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발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7초

겨드랑이 목발의 디자인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with Axillary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3-253
    • /
    • 2016
  • 이 연구는 하지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보행 보조기기인 목발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 관한 것으로 인간의 보행특성에 적합한 합리적인 목발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의 일부분이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목발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겨드랑이 목발을 비교 평가 하였다. 목발 사용 경험이 없는 성인 남녀 31명이 참가한 목발의 비교 평가 실험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10가지의 목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겨드랑이 목발 3종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각 목발에 대한 가이드라인별 사용자 평가의 전체 평균에서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이드라인별로 보면, 6가지의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목발의 경량성과 경제성 및 시장성에 대해서는 세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존 목발의 사용자 인식수준을 규명하고자 한 이 연구의 결과는 후속연구인 목발을 이용한 보행평가실험의 결과와 종합적으로 분석되어 가이드라인이 합리적인지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 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 연구 (The Design of a Crutch as Mobility Aids for the Handicapped in the Lower Extremity)

  • 양승호;오광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55-70
    • /
    • 2018
  • 이 연구는 하지장애인의 보행보조를 위한 목발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사례에 관한 장기 프로젝트의 후반부에 해당한다.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하여 목발보행에 관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목발을 이용한 보행 특성에 부합하고 산업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양산형 목발의 디자인 개발과 프로토타입 제작에 있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혁신적인 목발인 토고(TOGO)는 (1)목발 팁과 겨드랑이 받침대의 형태 및 구조 개선을 통해 목발이 지면과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충격의 전달 최소화, (2) 보행 중 사용자의 신체에 합리적으로 대응하는 인체공학적 구조, (3)알루미늄 압출 성형에 의한 프레임 제작과 구조 개선으로 목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성·이동성을 위한 쉽고 빠른 목발의 길이 조절, (4)보행 중 안전상 위험요소 최소화 및 (5)사용자가 자존감을 지킬 수 있게 충분히 매력적인 형태 등이 특징이다. 연구 성과로 도출된 새로운 목발은 특허 출원이 완료되었으며, 현재 대량생산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 검토에 이어 양산을 위한 기업 탐색과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목발 고무받침의 미끄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ipperiness of Crutch-tip rubber)

  • 송미진;장경배;안광옥;손영수;강민호;서원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047-2048
    • /
    • 2011
  • 장애인 보조기구 중 목발은 수요가 높을 뿐 아니라 사용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필요로 하고, 사용하고 있는 목발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되고 있으나 품질관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발 사용의 대표적 문제점인 바닥접촉 고무부분의 마모가 빠르고 미끄럼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시중에 유통 중인 목발을 수거하여 고무 경도 시험과 미끄럼저항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목발 사용을 위한 목발 고무받침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목발 디자인에 따른 근육 활성도 및 사용자 인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Electromyography Activity and User-perceived Level with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57-16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성 12명이 참여하여 3종의 겨드랑이 목발(Mobilegs, KM crutch, Pro In-motion)을 사용한 보행에서 광배근과 비복근에서의 근전도 반응과 보행에서의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 인식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광배근에서는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비복근에서는 Mobilegs와 Pro In-motion이 KM crutch에 비해 현저히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이것은 Mobilegs와 Pro In-motion은 각각 겨드랑이 받침대 하단과 목발 하단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비복근에 요구되는 힘이 적은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평가에서 Mobilegs는 보행 시 편안함과 사용 편이성에 대해 모두 다른 목발들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목발 보행 시 많은 힘이 집중되어 다양한 문제를 유발시키는 겨드랑이 받침대와 손잡이의 디자인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연구의 결과는 스프링이 장착된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서 비복근에서 적은 힘이 요구되어 보다 쉬운 보행을 가능케 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목발의 디자인 특성은 근육에 요구되는 힘을 줄이고, 여기에 겨드랑이 받침대와 목발 손잡이의 합리적인 구조와 형태가 보태질 경우 사용자들은 그 목발을 사용한 보행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편안하게 인식함을 알 수 있다.

부목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이 20대 여성의 에너지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Affect of gait with splint and crutch has on basal metabolism young women)

  • 이지연;박정서;이대희;한슬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01-4007
    • /
    • 2011
  • 본 연구는 부목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 시 에너지 소모 정도를 알아보고자 건강한 2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정상보행, 부목보행, 부목 목발보행 시 각각의 운동강도, 환기량, 산소소모량, 호흡교환율, 칼로리 그리고 환기당량을 측정하였다. 부목의 무게는 평균 1.2 kg이었으며, 보행은 연구대상자들이 부목을 착용하고 가장 편안하다 고 느낀 2.74 km/h의 속도로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운동강도가 높았으며, 환기량과 산소소모량에서도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더 많았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 하였다(p<0.05). 칼로리는 부목 목발보행이 정상보행과 부목보행에 비해 더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호흡교환율과 환기당량에서도 세 조건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양수분(土壤水分)이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Content Affecting Rooting of Cutting and Height Growth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Parents)

