7%, 단변방향으로 1.8%의 값을 가진다. 2008년 화재로 전소된 숭례문의 진동특성이지만 앞으로 비슷한 구조 건축물에 대한 측정 데이터의 축적을 통하여 목조 건축물의 진동특성에 대한 주기식 및 성능파악에 대한 기준 및 평가자료의 근거로 쓸 수가 있다.

  • PDF

Evaluation of Safety by Structural Analysis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전통 목조 건축물의 구조해석에 의한 안전성 평가)

  • Jo, Sung-San;Kim, Hyong-Kee;Park, Bok-M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9 no.4
    • /
    • pp.149-158
    • /
    • 2005
  • In order to grasp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afety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we select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wooden building, Buseoksa Muryangsujeon in this study. After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of this building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Following main conclusion are obtained: 1) By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wo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they show that the exterior members of this building tend to transfer more load in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2) The result of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shows that the every member stress of Buseoksa Muryangsujeon except Chobang and Jangyon is below allowable stress. 3) For exact modelling of joints of members in traditional wooden building such as Gongpo,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and analyze the technical data through structural test and systematic analysis study.

Selection of a Fire Detector for Wood Cultural Property (목조문화재 건축물 구조에 따른 화재감지기 종류 선정에 관한 연구)

  • Roh, Sam-Kew;Yoon, Hyoung-U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4
    • /
    • pp.88-93
    • /
    • 2016
  •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wood cultural properties has not have selected the detector type appropriate for the feature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ructure of wood fire after the fire in Sungnyemun-Gate since 2008. Apply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rchitecture of the structure and fire characteristics is difficult. Therefor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four shape types and field survey and wooden architecture structure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detectors installed on wooden cultural property buildings. The problems appeared to lack the adaptability to external fire detection sensor selection and missing fire detector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lace. To solve the problem, the closed and open space of the rooms used a smoke detector, outdoor select flame or fixed temperature linear detector to solve the problem.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 Kim, Dae Woon;Kim, Chul Woong;Han, Sung Hee;Chung, Yong Jae;Han, Gyu 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2 no.4
    • /
    • pp.393-406
    • /
    • 2014
  •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flame retardant treatment (FRT) on wooden buildings, field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are performed. After FRT on historical wooden building, efflorescence and exfoliation showed most often. These problems appeared especially on column, rafter and Ga-gu (Ingredients for supporting structure of a roof) which are liberally spread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FRT, analyzed 20 elements using P-XRF. In this process, found sulfur which informs FRT. This helped set up nondestructive assay. Through this process, confirmed field application by analysis residue component of Songgwang-sa Te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