  • 손두식;신종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74-78
    • /
    • 1984
  • P. alba ${\times}$ P. glandulosa 및 P. glandulosa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가장 적합한 Soil water potential (${\Psi}_s$)은 -0.05 bars이었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합할 때는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나 ${\Psi}_s$=-0.5bars 이하(以下)에서는 모두 불량(不良)한 생장(生長)을 하였고 수종간(樹種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특(特)히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할 때는 생장(生長)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현상(現象)이 나타났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aspen은 삽목발근(揷木發根)이 전연(全然) 안되는데 반하여 P. glandulosa는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낮기는 하지만 23%나 되는 것은 P. alba의 삽목발근인자(揷木發根因子)가 유인(流人)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P. glandulos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사시나무와 은백양의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생장(生長)도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중간 정도이며 토양수분(土壤水分)에 대한 생장(生長)의 민감도는 은백양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P. glandulosa가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잡종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 PDF

Populus alba×glandulosa의 Clone간(間) 발근력(發根力)의 차이(差異) (The Rooting Ability of Selected Clones of Populus alba×glandulosa Hybrid)

  • 김정석;손두식;정상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26
    • /
    • 1978
  • Populus alba${\times}$glandulosa $F_1$의 생장(生長)이 우량(優良)한 15개체(個體)를 선발(選拔)하고 이들을 증식(增殖)하여 이루워진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0년부터 1975년까지 6년간(年間) 포지(圃地)에서 삽목활착율(揷木活着率)을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Incubator 내(內)에서의 clone간(間)에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과 공중취목(空中取木)에 의한 clone간(間)의 발근능력(發根能力)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또한 삽목상(揷木床)의 온도(溫度)를 $10^{\circ}C$,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로 하였을때 삽목발근력(揷木發根力)을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은 그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가장 높은 clone은 65-22-4, 65-22-11으로서 6년간(年間)의 평균삽목발근율(平均揷木發根率)은 각각(各各) 76.7%와 72.9%이였으며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가장 낮은 clone은 66-6-8로서 발근율(發根率)이 45.8%이였고 2. 선발개체중(選拔個體中) 66-14-29, 66-14-93, 66-25-5, 67-6-3등(等)은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평균(平均) 60~69%로서 발근력(發根力)이 중간정도(中間程度)이였다. 3. 포지(圃地)의 삽본발근율(揷本發根率)과 Incubator 및 공중취목(空中取木)에서 얻은 clone간(間)의 발근능력(發根能力)은 몇 clone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같은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4. P. alba${\times}$glandulosa $F_1$의 삽목(揷木)에 있어서 삽목상(揷木床)의 온도(溫度) $20^{\circ}C$일때 가장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높았으며 발근최적온도(發根最適溫度)로 인정(認定)되었다. 5. 삽수부위별(揷穗部位別)로 뿌리발근율(發根率)을 보면 뿌리의 78.5%가 삽수(揷穗)의 하단부(下端部)에서 발생(發生)하였다. 6. 삽수(揷穗)의 근(根)은 부정근(不定根)과 calluse근(根)이 있다.

  • PDF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가 30%체중지지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back Methods and Ambulatory Assistive Aids on Accuracy of Partial Weight Bearing)

  • 박은영;김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07-214
    • /
    • 2011
  •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30%체중지지 수행력이 되먹임 형태와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이 참여하였으며, 겨드랑이 목발과 바퀴보행기를 이용하여 3점 보행을 하는 동안 오른쪽 발에 체중의 30%만 부하하도록 하였다. 훈련을 위해 동적 되먹임과 정적 되먹임을 제공하였다. 훈련 직후와 훈련 3일 후, 보행 동안 %체중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힘판을 이용하였고 보행관련 변수를 측정하기 GAITRite를 사용하였다. 30%체중지지의 정확성은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고 동적 되먹임을 받았을 때가 가장 정확하였다(p>0.05). 보행보조도구와 되먹임 형태에 따라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훈련 직후와 훈련 3일후의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보행속도와 입각기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을 위해서는 가능한 경우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여 동적 되먹임을 통한 %체중지지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애인을 위한 의복디자인 (I) -부목 .목발 및 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Brace.Crutch & Wheelchair User)

  • 홍성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9권6호
    • /
    • pp.830-841
    • /
    • 2001
  •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with special needs. So I have designed clothes for the handicapped to provide some solutions for their clothing problems. These clothing designs for crutch and wheelchair users were based on solutions proposed by many researchers. The number of handicapped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for years, especially the physically handicapped. Although they make use of many instruments for ease of movements and other physical conditions, most of the handicapped generally use crutches and wheelchairs. So I designed clothing for the crutch and wheelchair users. In order to ease problems in dressing and undressing, when using the crutch and wheelchair, various physical attributes of clothing should be considered: (1) Selection of fabric, (2) construction and location of the opening, (3) type and location of fastenings, and (4) design of garments for comfort and ease of movement. Clothing should also be able to satisfy psychological needs related to attractive appearance. My designs have proposed seven items of clothing. These include a cape-coat, over-blouse, one-piece dress and an pants for the crutch users. Also, a shirts, pants, and wheelchair wrap for wheelchair users will be displayed.

  • PDF